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 론
2. 제약산업과 생명공학 혁신의 주요내용 및 해석
2.1 제약산업의 정의
2.2 제약산업의 특성
2.3 생명공학 혁신의 주요 내용
2.4 생명공학 혁신의 성격
3. 제약산업과 생명공학기업간 협력의 동기와 조건
3.1 협력의 동기
3.2 협력의 조건
4. 협력의 내용
4.1 협력의 유형과 유형간의 보완성
4.2 분야별 협력의 강도
4.3 기업의 역량과 협력의 빈도
4.3.1 대기업의 내부 역량과 협력의 빈도
4.3.2 협력의 빈도와 창업기업의 기술적 성과
5. 협력은 일시적인 현상일까? 지속될 것인가?
5.1 수직적 통합을 강조하는 입장
5.2 협력의 지속성을 강조하는 입장
6. 이론적, 실천적 시사점
6.1 이론적 시사점
6.1.1 제약산업 기술궤적의 해석
6.1.2 제약산업의 기술궤적이 지니는 이론적 함의
6.2 실천적 시사점
참고 문헌
2. 제약산업과 생명공학 혁신의 주요내용 및 해석
2.1 제약산업의 정의
2.2 제약산업의 특성
2.3 생명공학 혁신의 주요 내용
2.4 생명공학 혁신의 성격
3. 제약산업과 생명공학기업간 협력의 동기와 조건
3.1 협력의 동기
3.2 협력의 조건
4. 협력의 내용
4.1 협력의 유형과 유형간의 보완성
4.2 분야별 협력의 강도
4.3 기업의 역량과 협력의 빈도
4.3.1 대기업의 내부 역량과 협력의 빈도
4.3.2 협력의 빈도와 창업기업의 기술적 성과
5. 협력은 일시적인 현상일까? 지속될 것인가?
5.1 수직적 통합을 강조하는 입장
5.2 협력의 지속성을 강조하는 입장
6. 이론적, 실천적 시사점
6.1 이론적 시사점
6.1.1 제약산업 기술궤적의 해석
6.1.2 제약산업의 기술궤적이 지니는 이론적 함의
6.2 실천적 시사점
참고 문헌
본문내용
흡수 할 수 있을 만큼, 그리고 그 벤처기업의 조직문화를 이해하고 잘 다룰 수 있을 만큼 내부 역량이 쌓인 후에 인수해야 한다. 인수과정에서 핵심인력이 빠져나간다면 인수의 의미가 없어지므로, 인력의 유지를 가장 중요하게 관리해야 한다.
다섯째, 기술적 가능성이 불확실한 신규 시장에서 창업하는 기업가는 기존의 대기업과 제휴를 맺음으로써 기존 대기업이 지닌 보완적 자산을 활용할 수 있으며, 투자유치에 필요한 신뢰를 얻는 부수적 효과도 거둘 수 있다. 특히 연구개발 집약적인 신생 벤처기업은 같은 분야의 대기업과 제휴하여 연구개발, 생산, 판매의 분업 관계를 구축할 수 있다. 이러한 전략은 종종 신생 틈새시장에서 대기업의 시장 지배력을 활용하여 선발자를 따라잡는 좋은 전략이 될 수 있다.
참고 문헌
일본경제신문, 생명공학용어해설집, 2000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한국 바이오 산업 현황과 전망, 2003. 12.
日經바이오테크 편 (1991), 「생명공학용어해설집 2000」, 日本經濟新聞 (국역본: 용군호 외 역, 1994, 도서출판 한림원).
Arora, A. and A. Gambardella (1990), "Complementarity and External Linkages: The Strategies of The Large Firms in Biotechnology", The Journal Of Industrial Economics, Vol. 38, pp. 361-379.
Dodgson, M. (1991), "Strategic Alignment and Organizational Options in Biotechnology Firms", Technology Analysis & Strategic Management, Vol. 3, pp. 115-125.
Henderson, R., L. Orsenigo, G. P. Pisano (1999), "The Pharmaceutical Industry and the Revolution in Molecular Biology: Interactions among Scientific, Institutional, and Organizational Change", in David C. M. and Richard R. N. (eds.), Sources of Industrial Leadership: Studies of Seven Industrie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Pisano, G. P. (1991), "The Governance of Innovation: Vertical Integration and Collaborative Arrangements in the Biotechnology Industry", Research Policy, Vol. 20, pp. 237-249.
Prevezer, M. and S. Toker (1996), "The Degree of Integration in Strategic Aalliances in Biotechnology", Technology Analysis & Strategic Management, Vol. 8, pp. 117-133.
Schumpeter, J. (1934), The Theory of Economic Development,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Shan, W. G. Walker, B. Kogut (1994), "Interfirm Cooperation and Startup Innovation in the Biotechnology Industry",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Vol. 15, pp. 387-394.
Senker, J. (1996), "National Systems of Innovation, Organizational Learning and Industrial Biotechnology", Technovation, Vol. 16, pp. 219-229.
Senker, J. and M. Sharp (1997), "Organizational Learning in Cooperative Alliances: Some Case Studies in Biotechnology", Technology Analysis & Strategic Management, Vol. 9, pp. 35-51.
Tapon, F. and M. Thong (1999), "Research Collaborations by Multi- national Research Oriented Pharmaceutical Firms: 1988-1997", R&D Management, Vol. 29, pp. 219-231.
Tushman, M. and P. Anderson (1986), "Technological Discontinuities and Organizational Environment",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Vol. 31, pp. 439-456.
Utterback, J. M. (1994), Mastering the Dynamics of Innovation, Boston: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국역: 「기술변화와 혁신전략」, 김인수, 김영배, 서의호 공역, 1997, 경문사)
Whittaker, E. and D. J. Bower (1994), "A Shift to External Alliances for Product Development in the Pharmaceutical Industry", R&D Management, Vol. 24, pp. 249-260.
Zucker, L. G. and M. R. Darby (1997), "Present at the Biotechnological Revolution: Transformation of Technological Identity for a Large Incumbent Pharmaceutical Firm", Research Policy, Vol. 26, pp. 429-446.
다섯째, 기술적 가능성이 불확실한 신규 시장에서 창업하는 기업가는 기존의 대기업과 제휴를 맺음으로써 기존 대기업이 지닌 보완적 자산을 활용할 수 있으며, 투자유치에 필요한 신뢰를 얻는 부수적 효과도 거둘 수 있다. 특히 연구개발 집약적인 신생 벤처기업은 같은 분야의 대기업과 제휴하여 연구개발, 생산, 판매의 분업 관계를 구축할 수 있다. 이러한 전략은 종종 신생 틈새시장에서 대기업의 시장 지배력을 활용하여 선발자를 따라잡는 좋은 전략이 될 수 있다.
참고 문헌
일본경제신문, 생명공학용어해설집, 2000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한국 바이오 산업 현황과 전망, 2003. 12.
日經바이오테크 편 (1991), 「생명공학용어해설집 2000」, 日本經濟新聞 (국역본: 용군호 외 역, 1994, 도서출판 한림원).
Arora, A. and A. Gambardella (1990), "Complementarity and External Linkages: The Strategies of The Large Firms in Biotechnology", The Journal Of Industrial Economics, Vol. 38, pp. 361-379.
Dodgson, M. (1991), "Strategic Alignment and Organizational Options in Biotechnology Firms", Technology Analysis & Strategic Management, Vol. 3, pp. 115-125.
Henderson, R., L. Orsenigo, G. P. Pisano (1999), "The Pharmaceutical Industry and the Revolution in Molecular Biology: Interactions among Scientific, Institutional, and Organizational Change", in David C. M. and Richard R. N. (eds.), Sources of Industrial Leadership: Studies of Seven Industrie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Pisano, G. P. (1991), "The Governance of Innovation: Vertical Integration and Collaborative Arrangements in the Biotechnology Industry", Research Policy, Vol. 20, pp. 237-249.
Prevezer, M. and S. Toker (1996), "The Degree of Integration in Strategic Aalliances in Biotechnology", Technology Analysis & Strategic Management, Vol. 8, pp. 117-133.
Schumpeter, J. (1934), The Theory of Economic Development,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Shan, W. G. Walker, B. Kogut (1994), "Interfirm Cooperation and Startup Innovation in the Biotechnology Industry",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Vol. 15, pp. 387-394.
Senker, J. (1996), "National Systems of Innovation, Organizational Learning and Industrial Biotechnology", Technovation, Vol. 16, pp. 219-229.
Senker, J. and M. Sharp (1997), "Organizational Learning in Cooperative Alliances: Some Case Studies in Biotechnology", Technology Analysis & Strategic Management, Vol. 9, pp. 35-51.
Tapon, F. and M. Thong (1999), "Research Collaborations by Multi- national Research Oriented Pharmaceutical Firms: 1988-1997", R&D Management, Vol. 29, pp. 219-231.
Tushman, M. and P. Anderson (1986), "Technological Discontinuities and Organizational Environment",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Vol. 31, pp. 439-456.
Utterback, J. M. (1994), Mastering the Dynamics of Innovation, Boston: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국역: 「기술변화와 혁신전략」, 김인수, 김영배, 서의호 공역, 1997, 경문사)
Whittaker, E. and D. J. Bower (1994), "A Shift to External Alliances for Product Development in the Pharmaceutical Industry", R&D Management, Vol. 24, pp. 249-260.
Zucker, L. G. and M. R. Darby (1997), "Present at the Biotechnological Revolution: Transformation of Technological Identity for a Large Incumbent Pharmaceutical Firm", Research Policy, Vol. 26, pp. 429-446.
키워드
추천자료
우리나라 게임산업의 특성과 전망 그리고 게임의 유통 및 소비구조에 대하여
프랜차이즈와 산업공학
호텔산업과 산업공학
디지털기술 발전과 문화컨텐츠 패러다임 변화, 문화산업 특성에 기인하는 필요성, 디지털컨텐...
[조선산업][조선업]조선산업(조선업) 특성,고용구조, 조선산업(조선업) 현황, 조선산업(조선...
[반도체][반도체산업][삼성전자][반도체기술]반도체(반도체산업)의 정의, 반도체(반도체산업)...
[로봇][로보트][기계][로봇(로보트, 기계)시스템][산업용로봇(로보트, 기계)][로봇공학기술자...
[효소][효소 활성화][효소 보조인자][펄프산업 효소활용 사례][식품산업 효소활용 사례]효소...
[경영환경변화와 중소기업 대응전략] 중소기업경영상의 특성과 중소기업의 제약요인 및 대응전략
[외식산업] 외식과 외식산업의 개념(정의), 특성, 경영형태, 성장요인, 전망과 과제
[기술혁신]기술혁신과 지역경제발전, 지역혁신체제(RIS), 기술혁신과 국가혁신체제(NIS), 기...
[산업공학]ERP 란 무엇인가
학교경영 혁신의 제약요소와 학교경영 혁신의 가능성 및 새로운 시대 학교경영모형 수립에 주...
산업환경규제레짐의 유형과 특성 [연구배경, 비교연구를 위한 분석모형, 주요국가 산업환경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