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과 The young language learner> - 시험대비 요약정리본
<1과 The young language learner> - 원문해석본
<1과 The young language learner> - 원문해석본
본문내용
and there are fewer other clues to meaning.
아이들이 처음 읽기 시작할 때는 언어가 영구적이게 돼서 단서나 뜻이 별로 없다.
Pupils can take a book home, they can read it again and again, they can stop, think about the language and work it out.
그래서 아이들은 집에 책을 가져갈 수 있게 하라. 그들은 책을 보고 또 볼 수 있고, 멈추고 언어에 대해 생각하고 배울 수 있다.
The same os true of writing.
글 쓰는 것도 비슷하게 배운다.
So reading and writing are extremely important for the child`s growing awareness of language and for their own growth in the language, although both are very demanding and take time and patience to learn.
그래서 읽고 쓰는 건 아이들의 언어에 대한 민감함과 언어에 대한 성숙함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둘 다 기다림이 필요하고 시간이 걸린다.
(지희)
교실에서의 다양성
집중과 주의 간격이 짧기 때문에, 다양성은 반드시 필요한 것이다. - 활동의 다양성, 속도의 다양성, 조직의 다양성, 목소리의 다양성. - 우리는 이에 대해 8과에서 좀 더 깊게 다루어 보겠다. 고학년(older pupils)들은 좀 더 긴 시간동안 집중 할 수 있고 따라서 당신은 그들이 그렇게 하도록(장시간 동안 집중하도록)해야 한다. 그러나 당신에게는 여전히 많은 다양성이 요구된다.
틀에 박힌 수법들
어린이들은 규칙들을 아는 것과 상황에 친숙해지는 것으로부터 이익을 본다. 구조들을 가져라, 틀에 박힌 수법들을 가져라, 당신의 수업들은 조직하고 계획하여라. 친숙한 상황들과 활동들을 사용하여라. 이야기나 운율, 그 이 외의 것을 반복해라. 우리는 이 관점들에 대해 ‘2과 - 수업 관리와 분위기’ 에서 좀 더 깊이 다시 볼 것이다.
경쟁 아닌 협동
보상과 상품을 피해라. 격려의 다른 형태들은 훨씬 많이 효과적이다. - 또한 이 과의 11쪽의 진술을 보라. 공유된 경험을 위한 자리를 만들어라. - 경험은 언어활동의 매우 귀중한 자원이고 참여와 일체감의 분위기를 창조한다. 우리들의 대부분은 소속감을 즐기고 이것은 어린 아이들에게는 특히 사실이다.
가능할 때마다 아이들을 집단으로 만들어라. 이것은 그들이 항상 집단으로 활동해야만 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나 대부분의 어린이들은 주변에 다른 어린이들은 두는 것을 좋아하고 다른 사람과 앉는 것은 협력을 촉진한다. 진심에서 우러난 협조적인 짝 활동과 집단 활동은 대부분 장기적인 진행의 결과이다. 15쪽에서 17쪽을 보아라. 어떤 학생들은 혼자일 때 가장 잘 일한다.
문법
어린이들은 그들이 즐기는 놀이와 다른 활동을 통해 언어에 몰두하는 놀라운 능력을 가진다. 그들이 얼마나 외국어를 잘 하는가는 그들이 문법을 배웠는가 그렇지 않은가에 달려 있지 않다. 그렇기 때문에 심지어 10살이나 11살의 학생들이라도 아주 소수의 학생들만이 문법에 대처할 수 있을 것이다. 그들은 외국어에 관하여 아마 잘 알고 명확하나 문법에 관하여 말하기에는 대부분 충분히 발달하지 않았다.
교사로서, 당신은 학생들이 이미 배운 구조, 기능, 문법 항목들뿐만 아니라 당신의 학생들이 배우기를 원하는 구조, 기능, 문법 항목들에 주목해야 한다. 하지만 실제적인 가르침은 문법으로써 가르친 최소한의 문법만을 포함해야 한다. 그리고 그것은 고연령 아이들(마땅한 단어가 생각이 안 남)만을 위한 것이어야 한다. 이것은 전체학급을 대상으로 문법 규칙을 가르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간단한 문법의 종류를 소개하는데 가장 좋은 때는 학생들이 설명을 요청할 때나 또는 당신이 학생들이 문법을 배우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할 때이다. 이것은 당신이 작문을 수정할 때일 수도 있고, 아니면 ‘Did she...?\'와 ’Does she...?\'같은 문형을 반복 연습하는 구두연습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특히 레벨2 수준의 고연령 학생들은 ‘did’와 ‘does’사이의 차이점이 정확히 무엇인지를 물어볼 수도 있다. 왜냐하면 두 가지 다 질문을 할 때 사용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당신은 이때 간단한 말로 차이점을 설명할 기회를 가질 수 있다. 당신은 ‘어제 질문’ 과 ‘오늘 질문’이라는 말을 사용하는 것을 원할지도 모른다. 같은 상황에서 모국어가 쓰이는 것과 비교하는 것은 적절할 수도 적절하지 않을 수도 있다. 중요한 것은 학생들 자신이 질문을 할 때 교사는 개인과 그룹에 기초하여 설명을 해야 한다. 그리고 그 설명은 가능한 간단해야하며, 학생들이 요점을 파악할 수 있어서 그 설명으로 도움을 받을 수 있어야 한다.
평가
형식적 평가가 당신의 업무 중에 강제적인 부분은 아닐지라도, 각 학생들의 향상에 관해 교사가 정기적인 기록을 하는 것은 항상 유용하다. 당신은 학부모들에게 그들의 아이들이 어떻게 하고 있는지를 말하고 싶을지도 모른다. 그리고 당신은 아이들에게 정기적으로 그들의 학업에 관해 이야기해주어야 하며, 자기 평가를 하도록 권장해야 한다. 처음부터 평가는 긍정적인 부분을 강조하면서 아주 간단한 말로 될 수 있고, 학생들이 습득하지 못한 것을 작아보이게 할 수 있다. 하나가 잘되면 만사가 잘된다.
질문과 활동
1. 당신이 학교를 다녔을 때로 돌아가 생각해봐라. 당신의 첫 학년에 대해 무엇을 기억하는가? 선생님들, 가르침, 냄새, 소리, 당신의 물리적인 주위환경, 다른 학생들, 감정들을 기억하는가? 당신의 기억들과 일반적으로 배움을 다룬 이 장(챕터)에서 말한 것이 어떻게 들어맞았는가?
2. 다시 한 번 당신 자신의 배움의 시간으로 돌아가 보자. 이번에는 당신이 외국어를 배우기 시작했을 때이다. 좋은 경험이었는가? 나쁜 경험이었는가? 왜 그러한가? 당신의 언어 교실에서 해야 할 것과 하지 말아야 할 것에 관해 그 경험으로부터 결론을 이끌어낼 수 있겠는가?
아이들이 처음 읽기 시작할 때는 언어가 영구적이게 돼서 단서나 뜻이 별로 없다.
Pupils can take a book home, they can read it again and again, they can stop, think about the language and work it out.
그래서 아이들은 집에 책을 가져갈 수 있게 하라. 그들은 책을 보고 또 볼 수 있고, 멈추고 언어에 대해 생각하고 배울 수 있다.
The same os true of writing.
글 쓰는 것도 비슷하게 배운다.
So reading and writing are extremely important for the child`s growing awareness of language and for their own growth in the language, although both are very demanding and take time and patience to learn.
그래서 읽고 쓰는 건 아이들의 언어에 대한 민감함과 언어에 대한 성숙함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둘 다 기다림이 필요하고 시간이 걸린다.
(지희)
교실에서의 다양성
집중과 주의 간격이 짧기 때문에, 다양성은 반드시 필요한 것이다. - 활동의 다양성, 속도의 다양성, 조직의 다양성, 목소리의 다양성. - 우리는 이에 대해 8과에서 좀 더 깊게 다루어 보겠다. 고학년(older pupils)들은 좀 더 긴 시간동안 집중 할 수 있고 따라서 당신은 그들이 그렇게 하도록(장시간 동안 집중하도록)해야 한다. 그러나 당신에게는 여전히 많은 다양성이 요구된다.
틀에 박힌 수법들
어린이들은 규칙들을 아는 것과 상황에 친숙해지는 것으로부터 이익을 본다. 구조들을 가져라, 틀에 박힌 수법들을 가져라, 당신의 수업들은 조직하고 계획하여라. 친숙한 상황들과 활동들을 사용하여라. 이야기나 운율, 그 이 외의 것을 반복해라. 우리는 이 관점들에 대해 ‘2과 - 수업 관리와 분위기’ 에서 좀 더 깊이 다시 볼 것이다.
경쟁 아닌 협동
보상과 상품을 피해라. 격려의 다른 형태들은 훨씬 많이 효과적이다. - 또한 이 과의 11쪽의 진술을 보라. 공유된 경험을 위한 자리를 만들어라. - 경험은 언어활동의 매우 귀중한 자원이고 참여와 일체감의 분위기를 창조한다. 우리들의 대부분은 소속감을 즐기고 이것은 어린 아이들에게는 특히 사실이다.
가능할 때마다 아이들을 집단으로 만들어라. 이것은 그들이 항상 집단으로 활동해야만 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나 대부분의 어린이들은 주변에 다른 어린이들은 두는 것을 좋아하고 다른 사람과 앉는 것은 협력을 촉진한다. 진심에서 우러난 협조적인 짝 활동과 집단 활동은 대부분 장기적인 진행의 결과이다. 15쪽에서 17쪽을 보아라. 어떤 학생들은 혼자일 때 가장 잘 일한다.
문법
어린이들은 그들이 즐기는 놀이와 다른 활동을 통해 언어에 몰두하는 놀라운 능력을 가진다. 그들이 얼마나 외국어를 잘 하는가는 그들이 문법을 배웠는가 그렇지 않은가에 달려 있지 않다. 그렇기 때문에 심지어 10살이나 11살의 학생들이라도 아주 소수의 학생들만이 문법에 대처할 수 있을 것이다. 그들은 외국어에 관하여 아마 잘 알고 명확하나 문법에 관하여 말하기에는 대부분 충분히 발달하지 않았다.
교사로서, 당신은 학생들이 이미 배운 구조, 기능, 문법 항목들뿐만 아니라 당신의 학생들이 배우기를 원하는 구조, 기능, 문법 항목들에 주목해야 한다. 하지만 실제적인 가르침은 문법으로써 가르친 최소한의 문법만을 포함해야 한다. 그리고 그것은 고연령 아이들(마땅한 단어가 생각이 안 남)만을 위한 것이어야 한다. 이것은 전체학급을 대상으로 문법 규칙을 가르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간단한 문법의 종류를 소개하는데 가장 좋은 때는 학생들이 설명을 요청할 때나 또는 당신이 학생들이 문법을 배우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할 때이다. 이것은 당신이 작문을 수정할 때일 수도 있고, 아니면 ‘Did she...?\'와 ’Does she...?\'같은 문형을 반복 연습하는 구두연습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특히 레벨2 수준의 고연령 학생들은 ‘did’와 ‘does’사이의 차이점이 정확히 무엇인지를 물어볼 수도 있다. 왜냐하면 두 가지 다 질문을 할 때 사용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당신은 이때 간단한 말로 차이점을 설명할 기회를 가질 수 있다. 당신은 ‘어제 질문’ 과 ‘오늘 질문’이라는 말을 사용하는 것을 원할지도 모른다. 같은 상황에서 모국어가 쓰이는 것과 비교하는 것은 적절할 수도 적절하지 않을 수도 있다. 중요한 것은 학생들 자신이 질문을 할 때 교사는 개인과 그룹에 기초하여 설명을 해야 한다. 그리고 그 설명은 가능한 간단해야하며, 학생들이 요점을 파악할 수 있어서 그 설명으로 도움을 받을 수 있어야 한다.
평가
형식적 평가가 당신의 업무 중에 강제적인 부분은 아닐지라도, 각 학생들의 향상에 관해 교사가 정기적인 기록을 하는 것은 항상 유용하다. 당신은 학부모들에게 그들의 아이들이 어떻게 하고 있는지를 말하고 싶을지도 모른다. 그리고 당신은 아이들에게 정기적으로 그들의 학업에 관해 이야기해주어야 하며, 자기 평가를 하도록 권장해야 한다. 처음부터 평가는 긍정적인 부분을 강조하면서 아주 간단한 말로 될 수 있고, 학생들이 습득하지 못한 것을 작아보이게 할 수 있다. 하나가 잘되면 만사가 잘된다.
질문과 활동
1. 당신이 학교를 다녔을 때로 돌아가 생각해봐라. 당신의 첫 학년에 대해 무엇을 기억하는가? 선생님들, 가르침, 냄새, 소리, 당신의 물리적인 주위환경, 다른 학생들, 감정들을 기억하는가? 당신의 기억들과 일반적으로 배움을 다룬 이 장(챕터)에서 말한 것이 어떻게 들어맞았는가?
2. 다시 한 번 당신 자신의 배움의 시간으로 돌아가 보자. 이번에는 당신이 외국어를 배우기 시작했을 때이다. 좋은 경험이었는가? 나쁜 경험이었는가? 왜 그러한가? 당신의 언어 교실에서 해야 할 것과 하지 말아야 할 것에 관해 그 경험으로부터 결론을 이끌어낼 수 있겠는가?
추천자료
조기 영어교육의 미래
조기영어교육
영어과교육 표현활동수업(표현활동학습)의 개념과 이론적 배경, 영어과교육 표현활동수업(표...
영어과교육(영어교육) 활동중심학습,과제중심학습(과업중심학습), 영어과교육(영어교육) 침묵...
영어교육(영어과교육) 침묵식교수법과 전신반응교수법(TPR), 영어교육(영어과교육) 활동중심...
영어교육(영어학습, 수업) 내용, 영어교육(영어학습, 수업) 평가, 영어교육(영어학습, 수업)...
영어교육(영어수업, 학습)의 중요성과 내용, 영어교육(영어수업, 학습)과 역할놀이, 드라마활...
영어과교육 지도자료(교수자료)의 유형, 영어과교육 지도자료(교수자료)의 필요성, 영어과교...
조기영어교육
우리나라에서 유아를 대상으로 다양한 형태의 조기 영어교육이 실시되고 있다. 이에 따른 부...
영어교육
방과 후 학교 영어교육의 실태와 문제점 및 개선 방안
유아기의 조기영어교육에 대해 토론해 봅시다
영어조기교육의 문제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