타당도의 개념과 종류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타당도의 개념과 종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타당도의 개념과 종류

가. 타당도의 개념

나. 타당도의 종류
1) 내용타당도
가) 정의
나) 추정방법
다) 장·단점
2) 구인타당도
가) 정의
나) 추정방법
다) 장·단점
3) 공인타당도
가) 정의
나) 추정방법
다) 장·단점
4) 예측타당도
가) 정의
나) 추정방법
다) 장·단점

다. 타당도와 신뢰도의 관계

참고문헌

본문내용

수는 피험자 집단의 응답결과에 의하여 추정되므로 피험자 집단이 보다 이질적일 때 공인타당도와 예측타당도 계수는 높아지는 경향을 보인다. 반대로 피험자 집단이 동질적이면 타당도 계수는 낮아진다. 그 이유는 두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산출할 경우에 어떤 변수이든 절단되면 상관계수나 낮게 추정되기 때문이다.
관찰점수의 구성요소를 분석하여 타당도와 신뢰도의 관계를 살펴볼 수 있다. 검사에서 얻은 관찰점수는 진점수와 오차점수로 구분할 수 있고, 진점수는 다시 타당한 진점수와 타당하지 않은 진점수로 구분되며 다음 [그림 1]과 같다.
관찰점수
타당한 점수
타당하지 않은 점수
오차 점수
타당도
신뢰도
[그림 1.] 관찰점수의 구성요소
앞의 [그림 1]에서 타당한 점수는 신뢰롭고 타당한 점수의 변량을 나타내며, 타당하지 않은 점수는 신뢰롭지만 타당성이 없는 내용을 측정한 점수의 변량을 지칭하며, 나머지 오차점수는 오차변량을 나타낸다. 따라서 타당도가 높기 위하여 신뢰도가 높아야 한다. 그러나 신뢰도가 높다하여 타당도가 항상 높은 것이 아니다. 신뢰도와 타당도의 관계에서 신뢰도는 타당도를 위한 필요조건이지 충분조건은 아니다.
참고문헌
김진규, 교육과정과 교육평가, 동문사
  • 가격9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8.10.30
  • 저작시기200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85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