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벽안의 의사가 본 동양의학 요약
1장. 동양 의학과 서양 의학
2장. 인체 생리의 기본 성분
3장. 인체의 장부와 그 조화
4장. 경락
5장. 부조화의 근원
6장. 네 가지 진찰 방법
7장. 여덟 가지의 기본 유형
8장. 좀 더 정교한 유형 판별
9장. 동양 의학의 실제적 측면
10장. 동양의 진리와 서양의 진리
1장. 동양 의학과 서양 의학
2장. 인체 생리의 기본 성분
3장. 인체의 장부와 그 조화
4장. 경락
5장. 부조화의 근원
6장. 네 가지 진찰 방법
7장. 여덟 가지의 기본 유형
8장. 좀 더 정교한 유형 판별
9장. 동양 의학의 실제적 측면
10장. 동양의 진리와 서양의 진리
본문내용
(切診)
- 신체의 각기 부위 또는 혈위를 만져 봄( 마지막 단계이면서 가장 중요한 단계)
- 맥을 보는 과정은 가장 핵심
- 맥의 종류는 기본적인 맥상으로 구분하는 데, 구분하는 데 있어 지표가 되는 항목은 깊이, 속도, 넓이, 강도, 성질, 리듬, 그리고 길이 등 일곱 가지이다. 자세한 그림과 설명은 본문에 자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7장. 여덟 가지의 기본 유형
동양 의학에서 제시하는 많은 부조화 유형들은 기본적으로 여덟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이를 팔강(八綱)이라 한다.
팔강의 유형 분별
팔강은 음양, 표리, 허실, 한열 이렇게 네 쌍의 상반되는 유형으로 구성된다.
① 내적인 부조화의 유형(이증)과 외적인 부조화의 유형(표증)
- 이증은 내적인 부조화에 의해, 표증은 외사에 의해 일어난다.
② 부족의 유형(허증)과 과도의 유형(실증)
③ 한증과 열증
일반적 증후
혀
맥
실증
육중한 움직임
두꺼운 설태
강한 맥
허증
허약한 움직임
얇은 설태
약한 맥
열증
붉은 안색
노란 설태
삭맥
한증
창백한 안색
흰 설태
지맥
④ 음증과 야증
- 음 = 이 + 허 + 한
- 양 = 표 + 실 + 열
팔강의 조합
음양 구분
발생 인자
일반적인 증후
혀
맥
실열
양실
열사의 침착
고열, 강한움직임
두껍고 노란설태
삭맥, 실맥
허열
음허
음액의 고갈
오후의 발열, 불면증
설태가 거의 없음
삭맥, 세맥
실한
음실
한사의 침착
느린 움직임, 오한
두껍고 흰 설태
지맥, 긴맥, 현맥
허한
양허
양의 부족
쇠약한 움직임, 오한
얇은 설태
지맥, 세맥, 미맥, 약맥
진열가한증 ; 진한가열증
- 극도의 부조화에서 흔히 나타나는 거짓 증후
- 진열가한증 : 극도의 양이 음을 사지로 내몰아서 생긴 결과
- 진열가열증 : 극심한 한의 부조화에서 겉으로 열의 양상이 보이는 결과
표리, 허실, 한열의 유형
- 반대되는 유형이 공존하는 것도 가능
- 한 부조화 유형이 다른 유형으로 전환되는 경우도 가능
8장. 좀 더 정교한 유형 판별
기와 혈의 부조화 유형 및 양허증과 음허증
① 기허증과 양허증
- 기허 : 창백한 안색과 약한 맥
- 양허 : 오한, 부은 듯한 혀
② 기체증
- 어두운 자주빛의 혀와 팽팽한 듯한 맥
③ 혈허증과 음허증
- 혈허 : 어지러움, 시력장애, 손발저림
- 음허 : 음 또는 수의 상대적 결핍에 의해 열과 함께 수반
④ 혈어증
- 외상, 출혈, 기체 또는 한 때문에 유발
- 한 곳에 고정되어 있으면서 찌르는 듯한 성상
⑤ 혈열증
- 실열증의 한 형태, 출혈
- 갈증, 신경과민, 빠른 맥, 정신착란 등의 증후
사기의 유형
① 열사증
② 풍사증 - 갑작스런 발병
③ 한사증 - 관절이나 근육에 심한 동통
④ 습사증
⑤ 담증 - 두꺼운 설태와 매끄러운 맥
각 장부의 부조화 유형
① 심의 부조화
- 심기허와 심양허
- 심혈어
- 차가운 담에 의한 심규의 혼란과 담화에 의한 심의 흥분
② 폐의 부조화
- 한사가 폐를 침범함
- 열사가 폐를 막음
- 담습이 폐를 가로막음
- 폐음허
- 폐기허
③ 비의 부조화
- 비기허와 비양허
- 비의 기함
- 비가 혈을 통솔하지 못함
- 습이 비를 괴롭힘
- 외습에 의한 저애
- 비에 습열이 쌓임
- 탁한 담이 머리를 어지럽힘
④ 간의 부조화
- 간의 기가 경직됨
- 간화가 위로 타오름
- 간음허
- 간양이 위로 상승함
- 간풍이 안으로 움직임
- 간혈허
- 한에 의해 간경맥이 정체됨
⑤ 신의 부조화
- 신양허
- 신음허
- 신정부족
9장. 동양 의학의 실제적 측면
유형이라는 틀을 통해 다양한 임상 상황들을 파악하는 과정은 동양 의사가 인체 전체의 상황을 가시화하고 각각의 부조화를 인식하여 진단을 내리고 치료방침을 결정할 수 있게 해주는 수단이 된다. 동양 의학의 부조화 유형에 대한 논의에서 우리는 가장 단순하고 기본적인 것들만 살펴보았으나 실제 임상에서는 종종 유형들이 복합되어 있고 분명치 않은 상황에 부딪히게 된다. 이 때 의사는 증후들 간의 관계를 결정하여 유형의 정수를 분별하기 위해 감수성과 경험에 의존 할 수밖에 없다. 그러한 전체를 감지해내는 능력은 동양 의사가 갖추어야 할 진단기술 중 가장 어려운 부분이다. 즉, 동양 의학에서나 서양 의학에서나 훌륭한 의사가 되기 위해서는 넓은 임상 경험이 있어야 한다는 점은 공통적으로 인정되지만 동양 의학은 경험을 통한 감수성의 개발을 좀 더 강조한다. 이것이 두 의학 체계의 중요한 차이점이다.
10장. 동양의 진리와 서양의 진리
동양 의학은 건강과 질병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였고, 서양 의학은 전체를 보지 못한다는 약점이 있다. 또한 동양 의학의 처방은 서양의 약에 비해 좀 더 부드럽고 안전하며 부작용 또한 적고, 질을 측정하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 동양 의학은 그 자체로서 완전하면서 모든 것을 포함하는 체계이어서 그 기본적인 전제에 대치되는 그 어떤 것과도 융화될 수 없다. 새로운 관념이나 성분이 정립되고 또 경우에 따라 전체적인 체계 속에 편입 될 수도 있겠지만 그 기본적인 기질을 확장시키거나 변화시킬 수는 없는 것이다.
반면에 서양 의학은 다루기 힘들고 복잡한 질병들의 핵심을 쉽게 관통한 업적을 가지고 있으며, 명료하고 정확하다. 서양 과학은 둔감성, 거만함, 그리고 자연에 대한 도전이라는 점에서 비판 받을 수 있으나 과학적 사고 속에도 겸허함이 있다는 것도 사실이다. 서양 사고의 발달은 전통 중국 사고와는 달리 새로운 모델과 새로운 이론을 받아들일 여지를 만들고 있다.
과학이 동양 의학과 만나는 과정에서 서양의 연구에 있어서 상호 관계를 중시하는 막강한 도가 정신은 서양의 척도로 가름할 수 없는 것들을 부각시켜서 단순히 기법만이 도입되는 것을 지양할 수 있게 해줄 수 있을 것이다. 그리하여 인간의 건강과 질병을 보는 데 있어서 분석적이면서 동시에 종합적인 시각으로 전환하여 서양의 과학은 생물학적인 실재에 대해서 좀 더 정확한 사고 체계가 될 수 있을 것이며, 동시에 동양 의학 역시 과학적 도약을 통해 그 방법들이 좀 더 높은 정확성과 효율성으로 무장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므로 서양 의학은 계속 노력하여 ‘창조’를 하여 중국의 전통을 포괄할 수 있는 의학 체계를 완성해야 한다.
- 신체의 각기 부위 또는 혈위를 만져 봄( 마지막 단계이면서 가장 중요한 단계)
- 맥을 보는 과정은 가장 핵심
- 맥의 종류는 기본적인 맥상으로 구분하는 데, 구분하는 데 있어 지표가 되는 항목은 깊이, 속도, 넓이, 강도, 성질, 리듬, 그리고 길이 등 일곱 가지이다. 자세한 그림과 설명은 본문에 자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7장. 여덟 가지의 기본 유형
동양 의학에서 제시하는 많은 부조화 유형들은 기본적으로 여덟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이를 팔강(八綱)이라 한다.
팔강의 유형 분별
팔강은 음양, 표리, 허실, 한열 이렇게 네 쌍의 상반되는 유형으로 구성된다.
① 내적인 부조화의 유형(이증)과 외적인 부조화의 유형(표증)
- 이증은 내적인 부조화에 의해, 표증은 외사에 의해 일어난다.
② 부족의 유형(허증)과 과도의 유형(실증)
③ 한증과 열증
일반적 증후
혀
맥
실증
육중한 움직임
두꺼운 설태
강한 맥
허증
허약한 움직임
얇은 설태
약한 맥
열증
붉은 안색
노란 설태
삭맥
한증
창백한 안색
흰 설태
지맥
④ 음증과 야증
- 음 = 이 + 허 + 한
- 양 = 표 + 실 + 열
팔강의 조합
음양 구분
발생 인자
일반적인 증후
혀
맥
실열
양실
열사의 침착
고열, 강한움직임
두껍고 노란설태
삭맥, 실맥
허열
음허
음액의 고갈
오후의 발열, 불면증
설태가 거의 없음
삭맥, 세맥
실한
음실
한사의 침착
느린 움직임, 오한
두껍고 흰 설태
지맥, 긴맥, 현맥
허한
양허
양의 부족
쇠약한 움직임, 오한
얇은 설태
지맥, 세맥, 미맥, 약맥
진열가한증 ; 진한가열증
- 극도의 부조화에서 흔히 나타나는 거짓 증후
- 진열가한증 : 극도의 양이 음을 사지로 내몰아서 생긴 결과
- 진열가열증 : 극심한 한의 부조화에서 겉으로 열의 양상이 보이는 결과
표리, 허실, 한열의 유형
- 반대되는 유형이 공존하는 것도 가능
- 한 부조화 유형이 다른 유형으로 전환되는 경우도 가능
8장. 좀 더 정교한 유형 판별
기와 혈의 부조화 유형 및 양허증과 음허증
① 기허증과 양허증
- 기허 : 창백한 안색과 약한 맥
- 양허 : 오한, 부은 듯한 혀
② 기체증
- 어두운 자주빛의 혀와 팽팽한 듯한 맥
③ 혈허증과 음허증
- 혈허 : 어지러움, 시력장애, 손발저림
- 음허 : 음 또는 수의 상대적 결핍에 의해 열과 함께 수반
④ 혈어증
- 외상, 출혈, 기체 또는 한 때문에 유발
- 한 곳에 고정되어 있으면서 찌르는 듯한 성상
⑤ 혈열증
- 실열증의 한 형태, 출혈
- 갈증, 신경과민, 빠른 맥, 정신착란 등의 증후
사기의 유형
① 열사증
② 풍사증 - 갑작스런 발병
③ 한사증 - 관절이나 근육에 심한 동통
④ 습사증
⑤ 담증 - 두꺼운 설태와 매끄러운 맥
각 장부의 부조화 유형
① 심의 부조화
- 심기허와 심양허
- 심혈어
- 차가운 담에 의한 심규의 혼란과 담화에 의한 심의 흥분
② 폐의 부조화
- 한사가 폐를 침범함
- 열사가 폐를 막음
- 담습이 폐를 가로막음
- 폐음허
- 폐기허
③ 비의 부조화
- 비기허와 비양허
- 비의 기함
- 비가 혈을 통솔하지 못함
- 습이 비를 괴롭힘
- 외습에 의한 저애
- 비에 습열이 쌓임
- 탁한 담이 머리를 어지럽힘
④ 간의 부조화
- 간의 기가 경직됨
- 간화가 위로 타오름
- 간음허
- 간양이 위로 상승함
- 간풍이 안으로 움직임
- 간혈허
- 한에 의해 간경맥이 정체됨
⑤ 신의 부조화
- 신양허
- 신음허
- 신정부족
9장. 동양 의학의 실제적 측면
유형이라는 틀을 통해 다양한 임상 상황들을 파악하는 과정은 동양 의사가 인체 전체의 상황을 가시화하고 각각의 부조화를 인식하여 진단을 내리고 치료방침을 결정할 수 있게 해주는 수단이 된다. 동양 의학의 부조화 유형에 대한 논의에서 우리는 가장 단순하고 기본적인 것들만 살펴보았으나 실제 임상에서는 종종 유형들이 복합되어 있고 분명치 않은 상황에 부딪히게 된다. 이 때 의사는 증후들 간의 관계를 결정하여 유형의 정수를 분별하기 위해 감수성과 경험에 의존 할 수밖에 없다. 그러한 전체를 감지해내는 능력은 동양 의사가 갖추어야 할 진단기술 중 가장 어려운 부분이다. 즉, 동양 의학에서나 서양 의학에서나 훌륭한 의사가 되기 위해서는 넓은 임상 경험이 있어야 한다는 점은 공통적으로 인정되지만 동양 의학은 경험을 통한 감수성의 개발을 좀 더 강조한다. 이것이 두 의학 체계의 중요한 차이점이다.
10장. 동양의 진리와 서양의 진리
동양 의학은 건강과 질병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였고, 서양 의학은 전체를 보지 못한다는 약점이 있다. 또한 동양 의학의 처방은 서양의 약에 비해 좀 더 부드럽고 안전하며 부작용 또한 적고, 질을 측정하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 동양 의학은 그 자체로서 완전하면서 모든 것을 포함하는 체계이어서 그 기본적인 전제에 대치되는 그 어떤 것과도 융화될 수 없다. 새로운 관념이나 성분이 정립되고 또 경우에 따라 전체적인 체계 속에 편입 될 수도 있겠지만 그 기본적인 기질을 확장시키거나 변화시킬 수는 없는 것이다.
반면에 서양 의학은 다루기 힘들고 복잡한 질병들의 핵심을 쉽게 관통한 업적을 가지고 있으며, 명료하고 정확하다. 서양 과학은 둔감성, 거만함, 그리고 자연에 대한 도전이라는 점에서 비판 받을 수 있으나 과학적 사고 속에도 겸허함이 있다는 것도 사실이다. 서양 사고의 발달은 전통 중국 사고와는 달리 새로운 모델과 새로운 이론을 받아들일 여지를 만들고 있다.
과학이 동양 의학과 만나는 과정에서 서양의 연구에 있어서 상호 관계를 중시하는 막강한 도가 정신은 서양의 척도로 가름할 수 없는 것들을 부각시켜서 단순히 기법만이 도입되는 것을 지양할 수 있게 해줄 수 있을 것이다. 그리하여 인간의 건강과 질병을 보는 데 있어서 분석적이면서 동시에 종합적인 시각으로 전환하여 서양의 과학은 생물학적인 실재에 대해서 좀 더 정확한 사고 체계가 될 수 있을 것이며, 동시에 동양 의학 역시 과학적 도약을 통해 그 방법들이 좀 더 높은 정확성과 효율성으로 무장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므로 서양 의학은 계속 노력하여 ‘창조’를 하여 중국의 전통을 포괄할 수 있는 의학 체계를 완성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