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기업소개
2) 마케팅 목표
3) 시장조사(환경분석)
① 환경분석(미시적∙거시적)
② 자사분석(SWOT)
③ 경쟁사 분석
④ 고객분석
4) 표적시장 전략
① Segmentation
② Targeting
③ Positioning
5) 마케팅 4P's 전략
6) 마케팅 제시안에 대한 전망
3. 결론
2. 본론
1) 기업소개
2) 마케팅 목표
3) 시장조사(환경분석)
① 환경분석(미시적∙거시적)
② 자사분석(SWOT)
③ 경쟁사 분석
④ 고객분석
4) 표적시장 전략
① Segmentation
② Targeting
③ Positioning
5) 마케팅 4P's 전략
6) 마케팅 제시안에 대한 전망
3. 결론
본문내용
이 이론에 따르면 기업의 경쟁세력은 다음과 같다.
위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경쟁세력이라 함은 공급자, 구매자, 신규 진입자, 대체재, 기존경쟁사를 모두 포괄하여 보는 것이 넓은 의미의 경쟁세력이라 하겠다. 그러나 여기에서 우리는 좁은 의미의 경쟁세력인 기존 경쟁사의 위협에 초점을 두고 샤니의 경쟁사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위에서 이미 제시한 바와 같이, 샤니는 삼립, 기린, 서울식품과 더불어 양산빵 제조업 분야에서 2004년 기준 시장점유율 49.5%를 차지하면서 삼립(28%), 기린(15.4%), 서울식품 (7.1%)와 같은 다른 업체보다 월등한 입지를 구축하고 있다. 이런 샤니의 경쟁업체는 언급한 업체들은 말할 것도 없으려니와 ‘제빵’이라는 제품군으로 보았을 때는 일련의 베이커리 업계들 또한 포함된다고 할 수 있다. 위의 마이클 포터의 경쟁세력 모형에 비추어 보았을 때는 대체제에 해당한다고 볼 수도 있을 것이다.
앞으로 샤니의 주요 경쟁사인 양산빵 업계의 2인자인 (주)삼립과 베이커리계의 2위 업계인 뚜레쥬르를 분석하고자 한다. 베이커리업계의 1위는 파리바게트로 본사와 같이 SPC그룹에 속해져 있다. 샤니가 양산빵 업계에서의 위상과 마찬가지로 파리바게트 또한 업계에서 부동의 1위로 자리 잡고 있다. 때문에 파리바게트를 사실상 샤니의 경쟁자로 보기에는 무리가 따르고, 같은 그룹의 일원이라는 요소와 뚜레쥬르가 2위업체로서의 경쟁력 향상을 위한 마케팅 전략이 1위인 파리바게트가 펼치는 경쟁우위 유지의 전략과 달리 표방할 여지가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뚜레쥬르를 경쟁자로 보고 분석하고자 한다.
①(주)삼립식품
삼립식품은 1945년 해방과 더불어 설립된 기업이며, 반세기가 넘도록 역사와 전통을 이어온 양산빵업계 최고(最古)의 기업이다. 양산빵을 비롯하여 해외시장개척으로 중국에 설립한 ‘브래드스타’, 떡 전문점 ‘빚은’, 110년 역사와 전통을 가진 일본 사누끼마루이찌사와의 제휴를 통해 기술 및 원료를 제공받아 만들어낸 정동 사누끼 우동 전문점 ‘사누끼보레’까지 삼립의 사업영역은 다양하다.
아래의 표에서 보듯이 (주)삼립의 간략한 SWOT분석은 다음과 같다. 삼립은 양산빵 업계에서 가장 오래된 역사와 전통을 자랑한다. 그들의 오래된 경험은 다양한 환경에 적응할 능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기업은 국내최초로 HACCP를 획득했는데 삼립식품에 따르면 이로서 2006년도 상반기 매출이 전년대비 7.2% 증가와, 26%의 손익증가 실적을 기록했다. 약점으로는 양산빵에 대한 소비자들의 긍정적 인식 부족이 있다.
소비자들은 양산빵이 베이커리 빵에 비하여 품질이 떨어진다고 생각하고 방부제 등도 많이 들어있어서 자신들의 웰빙 생활과 부합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원재료에 대한 높은 의존도는 최근 밀가루 값을 비롯한 물가상승과 직접적으로 맞물려 물가상승에 따른 비용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반면 기업의 외부 환경과의 관계로 기회요인은 웰빙 트렌드에 발맞춘 ‘오븐 스마일’의 출시라 볼 수 있다. 삼립은 소비자가 집에서 직접 구워먹는 홈 베이커리 제품인 ‘오븐스마일’이라는 자체브랜드를 개발해 냈다.
세계시장의 글로벌화로 삼립은 중국시장 진출을 하고 있다. 그 외에 위협 요인으로는 기존 베이커리 시장의 진입장벽,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 등을 들 수 있다. 베이커리 업체들은 각각 그들만의 포인트제, 회원제를 통하여 전환비용을 늘여 이탈고객을 막고자 한다. 그러나 양산빵은 슈퍼에서 판매하므로 베이커리보다 접근성이 다소 용이 하다는 장점은 있으나 충성고객은 미미한 실정이다. 약점요인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국제 원자재 가격의 상승은 삼립에게 또 다른 위협요인으로 작용한다.
2005년 현재, 삼립식품은 90%를 차지하는 양산 빵 비중을 2010년에는 70%까지 줄이고, 프랜차이즈 사업 부문만을 육성키로 했다. 이는 계열사인 샤니와의 양산 빵 경쟁을 피하기 위한 것이다. 이미 양산 빵 시장을 샤니가 반 이상 장악하고 있어 양산 빵으로는 경쟁하지 않겠다는 뜻이다. 따라서 삼립은 양산빵 이외에도 사누끼 우동전문점, 떡전문점 빚은을 통한 프랜차이즈 업계로 전환, 성장 할 것으로 보인다.
②뚜레쥬르
(뚜레쥬르의 SWOT분석)
1996년 CJ에서 설립한 뚜레쥬르는 짧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단기간에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베이커리 브랜드로 성장해 왔으며 그 동안 서비스 품질지수 들의 시상식에서 제과부분 1위를 수상하였고 2005년에는 대한민국 퍼스트 브랜드 대상과, 한국 표준 협회 서비스 품질지수에서 제과부분 3회 연속 1위를 수상하기도 하였다. 2004년에는 미주 1호점을 오픈했고, 2005년에는 중국 1호점을, 2007년에는 베트남 호치민 1호점을 각각 오픈하여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하고 있다.
위의 표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뚜레쥬르는 TIS(Tous Les Jours Information System : 뚜레쥬르 인터넷 기반 정보관리시스템)으로 매장의 주문, 생산, 재고, 고객관리 및 본부와의 실시간 정보교류로 긴급한 주문에도 능동적인 대처가 가능하다. 또한 냉동반죽으로 신선한 빵을 공급하고, CJ 계열회사의 좋은 이미지와 자체 멤버쉽 카드와 제휴카드를 통한 각종 할인 서비스에서 강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1위 파리크라상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낮은 브랜드 인지도와 매장수가 경쟁업체에 비해 작은 점이 약점이다.
한편 최근 카페형 베이커리의 인기 상승과 지속적인 웰빙 열풍에 따른 베이커리빵의 수요 증가로 기회를 얻고 있으나, 대기업의 카페형 베이커리 시장 진출과 할인점내 베이커리 입점으로 인한 시장 포화상태가 위협이 되고 있다.
(4) 고객분석
자사고객 - 접근성이 용이한 일반 슈퍼마켓이나 편의점에서 간식으로 빵을 사먹는 유소년층 고객, 캐릭터에 대한 선호도로 스티커를 얻기 위해 구매하는 유소년층 고객, 바쁜일과 속 간편한 식사대용품으로 구매하는 20대 고객층, 10대시절 캐릭터 스티커 빵을 모으던 추억을 되살리기 위해 캐릭터빵을 구매하는 20대 고객층, 80,90년대의 기존 고객층(단팥빵과 크림빵, 호빵 등 예전의 빵에 대한 향수를 가진 중장년층)
경쟁사 고객
- 뚜레쥬르 : 이벤트용 선물(케
위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경쟁세력이라 함은 공급자, 구매자, 신규 진입자, 대체재, 기존경쟁사를 모두 포괄하여 보는 것이 넓은 의미의 경쟁세력이라 하겠다. 그러나 여기에서 우리는 좁은 의미의 경쟁세력인 기존 경쟁사의 위협에 초점을 두고 샤니의 경쟁사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위에서 이미 제시한 바와 같이, 샤니는 삼립, 기린, 서울식품과 더불어 양산빵 제조업 분야에서 2004년 기준 시장점유율 49.5%를 차지하면서 삼립(28%), 기린(15.4%), 서울식품 (7.1%)와 같은 다른 업체보다 월등한 입지를 구축하고 있다. 이런 샤니의 경쟁업체는 언급한 업체들은 말할 것도 없으려니와 ‘제빵’이라는 제품군으로 보았을 때는 일련의 베이커리 업계들 또한 포함된다고 할 수 있다. 위의 마이클 포터의 경쟁세력 모형에 비추어 보았을 때는 대체제에 해당한다고 볼 수도 있을 것이다.
앞으로 샤니의 주요 경쟁사인 양산빵 업계의 2인자인 (주)삼립과 베이커리계의 2위 업계인 뚜레쥬르를 분석하고자 한다. 베이커리업계의 1위는 파리바게트로 본사와 같이 SPC그룹에 속해져 있다. 샤니가 양산빵 업계에서의 위상과 마찬가지로 파리바게트 또한 업계에서 부동의 1위로 자리 잡고 있다. 때문에 파리바게트를 사실상 샤니의 경쟁자로 보기에는 무리가 따르고, 같은 그룹의 일원이라는 요소와 뚜레쥬르가 2위업체로서의 경쟁력 향상을 위한 마케팅 전략이 1위인 파리바게트가 펼치는 경쟁우위 유지의 전략과 달리 표방할 여지가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뚜레쥬르를 경쟁자로 보고 분석하고자 한다.
①(주)삼립식품
삼립식품은 1945년 해방과 더불어 설립된 기업이며, 반세기가 넘도록 역사와 전통을 이어온 양산빵업계 최고(最古)의 기업이다. 양산빵을 비롯하여 해외시장개척으로 중국에 설립한 ‘브래드스타’, 떡 전문점 ‘빚은’, 110년 역사와 전통을 가진 일본 사누끼마루이찌사와의 제휴를 통해 기술 및 원료를 제공받아 만들어낸 정동 사누끼 우동 전문점 ‘사누끼보레’까지 삼립의 사업영역은 다양하다.
아래의 표에서 보듯이 (주)삼립의 간략한 SWOT분석은 다음과 같다. 삼립은 양산빵 업계에서 가장 오래된 역사와 전통을 자랑한다. 그들의 오래된 경험은 다양한 환경에 적응할 능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기업은 국내최초로 HACCP를 획득했는데 삼립식품에 따르면 이로서 2006년도 상반기 매출이 전년대비 7.2% 증가와, 26%의 손익증가 실적을 기록했다. 약점으로는 양산빵에 대한 소비자들의 긍정적 인식 부족이 있다.
소비자들은 양산빵이 베이커리 빵에 비하여 품질이 떨어진다고 생각하고 방부제 등도 많이 들어있어서 자신들의 웰빙 생활과 부합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원재료에 대한 높은 의존도는 최근 밀가루 값을 비롯한 물가상승과 직접적으로 맞물려 물가상승에 따른 비용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반면 기업의 외부 환경과의 관계로 기회요인은 웰빙 트렌드에 발맞춘 ‘오븐 스마일’의 출시라 볼 수 있다. 삼립은 소비자가 집에서 직접 구워먹는 홈 베이커리 제품인 ‘오븐스마일’이라는 자체브랜드를 개발해 냈다.
세계시장의 글로벌화로 삼립은 중국시장 진출을 하고 있다. 그 외에 위협 요인으로는 기존 베이커리 시장의 진입장벽,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 등을 들 수 있다. 베이커리 업체들은 각각 그들만의 포인트제, 회원제를 통하여 전환비용을 늘여 이탈고객을 막고자 한다. 그러나 양산빵은 슈퍼에서 판매하므로 베이커리보다 접근성이 다소 용이 하다는 장점은 있으나 충성고객은 미미한 실정이다. 약점요인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국제 원자재 가격의 상승은 삼립에게 또 다른 위협요인으로 작용한다.
2005년 현재, 삼립식품은 90%를 차지하는 양산 빵 비중을 2010년에는 70%까지 줄이고, 프랜차이즈 사업 부문만을 육성키로 했다. 이는 계열사인 샤니와의 양산 빵 경쟁을 피하기 위한 것이다. 이미 양산 빵 시장을 샤니가 반 이상 장악하고 있어 양산 빵으로는 경쟁하지 않겠다는 뜻이다. 따라서 삼립은 양산빵 이외에도 사누끼 우동전문점, 떡전문점 빚은을 통한 프랜차이즈 업계로 전환, 성장 할 것으로 보인다.
②뚜레쥬르
(뚜레쥬르의 SWOT분석)
1996년 CJ에서 설립한 뚜레쥬르는 짧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단기간에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베이커리 브랜드로 성장해 왔으며 그 동안 서비스 품질지수 들의 시상식에서 제과부분 1위를 수상하였고 2005년에는 대한민국 퍼스트 브랜드 대상과, 한국 표준 협회 서비스 품질지수에서 제과부분 3회 연속 1위를 수상하기도 하였다. 2004년에는 미주 1호점을 오픈했고, 2005년에는 중국 1호점을, 2007년에는 베트남 호치민 1호점을 각각 오픈하여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하고 있다.
위의 표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뚜레쥬르는 TIS(Tous Les Jours Information System : 뚜레쥬르 인터넷 기반 정보관리시스템)으로 매장의 주문, 생산, 재고, 고객관리 및 본부와의 실시간 정보교류로 긴급한 주문에도 능동적인 대처가 가능하다. 또한 냉동반죽으로 신선한 빵을 공급하고, CJ 계열회사의 좋은 이미지와 자체 멤버쉽 카드와 제휴카드를 통한 각종 할인 서비스에서 강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1위 파리크라상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낮은 브랜드 인지도와 매장수가 경쟁업체에 비해 작은 점이 약점이다.
한편 최근 카페형 베이커리의 인기 상승과 지속적인 웰빙 열풍에 따른 베이커리빵의 수요 증가로 기회를 얻고 있으나, 대기업의 카페형 베이커리 시장 진출과 할인점내 베이커리 입점으로 인한 시장 포화상태가 위협이 되고 있다.
(4) 고객분석
자사고객 - 접근성이 용이한 일반 슈퍼마켓이나 편의점에서 간식으로 빵을 사먹는 유소년층 고객, 캐릭터에 대한 선호도로 스티커를 얻기 위해 구매하는 유소년층 고객, 바쁜일과 속 간편한 식사대용품으로 구매하는 20대 고객층, 10대시절 캐릭터 스티커 빵을 모으던 추억을 되살리기 위해 캐릭터빵을 구매하는 20대 고객층, 80,90년대의 기존 고객층(단팥빵과 크림빵, 호빵 등 예전의 빵에 대한 향수를 가진 중장년층)
경쟁사 고객
- 뚜레쥬르 : 이벤트용 선물(케
키워드
추천자료
휴대폰을 이용한 마케팅전략 (현실과 전망) : 이동통신 핸드폰
Clean-up 상품 마케팅 전략
의류시장조사와 마케팅전략...
아바타 마케팅의 향후 전망
Lexus의 국제 마케팅 전략
모토로라 레이저폰의 마케팅 전략
리니지2 마케팅 기획서(광고, PR, 프로모션)
공연예술 난타의 마케팅과 해외시장진출 전략 및 성공요인
아이리버 딕플의 마케팅전략
엔터테인먼트 마케팅 (Entertainment Marketing)
뽀로로 마케팅사례와 해외진출전략,향후전망과 나의의견 - 헬로키티와 비교분석
서비스 마케팅 믹스 전략 7P – 배스킨 라빈스 (베스킨 라빈스/Baskin Robbins)
베스킨 라빈스 외식마케팅
[비즈니스/경제] 파리바게뜨 마케팅전략/선정배경/환경분석/자사분석/국내성공요인/해외진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