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SLR 카메라 시장의 성공요인과 그 문제점 분석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DSLR 카메라 시장의 성공요인과 그 문제점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목적  
1.2 개념정리

2. 현재 한국 DSLR 카메라 판매동향
 2.1 보급기 출시 이전의 상황
 2.2 보급기 출시 이후의 상황

3. DSLR 카메라 성공의 사회적인 측면
  3.1 한국인들의 소득증대
  3.2 국내의 탄탄한 IT기반
  3.3 장비를 통한 자기 과시
  3.4 제품리뷰를 통한 영향

4.DSLR 카메라 성공의 제품적인 측면
  4.1 저렴해진 가격
  4.2 탄탄해진 바디성능
  4.3 다양한 제품라인
  4.4 사은품을 끼우는 판매방식

5. DSLR 카메라 대량판매로 인한 문제점과 해결방안
 5.1 과도한 렌즈소비
 5.2 제조사들의 기능제한
 5.3 제조사들의 A/S

6. 결 론
  6.1 요 약
  6.2 앞으로의 DSLR 시장의 전망

*참고문헌

본문내용

콘 프래그십 D2H로 비교해 보겠다. 두 모델의 비교는 조금은 과분해 보일 수 도 있지만 1년이라는 시간차와 보급기라는 장점을 살려서 비교대상을 크게 잡아 보았다.
(표4) 니콘 D70과 D2H 스펙비교 디씨인사이드 http://dica.dcinside.com/review.php?pid=2482
보듯이 그 회사의 기술력의 지표를 보여주는 프래그십의 바디 D2H와 니콘의 첫 보급기종 D70과 비교하여보아도 큰 차이가 없음을 보여준다. 액정모니터의 사이즈, 연사속도 1초에 연속으로 촬영할 수 있는 컷수.
, 방진방습기능 카메라를 조립하면서 접속부분에 고무실링처리를 하여 비나 눈, 먼지로부터 카메라를 안전하게 보호해 주는 기능.
에서는 D2H가 압도적으로 우위를 차지하지만 일반유저들에게 크게 필요한 부분은 아니다. 1년이 지나서 그런지 오히려 D70의 화소수가 더 높음을 알 수 있다. 캐논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이렇듯 보급기종의 성능이 프래그십과 비교하여도 손색이 없을 정도로 좋았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로부터 사랑을 받아 온 것으로 여겨진다.
4.3 다양한 제품라인
소비자들은 자신이 필요로 하는 카메라의 용도에 맞게 적절한 모델을 선택하여 구매를 할 것이다. 하지만 카메라 제조사 측에서 프래그십 모델과 준전문가용 모델만 생산을 하여 비싼 가격으로 판다면 소비자들은 선택의 폭이 좁아질 것이다. 하지만 2003년 보급기가 나온 이후는 그렇지 않다. 다양한 제품들이 쏟아져서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시켜주고 있다.
(그림5) 캐논과 니콘의 제품 라인업 케이벤치 http://kbench.com/digital/?cc=152&sc=5&no=46423&pg=4
위의 자료를 보듯이 보급기가 나온 이후 많은 카메라를 생산했다는 것을 보여준다. 보급기가 나오기 전엔 캐논의 경우 4종, 니콘의 경우 5종뿐이었지만 보급기 이후엔 다양한 종류의 모델들이 출시되어 소비자의 용도에 맞는 카메라를 구입할 수 있게 되어서 DSLR 카메라시장의 확산을 기여하였다.
4.4 사은품을 끼우는 판매방식
만약 비슷한 스펙의 두 모델이 있다고 가정하자. 가격도 비슷하다. 하지만 C사의 카메라를 사면 사은품을 주지만 N사의 카메라를 사면 사은품이 없다. 과연 여러분이라면 어떻게 하겠는가? 아무래도 사은품을 주는 쪽으로 마음이 끌리게 될 것이다. 하지만 이 사은품이 정말 괜찮은 것이라면 더욱 마음이 끌리게 것이다. 최근의 사은품을 보면 캐논의 경우 화끈한 사은품으로 고객을 잡는 반면 니콘은 약간 소극적인 자세를 보이고 있다. 당시 준전문가용 카메라로 경쟁모델인 캐논의 40D와 니콘의 300D의 경우 사은품에 상당한 차이가 있다. 니콘은 가방만 주지만 캐논은 다양한 악세사리가 제공된다. 특히 특별선물3은 포토샵 라이트룸 소프트웨어인데 40만원 초반의 가격을 형성하고 있는 소프트웨어이다.
(그림6) 캐논의 이벤트행사 캐논 공식홈페이지 http://www.canon-ci.co.kr/
(그림7)니콘의 이벤트행사 니콘 공식홈페이지 http://www.nikon-image.co.kr/
사은품 전략은 DSLR 카메라 판매량에 큰 영향을 미친것 같지는 않다. 하지만 기업체들간의 사은품 경쟁으로 오히려 소비자들은 더욱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어서 DSLR 카메라 대중화에 조금이라도 기여 한 것으로 여겨진다.
5. DSLR 카메라 대량판매로 인한 문제점과 해결방안
5.1 과도한 렌즈소비
DSLR 카메라를 구입하면 바로 사진을 찍을 수 있을까? 그렇지 않다. 렌즈를 사서 마운트한 뒤에 비로소 사진촬영이 가능하다. 바로 이 렌즈가 회사별로 너무나도 다양하고 그 기능 역시 다양하며 가격 또한 다양하다. 소비자들은 자신의 입맛에 맞춰, 용도에 맞춰 렌즈를 구매하게 되는데 렌즈의 가격이 상당히 높게 책정되어 있다. 어떻게 보면 보급기의 출시로 인해 렌즈가격이 바디가격에 비해 비싸게 보일수도 있을 것이다. 나는 여기서 문제를 제기한다.
DSLR 카메라는 보급기를 만들어서 저렴하게 팔면서 왜 렌즈는 저렴하게 팔지 않는 것일까? 회사마다 정말 저렴한 렌즈를 만들기도 한다. 번들렌즈 카메라를 살 때 패키지로 묶어서 구입할 수 있는 렌즈
라는 명목으로 10만원 이하의 단가를 최대한 낮추고 렌즈 자체의 기능에만 충실하고 아무런 특수기능이 없고 어두운 표준줌 렌즈를 만들어서 파는 것이다. 아마 초보자일 경우 대부분 이 렌즈를 구매할 것이다. 왜냐만 저렴하기 때문이다. 렌즈의 참맛을 보기 전의 단계에서는 자기 자신에게 번들렌즈만으로도 상당히 과분하거나 만족하게 사진생활을 할 수 있을 것 이라는 생각을 하는 것이다. 하지만 DSLR 카메라와 번들렌즈를 1달만 사용해 보게 되면 번들렌즈가 얼마나 안 좋은지를 알게 되고 뒤 이어 다른 비싼 고급렌즈에 눈이 돌아가게 될 것이다. 그러면 소비자들은 다른 렌즈들을 검색해 보게 되고 수많은 다양한 렌즈에 놀람을 금치 못할 것이다. 남들보다 더 좋은 사진을 찍기 위해서 돈을 더 들여서 구매하게 된다.
간단한 예를 보여 주겠다. 가격비교사이트 에누리에서 집계한 렌즈 판매 인기순위이다.
(표6) 2008년 6월 20일자 렌즈판매 인기순위 에누리 http://www.enuri.com/view/List.jsp?cate=021409&menu=false&flag=&islist=
번들렌즈의 인기는 고작 10위이다. 하지만 1위와 2위를 보면 백만원 중후반대의 고급렌즈들이 상위에 랭크되어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점에서 본다면 마치 소니에서 플레이스테이션을 싸게 팔고 소프트웨어를 비싸게 팔아먹는 것과 같은 마케팅 전략으로 보여진다.
이러한 비싼 렌즈에 대한 해결책은 없는 것일까? 몇 가지 해결책을 제시해 보겠다.
첫째로 탐론과 시그마 같은 서드파트 렌즈회사 원래의 공식 제조사가 아닌 제3자가 제조한 제품. 예를들어 시그마사의 니콘렌즈, 탐론사의 캐논렌즈
들의 저렴한 렌즈를 구입하는 것이다. 이들 회사의 렌즈들은 캐논과 니콘의 비싼 렌즈들과 기능은 비슷하면서 가격은 절반 수준이다. 화질 또한 비슷하여 현재도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둘째로 렌즈 마운트 규격 렌즈교환식 카메라는 렌즈와 카메라의 기
  • 가격1,5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8.11.20
  • 저작시기2008.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937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