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봉사활동 예 (244)
1) 학교 행사 계획에 의한 활동의 예 *4
① 조기 청소
②교통 지도
③방학 중 학교청소
④자연 보호
2) 학년 계획에 의한 활동 예 *3
① 소풍이나 백일장 행사 후 청소
② 극기 훈련 후 자연 보호
③ 환경 정화
3) 학급 계획에 의한 활동의 예 *3
① 유리창 청소
② 체육대회 등 학교 행사 후 운동장 정리
③ 화단 정리
4) 그룹 및 개인 계획에 의한 활동의 예
*4
① 양로원 방문
② 도서 정리
③ 사회복지과 자원봉사
④ 폐 휴지 수거
64. 지역사회 봉사활동의 의의 (244)
64.
① 학교 가정 지역사회 연결
② 지역사회에 대한 이해 심화
③ 청소년의 사회적 위치 재확립
④ 지역사회의 발전 촉진
65. 봉사활동 운영 단계
- 유의점
65.
① 준비 ② 실천 ③ 평가 단계
- 세 단계가 상호유기적으로 작용하도록 세밀한
계획 수립과 성실한 실천성 요구
66. 준비 단계 진행과정 (245)
66.
① 봉사활동목록작성 ② 홍보활동 ③ 계획서작성
67. 준비 단계가 중요한 이유
67.
초등학교에서의 봉사활동은 ‘봉사를 통한 학습’의 개념을 띄기 때문
68. 행사활동 지도 유의 사항
68.
① 계획 준비 시행 반성에 있어 학생들이 적극
참여하고, 역할 분담 통해 자치적 운영되도록
② 계획시 고려사항, 사전답사 실시
③ 교류활동 지도시 : 서로간의 문화적 차이점을사전에 충분히 이해시킴
④ 지역사회와의 연계성 고려. 지역사회 요청행
사에 대해서는 교육적 가치 검토 → 취사선택
⑤ 사고 방지에 만전. 돌발사태에 적절한 조치.
개개인의 건강상태 파악
행사활동의 교류활동 지도시 유의점 (245)
서로간의 문화적 차이점을 사전에 충분히 이해하도록 지도
69. 세부 행사활동 계획 작성의 기본 요소 = 계획시 고려할 사항
69.
① 행사명 ② 행사의 목적
③ 시기 ④ 장소 ⑤ 참가대상
⑥⑦ 행사과정 및 역할 분담 (사전 당일 사후 계획으로 구분) - 시설 및 자료 준비, 홍보10⑧ 행사 실시상의 유의점
⑨ 행사장 배치도
⑩ 상황 변동시 대책 (우천, 전기시설 고장시)
70. 행사의 효과적 수행과 목적 달성을 위한 운영 단계 (246)
70.
① 사전 교육 : 행사의 의의 목적 내용 이해시
킴 → 적극적 참여 유도
② 당일 교육 (행사활동) : 운영계획에 따른 진행.
질서 협동 책임의식 고취
③ 사후 교육 : 반성, 평가, 소감록 쓰기, 전시회
반성회
행사활동 단계별 지도 요소 (247)
1) 사전준비 (계획 준비) *5
① 행사의 의의
② 행사의 목표
③ 행사의 내용
④ 운영의 방법
⑤ 기대하는 교육 효과
2) 행사활동 (시행) *4
① 질서 성실 책임의식 고취
② 자발적인 참여
③ 협동 봉사의 정신
④ 공동체 의식, 소속감
3) 사후지도 (반성) *3
① 상호 인간관계 변화
② 가치 의식의 내면화
③ 반성 평가, 생활 개선
71. 특별활동 평가 원리 (248)
1) 교육적 원리
2) 방법적 원리
71.
1) ① 전인적 평가 ② 발달적 평가 ③ 교육적 평가
2) ① 집단적 평가 ② 과정적 평가
③ 종합적 평가 ④ 기술적 평가
72. 특별활동 평가 내용 (측면) (249)
72.
① 지도 계획에 대한 평가
② 지도 과정에 대한 평가
③ 집단의 변화 발전에 대한 평가
④ 학생 개인의 발달에 대한 평가
72-① 지도 계획에 대한 평가 요소
72-
① 학생의 참가 범위, 활동의 조직, 시간 계획, 지도 체제, 지도교사 조직, 실시 계획, 작성 과정
72-④ 학생 개인의 발달에 대한 평가 방법.교사, 학생, 학부모 측면에서 (250)
72-
④ 교사 관찰 : 시간표집법, 체크리스트법, 평정척도법, 일화기록법, 누가기록법,다른 교사와 협의
학생의 관찰을 이용 : 반성기록, 작문, 일기,질문지법, 소시오메트릭스, 대화
학부모 : 면접법, 질문지법
특별활동의 평가과정에서 일률적이고 획일적인 평가가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어떤 요소를 고려해야 하나?
경험과 기초학력 등의 차이 고려
73. 평가의 절차 (251)
73.
① 목표 설정
② 평가 장면의 선정
③ 평가 도구 제작
④ 평가 실시 및 결과의 처리
⑤ 결과의 해석 및 활용
평가 기본 방침 (251)
1) 특별 평가시 골고루 반영할 요소? *4
① 참여도
② 협력도
③ 열성도
④ 특별한 활동 실적
평가의 기본 방침
① 영역별로 담임, 교사가 수시로 평가 → 담임교사가 종합
② 자기평가, 상호평가 고려 → 교사가 평가
③ 다양한 방법으로 평가 (관찰기록, 질문지 등)
④ 수행 평가 (활동기록, 작품분석, 포트폴리오 등)
⑤ 각 영역별 평가 관점 마련
⑥ 참여도, 협력도, 열성도 및 활동실적 고루 반영
⑦ 평가 절차(*5)를 고려
⑧ 평가의 결과 기록 : 활동실적, 진보의 정도, 행동의 변화, 특기사항을 종합하여 문장으로 기록
⑨ 성취도나 변화를 진단하는 절대평가
⑩ 형성평가의 성격 - 계속적 진보와 발달을 돕는 자료로 활용
⑪ 개인 발달, 변화, 성취 평가 + 전체 집단의 성장, 발달, 변화 평가
⑫ 학생에 대한 평가 +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
평가결과는 평소의 활동상황을 누가기록한 자료를 토대로 어떤 요소를 종합하여 문장으로 기록하나? *4
① 활동실적
② 진보의 정도
③ 행동의 변화
④ 특기사항
평가 방법 *4 (253)
① 활동상황 관찰 : 일화기록, 체크리스트, 평정척도
② 질문지법 : 의식 태도 조사, 자기평가, 상호평가
③ 기록, 작품 : 활동기록, 개인기록, 작문, 일기
④ 교사 협의 의견 교환 : 동학년 타학년 전교협의
특별활동 평가의 유의점 *9 (256)
① 주로 학생의 태도 및 행동 변화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질적평가, 활동과정 중시 평가
② 개인의 성장 발달 평가 + 집단의 성장 발달 평가
③ 특별활동 질적인 개선을 위한 목적으로 평가
④ 활동 관련 모든 교사 평가 참여
⑤ 가능한 한 지속적 계획적으로 할 것
⑥ 담임교사는 각 영역에 관한 결과 정리, 보관 → 학생 지도 or 다음에 활용
⑦ 평가 결과 문장 기록
⑧ 학생의 경험 & 기초학력 차이 고려하여 일률적이고 획일적인 평가되지 않도록 유의
⑨ 평가회 통한 특별활동 운영의 질적 개선 위해 노력
1) 학교 행사 계획에 의한 활동의 예 *4
① 조기 청소
②교통 지도
③방학 중 학교청소
④자연 보호
2) 학년 계획에 의한 활동 예 *3
① 소풍이나 백일장 행사 후 청소
② 극기 훈련 후 자연 보호
③ 환경 정화
3) 학급 계획에 의한 활동의 예 *3
① 유리창 청소
② 체육대회 등 학교 행사 후 운동장 정리
③ 화단 정리
4) 그룹 및 개인 계획에 의한 활동의 예
*4
① 양로원 방문
② 도서 정리
③ 사회복지과 자원봉사
④ 폐 휴지 수거
64. 지역사회 봉사활동의 의의 (244)
64.
① 학교 가정 지역사회 연결
② 지역사회에 대한 이해 심화
③ 청소년의 사회적 위치 재확립
④ 지역사회의 발전 촉진
65. 봉사활동 운영 단계
- 유의점
65.
① 준비 ② 실천 ③ 평가 단계
- 세 단계가 상호유기적으로 작용하도록 세밀한
계획 수립과 성실한 실천성 요구
66. 준비 단계 진행과정 (245)
66.
① 봉사활동목록작성 ② 홍보활동 ③ 계획서작성
67. 준비 단계가 중요한 이유
67.
초등학교에서의 봉사활동은 ‘봉사를 통한 학습’의 개념을 띄기 때문
68. 행사활동 지도 유의 사항
68.
① 계획 준비 시행 반성에 있어 학생들이 적극
참여하고, 역할 분담 통해 자치적 운영되도록
② 계획시 고려사항, 사전답사 실시
③ 교류활동 지도시 : 서로간의 문화적 차이점을사전에 충분히 이해시킴
④ 지역사회와의 연계성 고려. 지역사회 요청행
사에 대해서는 교육적 가치 검토 → 취사선택
⑤ 사고 방지에 만전. 돌발사태에 적절한 조치.
개개인의 건강상태 파악
행사활동의 교류활동 지도시 유의점 (245)
서로간의 문화적 차이점을 사전에 충분히 이해하도록 지도
69. 세부 행사활동 계획 작성의 기본 요소 = 계획시 고려할 사항
69.
① 행사명 ② 행사의 목적
③ 시기 ④ 장소 ⑤ 참가대상
⑥⑦ 행사과정 및 역할 분담 (사전 당일 사후 계획으로 구분) - 시설 및 자료 준비, 홍보10⑧ 행사 실시상의 유의점
⑨ 행사장 배치도
⑩ 상황 변동시 대책 (우천, 전기시설 고장시)
70. 행사의 효과적 수행과 목적 달성을 위한 운영 단계 (246)
70.
① 사전 교육 : 행사의 의의 목적 내용 이해시
킴 → 적극적 참여 유도
② 당일 교육 (행사활동) : 운영계획에 따른 진행.
질서 협동 책임의식 고취
③ 사후 교육 : 반성, 평가, 소감록 쓰기, 전시회
반성회
행사활동 단계별 지도 요소 (247)
1) 사전준비 (계획 준비) *5
① 행사의 의의
② 행사의 목표
③ 행사의 내용
④ 운영의 방법
⑤ 기대하는 교육 효과
2) 행사활동 (시행) *4
① 질서 성실 책임의식 고취
② 자발적인 참여
③ 협동 봉사의 정신
④ 공동체 의식, 소속감
3) 사후지도 (반성) *3
① 상호 인간관계 변화
② 가치 의식의 내면화
③ 반성 평가, 생활 개선
71. 특별활동 평가 원리 (248)
1) 교육적 원리
2) 방법적 원리
71.
1) ① 전인적 평가 ② 발달적 평가 ③ 교육적 평가
2) ① 집단적 평가 ② 과정적 평가
③ 종합적 평가 ④ 기술적 평가
72. 특별활동 평가 내용 (측면) (249)
72.
① 지도 계획에 대한 평가
② 지도 과정에 대한 평가
③ 집단의 변화 발전에 대한 평가
④ 학생 개인의 발달에 대한 평가
72-① 지도 계획에 대한 평가 요소
72-
① 학생의 참가 범위, 활동의 조직, 시간 계획, 지도 체제, 지도교사 조직, 실시 계획, 작성 과정
72-④ 학생 개인의 발달에 대한 평가 방법.교사, 학생, 학부모 측면에서 (250)
72-
④ 교사 관찰 : 시간표집법, 체크리스트법, 평정척도법, 일화기록법, 누가기록법,다른 교사와 협의
학생의 관찰을 이용 : 반성기록, 작문, 일기,질문지법, 소시오메트릭스, 대화
학부모 : 면접법, 질문지법
특별활동의 평가과정에서 일률적이고 획일적인 평가가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어떤 요소를 고려해야 하나?
경험과 기초학력 등의 차이 고려
73. 평가의 절차 (251)
73.
① 목표 설정
② 평가 장면의 선정
③ 평가 도구 제작
④ 평가 실시 및 결과의 처리
⑤ 결과의 해석 및 활용
평가 기본 방침 (251)
1) 특별 평가시 골고루 반영할 요소? *4
① 참여도
② 협력도
③ 열성도
④ 특별한 활동 실적
평가의 기본 방침
① 영역별로 담임, 교사가 수시로 평가 → 담임교사가 종합
② 자기평가, 상호평가 고려 → 교사가 평가
③ 다양한 방법으로 평가 (관찰기록, 질문지 등)
④ 수행 평가 (활동기록, 작품분석, 포트폴리오 등)
⑤ 각 영역별 평가 관점 마련
⑥ 참여도, 협력도, 열성도 및 활동실적 고루 반영
⑦ 평가 절차(*5)를 고려
⑧ 평가의 결과 기록 : 활동실적, 진보의 정도, 행동의 변화, 특기사항을 종합하여 문장으로 기록
⑨ 성취도나 변화를 진단하는 절대평가
⑩ 형성평가의 성격 - 계속적 진보와 발달을 돕는 자료로 활용
⑪ 개인 발달, 변화, 성취 평가 + 전체 집단의 성장, 발달, 변화 평가
⑫ 학생에 대한 평가 +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
평가결과는 평소의 활동상황을 누가기록한 자료를 토대로 어떤 요소를 종합하여 문장으로 기록하나? *4
① 활동실적
② 진보의 정도
③ 행동의 변화
④ 특기사항
평가 방법 *4 (253)
① 활동상황 관찰 : 일화기록, 체크리스트, 평정척도
② 질문지법 : 의식 태도 조사, 자기평가, 상호평가
③ 기록, 작품 : 활동기록, 개인기록, 작문, 일기
④ 교사 협의 의견 교환 : 동학년 타학년 전교협의
특별활동 평가의 유의점 *9 (256)
① 주로 학생의 태도 및 행동 변화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질적평가, 활동과정 중시 평가
② 개인의 성장 발달 평가 + 집단의 성장 발달 평가
③ 특별활동 질적인 개선을 위한 목적으로 평가
④ 활동 관련 모든 교사 평가 참여
⑤ 가능한 한 지속적 계획적으로 할 것
⑥ 담임교사는 각 영역에 관한 결과 정리, 보관 → 학생 지도 or 다음에 활용
⑦ 평가 결과 문장 기록
⑧ 학생의 경험 & 기초학력 차이 고려하여 일률적이고 획일적인 평가되지 않도록 유의
⑨ 평가회 통한 특별활동 운영의 질적 개선 위해 노력
추천자료
초등1,2학년 적용 실태 및 대안 (7차 교육과정)
초등학교 체육 교육과정의 민속놀이 지도 내용 분석
초등학교 보건 교육과정 내용의 변천 및 특징
초등학교 도덕교육과 통합교육 교육과정 [발표자료]
초등 7차 교육과정
초등학교 도덕과(도덕교육) 개정중점, 초등학교 도덕과(도덕교육) 성격과 목표, 초등학교 도...
초등학교 미술과 판화교육의 의미와 목표, 초등학교 미술과 판화교육의 내용, 초등학교 미술...
체육과(체육교육) 교육과정 개정배경과 개정중점, 초등학교 체육과(체육교육) 연구사례, 초등...
초등학교 미술과(미술교육)의 교육과정변천, 초등학교 미술과(미술교육) 교육목적, 초등학교 ...
초등학교 특별활동 교육과정 운영
초등과학교육방법론 ‘탐구 학습 모형’ 모의 수업 과학과 교수․학습 과정안[물의 여...
초등 국어과 교육과정_전문가 협력 학습
[교육학개론] 교육제도敎育制度의 중요성과 학제에 대한 이해 및 한국의 학제의 이해(취학전...
제4차 산업혁명에 따른 초등학교 역량중심 교육과정, 교육혁신의 방향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