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中庸之道(中庸章句의 1篇)
(2) 中庸之行(中庸章句의 13篇)
#. 中庸에 대하여...
1. 중용의 저자
2. 중용과 자사
3. 중용의 사상
#. 단상들...
(2) 中庸之行(中庸章句의 13篇)
#. 中庸에 대하여...
1. 중용의 저자
2. 중용과 자사
3. 중용의 사상
#. 단상들...
본문내용
하지만 이 당연함을 항상 실천하는 사람이 과연 있을까? 자사가 맹자에게 주면서 “잘 읽는 사람이 완미 탐색하여서 거기서 얻는 것이 있으면 평생토록 써도 다 쓰지 못할 것을 갖게 될 것이다.”라고 한 말에서 그 대답을 찾을 수 있을 것같다. 또한 위에서 중용은 철학적이고 형이상학적이라고 했지만 그 안에는 많은 實學이 담겨 있는 것 같다. 개인적으로 가장 와닿으면서도 지키지 못하는 문구는 (行)有所不足, 不敢不勉, (言)有餘, 不敢盡 이었다. 사람은 말할 수 있는 만큼 생각할 수 있다고 한다. 하지만 말할 수 있는 만큼 행동하는 사람은 많지 않다. 말하기 전에 몇 번을 심사숙고하고 그 말한 것에 대해서는 반드시 행동하던 옛 성인들의 모습에 생각없이 바쁘게 살아가는 나의 하루하루를 비춰볼 수 있으면......
추천자료
삼국시대의 교육 백제 화랑도 고구려 독서 삼품과
기업의 사회적책임과 경영자의 역할..
우리나라의 각 공화국별로 나타나는 정당청치의 행태와 현 정당정치의 문제점 그리고
'맹자의 왕도정치사상'에 관한 종합적 보고서
맹자의 교육관과 수양론
박정희 대통령 그는 누구인가
[청년실업][실업문제][청년실업문제][실업][청년층][청년기]청년층(청년기) 노동시장의 구조 ...
중국고전문명의 형성과 제자백가
서양교육사 요약자료집
Ellis - 인지 정서 행동치료 [REBT]
[한국사] 사림과 사화에 대해서
교육과 철학을 주도한 사상가들 - 교육철학 관련 사상가 동양 20명, 서양 20명 요약정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