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 6과 3은 ....... 7과 3은 .......
4와 4는 ....... 5와 4는 ....... 6과 4는 .......
3과 1은 ....... 6과 1은 ....... 2와 1은 .......
7과 1은 ....... 4와 1은 ....... 8과 1은 .......
덧셈을 하고 합을 말하시오.
2 3 4 2 1 4 1 2 4 4
3 4 2 1 6 3 5 7 4 1
1 2 2 4 1 3 3 3 3 5
8 6 2 5 4 3 1 6 2 1
3 3 1 2 4 2 1 2 1 4
5 7 2 4 6 8 3 5 1 2
< 1924년 출판된 Thorndike의 3학년 산수 교과서『Thorndike 산수』 한쪽의 일부>
2. 학습의 정의
학습은 사람의 행동을 이행하는 방법이나 학습 이론에 따라 여러 가지로 정의되고 있는데, 대체로 다음 네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1) 학습을 경험에 의한 인간 행동의 변화 또는 변용으로 보는 것이다. A.Gates(1950)는 학습을 경험과 훈련에 의한 행동의 진보적 변용이라 하였고, N.Munn은 일정한 활동훈련관찰경험 등의 결과로 행동이 다소라도 영속적진보적 변용을 하는 것이라 하였으며, H.Kingsley는 심리적 기능을 지배하는 경향성의 발달과 변용이라 하였다. 이러한 견해는 그 표현 방법에 있어서는 차이는 있을지라도, 학습을 환경적 요인에 의한 행동의 변용으로 보 점에 있어서는 입장을 같이하고 있으며, 특히, H.Kingsley는 행동경향성의 변용과 병행하는 신체적 성숙 및 그 부수적 변화를 그의 정의에서 가정하고 있는 것이라 보겠다.
2) 학습을 자극과 반응의 결합으로 보는 견해인데, 이것은 학습의 연합이론과 시행착오설을 근거로 한 주장이라 하겠다. E.Thorndike는, 학습이란 자극(S)과 반응(R)의 결합이라고 하였으며, 심리학적 機制로서는 神經源 간의 결합을 의미하는 것이고, 이러한 결합은 연습과 효과의 법칙에 의하여 강화된다고 하였으며, E.Guthrie나 C.Hull, K.Spence등도 학습을 새로운 결합의 형성과정으로 보고 있다.
3) 학습을 장의 재체제화로 보는 Gastalt 이론의 입장이다. W.Khler나 K.Koffka 등은 학습을 흔적이 복잡한 행동 환경 속에서 이루어지는 재체제화라 하였고, K.Lewin은 장의 인지적 구조의 변화로 생각하였다.
4) 학습을 조작주의적 입장에서 정의하는 것이다. 조작주의는 심리학에서 도입된 개념으로서, 경험적이며 사실을 객관적인 개념으로 다루어야 한다는 입장으로, 과거의 행동에서 반복되었거나 재인된 것의 측정 결과 또는 의미를 학습으로 보는 것이다.
<참고 서적>
1. 강완, 백석윤 공저(1998) 『초등수학교육론』, 서울, 동명사
2. 김명훈, 정영윤 공저(1986) 『심리학개론』, 서울, 박영사
3. 김종서외 2인(1998) 『최신 교육학 개론』, 서울, 교육과학사
4. 두산동아(1998) 『학습인명사전』, 서울, 두산동아
5. 두산동아(1997) 『두산동아학습백과 CD』, 서울, 두산동아
4와 4는 ....... 5와 4는 ....... 6과 4는 .......
3과 1은 ....... 6과 1은 ....... 2와 1은 .......
7과 1은 ....... 4와 1은 ....... 8과 1은 .......
덧셈을 하고 합을 말하시오.
2 3 4 2 1 4 1 2 4 4
3 4 2 1 6 3 5 7 4 1
1 2 2 4 1 3 3 3 3 5
8 6 2 5 4 3 1 6 2 1
3 3 1 2 4 2 1 2 1 4
5 7 2 4 6 8 3 5 1 2
< 1924년 출판된 Thorndike의 3학년 산수 교과서『Thorndike 산수』 한쪽의 일부>
2. 학습의 정의
학습은 사람의 행동을 이행하는 방법이나 학습 이론에 따라 여러 가지로 정의되고 있는데, 대체로 다음 네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1) 학습을 경험에 의한 인간 행동의 변화 또는 변용으로 보는 것이다. A.Gates(1950)는 학습을 경험과 훈련에 의한 행동의 진보적 변용이라 하였고, N.Munn은 일정한 활동훈련관찰경험 등의 결과로 행동이 다소라도 영속적진보적 변용을 하는 것이라 하였으며, H.Kingsley는 심리적 기능을 지배하는 경향성의 발달과 변용이라 하였다. 이러한 견해는 그 표현 방법에 있어서는 차이는 있을지라도, 학습을 환경적 요인에 의한 행동의 변용으로 보 점에 있어서는 입장을 같이하고 있으며, 특히, H.Kingsley는 행동경향성의 변용과 병행하는 신체적 성숙 및 그 부수적 변화를 그의 정의에서 가정하고 있는 것이라 보겠다.
2) 학습을 자극과 반응의 결합으로 보는 견해인데, 이것은 학습의 연합이론과 시행착오설을 근거로 한 주장이라 하겠다. E.Thorndike는, 학습이란 자극(S)과 반응(R)의 결합이라고 하였으며, 심리학적 機制로서는 神經源 간의 결합을 의미하는 것이고, 이러한 결합은 연습과 효과의 법칙에 의하여 강화된다고 하였으며, E.Guthrie나 C.Hull, K.Spence등도 학습을 새로운 결합의 형성과정으로 보고 있다.
3) 학습을 장의 재체제화로 보는 Gastalt 이론의 입장이다. W.Khler나 K.Koffka 등은 학습을 흔적이 복잡한 행동 환경 속에서 이루어지는 재체제화라 하였고, K.Lewin은 장의 인지적 구조의 변화로 생각하였다.
4) 학습을 조작주의적 입장에서 정의하는 것이다. 조작주의는 심리학에서 도입된 개념으로서, 경험적이며 사실을 객관적인 개념으로 다루어야 한다는 입장으로, 과거의 행동에서 반복되었거나 재인된 것의 측정 결과 또는 의미를 학습으로 보는 것이다.
<참고 서적>
1. 강완, 백석윤 공저(1998) 『초등수학교육론』, 서울, 동명사
2. 김명훈, 정영윤 공저(1986) 『심리학개론』, 서울, 박영사
3. 김종서외 2인(1998) 『최신 교육학 개론』, 서울, 교육과학사
4. 두산동아(1998) 『학습인명사전』, 서울, 두산동아
5. 두산동아(1997) 『두산동아학습백과 CD』, 서울, 두산동아
추천자료
'협상의 법칙'을 읽고
[과학자의 삶과 법칙] 러더퍼드 Ernest Rutherford : 1871 - 1937
마케팅 불변의 법칙에 대한 핵심내용정리 요약과 서평
성취형 리더의 7가지 행동법칙
키르히호프의 법칙과 휘트스톤 브릿지 실험
[리더십의 법칙, 존 멕스웰] 우수 독후감 요약 정리
과학과(과학교육)의 성격과 목표 및 학습유형, 중학교(중등) 과학과(과학교육)의 교육현황, ...
수학과(교육) 활동중심학습(수업)의 의미와 교육적 의의, 수학과(교육) 활동중심학습(수업)의...
인재 경영의 법칙을 읽고
[마인드맵][마인드맵 법칙][마인드맵 전략]마인드맵의 정의, 마인드맵의 필요성, 마인드맵의 ...
발견학습 모형을 적용한 허블의 법칙 및 우주의 진화
순환학습 모형을 적용한 허블법칙
과학과교육(과학수업) 목표, 과학과교육(과학수업) 구성과 동기부여, 과학과교육(과학수업) ...
수업기술의 법칙 독서감상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