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어문학과의 번역교육 현황 및 번역학과 모델의 과제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머리말

Ⅱ. 번역 및 번역교육에 대한 연구

Ⅲ. 번역학과 번역교육
1. 번역교육은 무엇인가?
2. 번역교육의 현황
3. 한국 번역의 특징

Ⅳ. 독어문학과의 체계적 번역교육의 대안 및 실시방안
1. 전통적 문학강의 범주 내의 번역연습 보충
2. 언어연습의 일부로서 문학텍스트 번역
3. 독일어문번역학과 개설

V. 독일어문 번역학과 모델의 과제
1. 교육목표
2. 학습자의 자격요건
3. 번역학과 교과과정
4. 졸업(학사학위 취득자격)
5. 학제간의 협동 원칙

Ⅵ. 맺는 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광범위한 분야에 대한 상식이상의 이해력을 기본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전문번역가는 결국 거의 '만물지식인'에 가까워야 한다. 이에 반해 오늘날 번역작업에 대한 부당 할만큼 낮은 재정적 보상은 번역가에 대한 자격검증 부재 및 사회적 평가가 낮은 것에서 크게 기인한다. 번역가에 대한 소정의 자격검증은 독자들에게 양질의 번역을 제공하는 전문가에 대한 신뢰감도 심어 줄 수 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바람직한 번역문화의 형성을 위하여 번역문제에 대한 이론과 실제에 있어서 더욱 다양한 관심이 필요하다. 학문적 차원에서는 가령 번역비평 분야에 대한 연구가
) 이러한 연구로서 비교적 근래에 발표된 예: 심재기, 1993.
깊이 있고 체계적으로 수행될 것이 요구된다. 또한 실제적으로는 현재 많은 대학에 설치되어 있는 사회교육원의 교육프로그램을 이용하거나 혹은 (현재 어느 대학에도 없는) 번역교육원을 개설하여 대학 전공자들 이외에도 일반인을 대상으로 공개 번역테스트나 번역대회를 정기적으로 개최한다면, 기왕에 활동 중인 번역가들과의 연대를 도모하고 전문번역가의 직업의식을 고양시키며, 일반 독자들에게도 번역문제에 대한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심재기: 최근 문학번역이론의 흐름과 번역비평의 나아갈 길. - 언어학적 입장에서의 고찰. In: 번역연구 제 1 집 (1993), 67-104 쪽.
Brusch, Wilfried: Literarische Texte im kommunikativen Fremdsprachenunterricht. In: Manfred Heid (Hrsg.), Literarische Texte im kommunikativen Fremdsprachenunterricht. Munchen 1985, S. 47-67.
Caill , Pierre-F.: "Nous sommes l' ge de la traduction", Babel 1 (1955).
Gohring, Heinz: Deutsch als Fremdsprache und interkulturelle Kommunikation. In: Alois Wierlacher (Hrsg.), Fremdsprache Deutsch. Grundlagen und Verfahren der Germanistik als Fremdsprachenphilologie. Bd. 1. Munchen 1980, S. 71-90.
Huntemann Willi/ Ruhling, Lutz (Hrsg.): Fremdheit als Problem und Programm. Die literarische bersetzung zwischen Tradition und Moderne. Berlin 1997.
Kaindl, Klaus: Translatorische Kompetenz mit beschrankter Haftung. Zur Konzeption(slosigkeit) des universitaren bersetzungsunterrichts. In: Martin Stegu/ Rudolf de Cillia (Hrsg.): Fremdsprachendidaktik und bersetzungswissenschaft. Beitrage zum 1. verbal-workshop, Dezember 1994. Frankfurt a. M.〔u.a.〕1997, S. 91-105.
Luther, Martin: Sendbrief vom Dolmetschen. In: Hans Joachim Storig (Hrsg.): Das Problem des bersetzens. Darmstadt 1969, S. 14-32.
Neuner, Gerhard: Fremdsprachlicher Text und universelle Lebenserfahrungen. Aspekte einer themenorientierten fremdsprachlichen Textdidaktik. In: Gerhard Neuner (Hrsg.), Kulturkontraste im DaF-Unterricht. Munchen 1986, S. 11-32.
Nies, Fritz〔u.a.〕(Hrsg.): Ist Literaturubersetzen lehrbar? Beitrage zur Eroffnung des Studiengangs Literturubersetzen an der Universitat Dusseldorf. Tubingen 1994.
Schroder, Konrad: Zu Legitimation und Thematik von Literaturunterricht in den fremdsprachlichen Fachern. In: Konrad Schroder/ Franz-Rudolf Weller (Hrsg.), Literatur im Fremdsprachenunterricht. Beitrage zur Theorie des Literaturunterrichts und zur Praxis der Literaturvermittlung im Fremdsprachenunterricht. Frankfurt a. M./ Berlin/ Munchen 1977, S. 62-74.
von Stackelberg, Jurgen: Literarische Rezeptionsformen. bersetzung·Supplement·Parodie. Frankfurt a. M. 1972.
Stegu, Martin: Exklusiv oder inklusiv: zum gegenseitigen Verhaltnis von (angewandter) Sprach- und bersetzungswissenschaft. In: Martin Stegu/ Rudolf de Cillia (Hrsg.): Fremdsprachendidaktik und bersetzungswissenschaft.Beitrage zum 1. verbal-workshop, Dezember 1994. Frankfurt a. M.〔u.a.〕1997, S. 135-147.
Hans Joachim Storig (Hrsg.): Das Problem des bersetzens. Darmstadt 1969.
  • 가격2,7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8.11.12
  • 저작시기200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913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