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프로이드이론의 발달단계별 특성
1. 구강기(0-1세)
2. 항문기(1-3세)
3. 남근기(3-6세)
4. 잠복기(6-12세)
5. 생식기(12세 이후)
Ⅲ. 프로이드이론에 대한 비판
Ⅳ. 오이디푸스
Ⅴ. 오이디푸스 신화
Ⅵ. 문화인류학에서 보는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Ⅶ. 프로이드의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와 엘렉트라 콤플렉스
Ⅷ. 소포클레스의 <오이디푸스 왕> 분석
1. 오이디푸스 왕의 성격화 과정
2. 오이디푸스 왕의 플롯
3. 신화적 질서에서 비롯한 정서적 효과
참고문헌
Ⅱ. 프로이드이론의 발달단계별 특성
1. 구강기(0-1세)
2. 항문기(1-3세)
3. 남근기(3-6세)
4. 잠복기(6-12세)
5. 생식기(12세 이후)
Ⅲ. 프로이드이론에 대한 비판
Ⅳ. 오이디푸스
Ⅴ. 오이디푸스 신화
Ⅵ. 문화인류학에서 보는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Ⅶ. 프로이드의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와 엘렉트라 콤플렉스
Ⅷ. 소포클레스의 <오이디푸스 왕> 분석
1. 오이디푸스 왕의 성격화 과정
2. 오이디푸스 왕의 플롯
3. 신화적 질서에서 비롯한 정서적 효과
참고문헌
본문내용
에는 대단히 부자연스럽고 돌발적인 측면이 담겨 있다. ⑦의 질문이 포함하고 있듯, 오이디푸스는 인생의 지속적인 면, 총체적인 면에 충실한 사람이 아니다. 오이디푸스 왕은 라이오스 왕의 살해자를 추적하는 과정에서, 자신이 범인으로 좁혀지는 과정을 경험한다. 아마 정상적인 인물이라면 그로서는 수사를 중지시키는 것이 자연스러울 것이다. 그러나 그는 집요하게 수사를 진행시킨다. 다시 말해, 그는 일반인보다 고상한 영웅에 해당하지만, 일상인의 상식에서는 벗어난 개성을 소유하고 있다. 이처럼 부자연스럽고 돌발적으로 규정된 오이디푸스의 인물 설정은 출생의 비밀이 폭로되고 결국 파멸에 이른다는 이 극 전체의 플롯을 위해 성격의 자연스러움을 훼손한 대표적인 사례로 들 수 있을 것이다. 인물의 등퇴장을 중심으로 이 작품의 플롯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위의 장면 분절과는 별도로, <오이디푸스 왕>에는 카드모스 왕가의 비극적인 일대기와 스핑크스의 이야기가 중요한 극적 전제로 주어진다. 이 부분은 작품의 발단(exposition) 국면으로, 관객들에게 전사(antecedent action)를 전해주는 기능을 맡는다. 그런 다음, 도시에 찾아든 재앙의 원인을 찾는 행위가 작품의 상승 국면을 주도한다. 그러나 여러 차례의 위기를 거쳐 오이디푸스는 자신이 범인이 아니라는 확신에 이르게 되는데, 위의 18번 장면이야말로 이 작품의 정점에 있다. 그러나 그 정점은 코린토스로부터 막 도착한 사자에 의해 급작스러운 반전(Irony, peripeteia)이 이루어진다. 자신이 부친 살해와 근친상간의 저주를 피하기 위해 코린토스에서 도망쳤지만, 코린토스의 왕과 왕비는 자신의 친부모가 아니라는 점이 밝혀지면서, 오이디푸스의 운명은 급작스러운 하강 국면에 접어드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반전은 그로 하여금 자신의 운명에 대한 뼈저린 발견(Disclosure, anagnorisis)에 도달하게 만든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이 작품의 결말 부분을 두고 반전과 발견의 절묘한 결합(this coupling of Irony and Disclosure)을 높게 평가하고 있다. 발견에는 표지(標識)에 의한 발견, 시인에 의해 조작된 발견, 기억에 의한 발견, 추리에 의한 발견, 상대방의 오류 추리에 의한 발견, 사건 그 자체로부터 유발되는 발견이 있는데, 제일 후자에 해당하는 사례가 가장 훌륭하다고 본다. 코린토스의 사자(使者)는 오이디푸스로 하여금 공포에서 벗어나 용기를 얻게 하기 위해 달려왔지만, 결과적으로는 오이디푸스의 공포를 확대하여 처절한 인식에 이르게 하고 있는데, 사자의 등장이라는 사건을 통해 극의 반전과 발견을 가져오게 한 점이야말로 위의 전형적인 사례에 해당된다.
3. 신화적 질서에서 비롯한 정서적 효과
이 작품에서 스핑크스 이야기가 담고 있는 내용은 매우 함축적이다. 어려선 네 발로 걷고, 커선 두 발로, 늙어서는 세 발로 걷는 것은 무엇이냐.는 스핑크스의 수수께끼는 더 많은 발로 걸을수록, 더 약한 존재(The more feet it walks on, / The weaker it be)라는 동요 속에 암시된 것처럼, 그리스인들의 우주론적 질서를 상징한다. 스핑크스의 어법을 확대해 보면, 그리스 연극에는 세 개의 층위가 있다. 하나는 인간의 세계이고 나머지 둘은 천상과 지하의 세계이다. 빛과 지혜와 생명의 의미로 예찬되는 천상, 음모와 범죄와 죽음의 의미로 기능하는 지하의 세계 중간에 놓인 인간들의 모습이야말로 그리스 연극의 갈등구조인 셈인데, 위에서 언급한 스핑크스의 퀴즈에는 이러한 연극공간의 층위가 잘 나타나 있다. 위에서부터 보면 하늘의 신(제우스)→새→성인→노인→아이→지하의 신(하데스)의 위계질서가 뚜렷한데, 스핑크스의 퀴즈는 인간이 처한 위치가 어떠한가를 질문하고 있다는 점에서, 단순한 에피소드가 아니라 그것 자체로 인간에 대한 존재론적인 질문에 도달하게 만든다. 인간은 두 발로 직립하고 있지만 새만도 못하다는 것, 이것이야말로 스핑크스가 인간을 해석하는 관점인 것이다. 한편, 두 발로 선 성인 오이디푸스는 이 지평을 떠나지 못한다. 유아로 태어난 오이디푸스가 줄에 묶여 버려질 때, 그는 발목이 부은 존재(오이디푸스)로서 그야말로 가장 약한 존재이지만, 결말 부분에서 실명한 채 지팡이에 의지하여 방랑의 길을 떠나는 오이디푸스의 처지는 세 발로 걷는 노인의 형국을 지닌다. 이처럼 스핑크스의 이야기는 이 작품의 우주관을 대변하기도 하고, 오이디푸스의 변화되는 운명에 대한 복선으로 기능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 스핑크스의 이야기가 원작에 전면적으로 드러나, 인물들의 행동을 직접 규율하지는 못한다. 이 작품은 스핑크스와 오이디푸스의 대결 속에서 오이디푸스가 승리하게 만들지만, 궁극에는 오이디푸스로 하여금 인간의 유한함에 대한 뼈저린 깨달음을 느끼도록 꾸며져 있다. 우리가 느끼는 정서적 효과는 무엇일까. 소포클레스의 <오이디푸스 왕>이 담고 있는 정서적 효과는 연민(pity)과 공포(fear), 그리고 여기에 연원한 카타르시스(katharsis)로 요약될 수 있다. 그러나 현대 정신분석학의 발달에도 불구하고, 연민과 공포가 카타르시스에 이르기까지의 기제에 대해서는 충분한 설명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비극이 주는 정서적 효과가 고대 그리스의 관객들과 현대의 관객들에게 동일할 수 있을까에 대한 근본적인 의문도 해명될 수 없다. 신과 인간이 기묘하게 공존하고 있던 고대 그리스 시대의 정서는 신이 없는 시대에 살고 있는 현대인들이 받아들이고 있는 정서와는 다르기 때문이다. 바로 이 점이 고대 그리스 연극 <오이디푸스 왕>을 현대에 맞게 각색하는 이유일 것이다.
참고문헌
- 김기영, 오이디푸스 튀란노스의 성격과 자기지식
- 김명화(2000), 오이디푸스, 그것은 인간, 한국연극
- 도정일(1999), 20세기의 오이디푸스, 문학동네
-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 왕, 범우사
- 소포클레스(1998), 오이디푸스 왕과 안티고네, 계명대학교출판부
- 소포클레스(1998), 소포클레스 비극, 단국대학교출판부
- 이철(1986), Fromm의 Oedipus Complex론, 서울의대정신의학, 11(2): 124-129
위의 장면 분절과는 별도로, <오이디푸스 왕>에는 카드모스 왕가의 비극적인 일대기와 스핑크스의 이야기가 중요한 극적 전제로 주어진다. 이 부분은 작품의 발단(exposition) 국면으로, 관객들에게 전사(antecedent action)를 전해주는 기능을 맡는다. 그런 다음, 도시에 찾아든 재앙의 원인을 찾는 행위가 작품의 상승 국면을 주도한다. 그러나 여러 차례의 위기를 거쳐 오이디푸스는 자신이 범인이 아니라는 확신에 이르게 되는데, 위의 18번 장면이야말로 이 작품의 정점에 있다. 그러나 그 정점은 코린토스로부터 막 도착한 사자에 의해 급작스러운 반전(Irony, peripeteia)이 이루어진다. 자신이 부친 살해와 근친상간의 저주를 피하기 위해 코린토스에서 도망쳤지만, 코린토스의 왕과 왕비는 자신의 친부모가 아니라는 점이 밝혀지면서, 오이디푸스의 운명은 급작스러운 하강 국면에 접어드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반전은 그로 하여금 자신의 운명에 대한 뼈저린 발견(Disclosure, anagnorisis)에 도달하게 만든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이 작품의 결말 부분을 두고 반전과 발견의 절묘한 결합(this coupling of Irony and Disclosure)을 높게 평가하고 있다. 발견에는 표지(標識)에 의한 발견, 시인에 의해 조작된 발견, 기억에 의한 발견, 추리에 의한 발견, 상대방의 오류 추리에 의한 발견, 사건 그 자체로부터 유발되는 발견이 있는데, 제일 후자에 해당하는 사례가 가장 훌륭하다고 본다. 코린토스의 사자(使者)는 오이디푸스로 하여금 공포에서 벗어나 용기를 얻게 하기 위해 달려왔지만, 결과적으로는 오이디푸스의 공포를 확대하여 처절한 인식에 이르게 하고 있는데, 사자의 등장이라는 사건을 통해 극의 반전과 발견을 가져오게 한 점이야말로 위의 전형적인 사례에 해당된다.
3. 신화적 질서에서 비롯한 정서적 효과
이 작품에서 스핑크스 이야기가 담고 있는 내용은 매우 함축적이다. 어려선 네 발로 걷고, 커선 두 발로, 늙어서는 세 발로 걷는 것은 무엇이냐.는 스핑크스의 수수께끼는 더 많은 발로 걸을수록, 더 약한 존재(The more feet it walks on, / The weaker it be)라는 동요 속에 암시된 것처럼, 그리스인들의 우주론적 질서를 상징한다. 스핑크스의 어법을 확대해 보면, 그리스 연극에는 세 개의 층위가 있다. 하나는 인간의 세계이고 나머지 둘은 천상과 지하의 세계이다. 빛과 지혜와 생명의 의미로 예찬되는 천상, 음모와 범죄와 죽음의 의미로 기능하는 지하의 세계 중간에 놓인 인간들의 모습이야말로 그리스 연극의 갈등구조인 셈인데, 위에서 언급한 스핑크스의 퀴즈에는 이러한 연극공간의 층위가 잘 나타나 있다. 위에서부터 보면 하늘의 신(제우스)→새→성인→노인→아이→지하의 신(하데스)의 위계질서가 뚜렷한데, 스핑크스의 퀴즈는 인간이 처한 위치가 어떠한가를 질문하고 있다는 점에서, 단순한 에피소드가 아니라 그것 자체로 인간에 대한 존재론적인 질문에 도달하게 만든다. 인간은 두 발로 직립하고 있지만 새만도 못하다는 것, 이것이야말로 스핑크스가 인간을 해석하는 관점인 것이다. 한편, 두 발로 선 성인 오이디푸스는 이 지평을 떠나지 못한다. 유아로 태어난 오이디푸스가 줄에 묶여 버려질 때, 그는 발목이 부은 존재(오이디푸스)로서 그야말로 가장 약한 존재이지만, 결말 부분에서 실명한 채 지팡이에 의지하여 방랑의 길을 떠나는 오이디푸스의 처지는 세 발로 걷는 노인의 형국을 지닌다. 이처럼 스핑크스의 이야기는 이 작품의 우주관을 대변하기도 하고, 오이디푸스의 변화되는 운명에 대한 복선으로 기능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 스핑크스의 이야기가 원작에 전면적으로 드러나, 인물들의 행동을 직접 규율하지는 못한다. 이 작품은 스핑크스와 오이디푸스의 대결 속에서 오이디푸스가 승리하게 만들지만, 궁극에는 오이디푸스로 하여금 인간의 유한함에 대한 뼈저린 깨달음을 느끼도록 꾸며져 있다. 우리가 느끼는 정서적 효과는 무엇일까. 소포클레스의 <오이디푸스 왕>이 담고 있는 정서적 효과는 연민(pity)과 공포(fear), 그리고 여기에 연원한 카타르시스(katharsis)로 요약될 수 있다. 그러나 현대 정신분석학의 발달에도 불구하고, 연민과 공포가 카타르시스에 이르기까지의 기제에 대해서는 충분한 설명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비극이 주는 정서적 효과가 고대 그리스의 관객들과 현대의 관객들에게 동일할 수 있을까에 대한 근본적인 의문도 해명될 수 없다. 신과 인간이 기묘하게 공존하고 있던 고대 그리스 시대의 정서는 신이 없는 시대에 살고 있는 현대인들이 받아들이고 있는 정서와는 다르기 때문이다. 바로 이 점이 고대 그리스 연극 <오이디푸스 왕>을 현대에 맞게 각색하는 이유일 것이다.
참고문헌
- 김기영, 오이디푸스 튀란노스의 성격과 자기지식
- 김명화(2000), 오이디푸스, 그것은 인간, 한국연극
- 도정일(1999), 20세기의 오이디푸스, 문학동네
-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 왕, 범우사
- 소포클레스(1998), 오이디푸스 왕과 안티고네, 계명대학교출판부
- 소포클레스(1998), 소포클레스 비극, 단국대학교출판부
- 이철(1986), Fromm의 Oedipus Complex론, 서울의대정신의학, 11(2): 124-129
추천자료
콜버그의 도덕발달 이론
현대사회와 자녀사회화
정신분석 인지주의 행동주의 사회학습이론 - 도덕성 발달이론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
도덕성 발달과 교육
[교사를 위한 교육심리학] 2장. 학습자의 발달 이해 요약정리
[교사를 위한 교육심리학] 책 2장 : '학습자의 발달이해' 요약
청소년복지론 1장 요약
사회학 요약
프로이드의 5단계 이론에 맞춰 자신의 성장배경을 통한 성격과 원인을 분석하시오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인지행동이론의 이해 - 도덕성 발달이론,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 ...
미혼모가족과 가족복지-미혼모가족의개념, 현황, 발생원인, 미혼모복지대책, 미혼모가족복지,...
[인간행동과사회환경] 청소년기 (청소년기의 개념, 청소년기의 발달과업, 청소년기발달, 청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