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동기
-용이 있다고 믿는 이유
-용의 종류와 습성
-용의 예상 서식지
-용이 사라진 이유
-조사 필요성
-맺음말
-주
-참고자료
-용이 있다고 믿는 이유
-용의 종류와 습성
-용의 예상 서식지
-용이 사라진 이유
-조사 필요성
-맺음말
-주
-참고자료
본문내용
시사해 준다. 일단 용의 존재는 많은 어린이들에게 꿈과 희망을 심어 줄 수 있다. 또한 용을 조사하면 알려지지 않은 화학물질을 발견할 가능성도 크다. 그리고 이런 물질의 가치는 상상을 초월할 지도 모른다. 또한 사람이 사용할 수 있는 DNA자료가 더욱 풍부해 진다는 것도 무시할 수 없다. 미래 유전공학의 시대가 도래 하면 무엇보다도 다양한 DNA가 매우 중요해 질 것이다. 또 용이 그렇기 환경에 민감하다면 환경지표동물로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 외에도 발견된다면 분명 굉장한 부가가치를 창출할 것이고 창출하지 않다 해도 전설로만 내려오던 존재를 만난다는 것 자체가 큰 가치를 가지는 것이 아닐까 한다.
맺음말
- 처음에 말했듯이 나는 어릴 때부터 용을 좋아했다. 최근까지도 용을 만들겠다는 말을 (술에 취한 상태였지만) 떠들고 다녔고 지금도 좋아한다.
이번 조사는 정말 즐거웠다. 한번도 이런 식으로 나의 생각을 정리한 적도 없었고 용에 대하여 체계적으로 생각지도 못했기 때문이다. 다만 아쉬운 것은 조사기간이 너무 짧고 내가 원할 정도로 방대한 자료도 찾지 못한 것이다. 그래서 정확한 결론을 내릴수 없었다. 다만 이것이 좀 아쉬울 뿐이다.
지금도 세계에서 멸종했다고 믿은 동물들이 많이 발견된다고 한다.
실러캔스나 삼엽충, 네오필리아 같은 생물도 속속 발견되고 있다. 이 시점에서 난 정말 용이 존재하고 아직도 바닷속이나 어느 오지 동굴 속에서 조용히 잠자고 있다고 믿는다.
나중에 기회가 된다면 정말 정확하고 자세히 연구해 보고 싶은 마음이 든다.
주
1-운석충돌설: 여러 공룡멸종설 중 가장 믿을 만한 것이 운석의 지름이 10km에 가까운 거대한 운석이 떨어졌다는 '운석충돌설'이다. 1980년 알바레스 등이 제창한 학설이다. 만약 10km인 운석이 빠른 속도로 지구 표면에 부딪히게 되면 지름 100km, 깊이 40km에 이르는 웅덩이가 생기며, 엄청난 폭발에너지와 함께 대량의 먼지가 지상 40km까지 올라간다. 이러한 먼지가 공중을 떠다니게 되어 햇빛을 차단하였고 지구는 해가 뜨지 않는 날을 수년 간 보내다 보니 지상의 온도가 떨어져 핵겨울과 같은 상태가 되었다. 식물들은 광합성을 할 수 없게 되어 죽어버렸고 결국 초식 공룡들은 먹이가 없어지자 굶주림을 이기지 못해 죽어갔고 육식공룡도 그 뒤를 이어 죽어갔다. 이런 대 재앙으로 인해 지구의 정복자였던 공룡들이 쓸쓸한 최후를 맞게 되었다.
2-욥기(40:15 - 24): 이제 소 같이 풀을 먹는 하마를 볼지어다 내가 너를 지은 것같이 그것도 지었느니라 그 힘은 허리에 있고 그 세력은 배의 힘줄에 있고 그 꼬리 치는 것은 백향목이 흔들리는 것같고 그 넓적다리 힘줄은 서로 연락되었으며 그 뼈는 놋관 같고 그 가릿대는 철장 같으니 그것은 하나님의 창조물 중에 으뜸이라 그것을 지은 자가 칼을 주었고 모든 들 짐승의 노는 산은 그것을 위하여 식물을 내느니라 그것이 연 줄기 아래나 갈 밭 가운데나 못속에 엎드리니 연 그늘이 덮으며 시내 버들이 둘렀구나 하수가 창일한다 할지라도 그것이 놀라지 않고 요단강이 불어 그입에 미칠지라도 자약하니 그것이 정신 차리고 있을 때에 누가 능히 잡을 수 있겠으며 갈고리로 그 코를 꿸 수 있겠느냐
3-치우와 황제의 전쟁: (응룡이 나오는 부분만 적습니다.) 동쪽 이족을 담당하던 치우신이 자신의 제후국에서 병사들을 끌어모아 서쪽 강족지역을 다스리던 공공의 영토로 쳐들어 갑니다. 뛰어난 무력, 귀신같은 용병술, 우세한 무기를 압세운 치우군은 공공의 특기인 홍수를 자신의 특기인 황진(모래바람)으로 잠재우며 치열한 전쟁을 보입니다. 이에 힘을 얻은 여와신 진영에서는 이 기회에 공공을 벌주자고 마음을 먹고 치우군과 합세합니다. 치우와 함께 가장 용맹한 신으로 알려진 날개달린 용 응룡신이 치우군 진영에 합세하자 전세는 완전히 기울어 공공, 상류, 구영을 비롯한 서쪽 강족의 신들을 멀리 곤륜근처까지 후퇴하고 최고신의 자리를 노리던 공공의 야욕은 일거에 분쇄됩니다.
4-네오필리나-단판류의 대표적인 무리이다. 고생대 캄브리아기에서 데본기까지 번성했던 종류로서, 현생종은 갈라테아조개(N. galatheae)와 유잉조개(N. ewingi)의 1속 2종이다. 껍데기 길이는 약 2.5cm로 삿갓 모양이다. 외투막에 의해 둘러싸인 크고 평평한 발을 가지며, 입은 앞쪽에, 항문은 뒤쪽에 있고 눈과 촉각(더듬이)이 없다. 다판류에 있는 것과 비슷한 코일형 치설낭과 치설을 가진다.
5∼6쌍의 아가미가 외투강에 앞뒤로 늘어서 있고, 사다리신경계와 8쌍의 근흔(筋痕)이 있다. 생식관은 2쌍으로 생식선이 40∼50개의 선형이 모여 이루어져 있다. 아가미의 정맥은 2쌍이고, 신관은 6쌍이 몸 양쪽에 자리잡고 있다. 자웅이체이며 체외수정을 한다. 멕시코의 태평양 연안의 깊은 바다에 살고 있다.
참고문헌
-김명주,『용 서양의 괴물과 동양의 반짝이는 신』,분홍개구리,2004
-위앤커, 전인초 외 역, 「중국신화전설1」,민음사,1999
-참고 홈페이지
kin.naver.com/db/detail.php?d1id=13&dir_id=130401&eid=KezUOHrhhcLQRLiCwFmE7Rxx8K4sbZ9o
괴물딴지(사진자료)
kjv.kimc.net/technote/read.cgi?board=SCIENCEofCREATION&y_number=14&nnew=1
blog.naver.com/jgd9375?Redirect=Log&logNo=20006903515
news.naver.com/news/read.php?mode=LSD&office_id=105&article_id=0000002481§ion_id=104&menu_id=104
cafe.naver.com/vcs21.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6
kin.naver.com/open100/db_detail.php?d1id=6&dir_id=602&docid=117881
kin.naver.com/open100/r_entry.php?rid=27499#12
blog.naver.com/119uss?Redirect=Log&logNo=60012631916
맺음말
- 처음에 말했듯이 나는 어릴 때부터 용을 좋아했다. 최근까지도 용을 만들겠다는 말을 (술에 취한 상태였지만) 떠들고 다녔고 지금도 좋아한다.
이번 조사는 정말 즐거웠다. 한번도 이런 식으로 나의 생각을 정리한 적도 없었고 용에 대하여 체계적으로 생각지도 못했기 때문이다. 다만 아쉬운 것은 조사기간이 너무 짧고 내가 원할 정도로 방대한 자료도 찾지 못한 것이다. 그래서 정확한 결론을 내릴수 없었다. 다만 이것이 좀 아쉬울 뿐이다.
지금도 세계에서 멸종했다고 믿은 동물들이 많이 발견된다고 한다.
실러캔스나 삼엽충, 네오필리아 같은 생물도 속속 발견되고 있다. 이 시점에서 난 정말 용이 존재하고 아직도 바닷속이나 어느 오지 동굴 속에서 조용히 잠자고 있다고 믿는다.
나중에 기회가 된다면 정말 정확하고 자세히 연구해 보고 싶은 마음이 든다.
주
1-운석충돌설: 여러 공룡멸종설 중 가장 믿을 만한 것이 운석의 지름이 10km에 가까운 거대한 운석이 떨어졌다는 '운석충돌설'이다. 1980년 알바레스 등이 제창한 학설이다. 만약 10km인 운석이 빠른 속도로 지구 표면에 부딪히게 되면 지름 100km, 깊이 40km에 이르는 웅덩이가 생기며, 엄청난 폭발에너지와 함께 대량의 먼지가 지상 40km까지 올라간다. 이러한 먼지가 공중을 떠다니게 되어 햇빛을 차단하였고 지구는 해가 뜨지 않는 날을 수년 간 보내다 보니 지상의 온도가 떨어져 핵겨울과 같은 상태가 되었다. 식물들은 광합성을 할 수 없게 되어 죽어버렸고 결국 초식 공룡들은 먹이가 없어지자 굶주림을 이기지 못해 죽어갔고 육식공룡도 그 뒤를 이어 죽어갔다. 이런 대 재앙으로 인해 지구의 정복자였던 공룡들이 쓸쓸한 최후를 맞게 되었다.
2-욥기(40:15 - 24): 이제 소 같이 풀을 먹는 하마를 볼지어다 내가 너를 지은 것같이 그것도 지었느니라 그 힘은 허리에 있고 그 세력은 배의 힘줄에 있고 그 꼬리 치는 것은 백향목이 흔들리는 것같고 그 넓적다리 힘줄은 서로 연락되었으며 그 뼈는 놋관 같고 그 가릿대는 철장 같으니 그것은 하나님의 창조물 중에 으뜸이라 그것을 지은 자가 칼을 주었고 모든 들 짐승의 노는 산은 그것을 위하여 식물을 내느니라 그것이 연 줄기 아래나 갈 밭 가운데나 못속에 엎드리니 연 그늘이 덮으며 시내 버들이 둘렀구나 하수가 창일한다 할지라도 그것이 놀라지 않고 요단강이 불어 그입에 미칠지라도 자약하니 그것이 정신 차리고 있을 때에 누가 능히 잡을 수 있겠으며 갈고리로 그 코를 꿸 수 있겠느냐
3-치우와 황제의 전쟁: (응룡이 나오는 부분만 적습니다.) 동쪽 이족을 담당하던 치우신이 자신의 제후국에서 병사들을 끌어모아 서쪽 강족지역을 다스리던 공공의 영토로 쳐들어 갑니다. 뛰어난 무력, 귀신같은 용병술, 우세한 무기를 압세운 치우군은 공공의 특기인 홍수를 자신의 특기인 황진(모래바람)으로 잠재우며 치열한 전쟁을 보입니다. 이에 힘을 얻은 여와신 진영에서는 이 기회에 공공을 벌주자고 마음을 먹고 치우군과 합세합니다. 치우와 함께 가장 용맹한 신으로 알려진 날개달린 용 응룡신이 치우군 진영에 합세하자 전세는 완전히 기울어 공공, 상류, 구영을 비롯한 서쪽 강족의 신들을 멀리 곤륜근처까지 후퇴하고 최고신의 자리를 노리던 공공의 야욕은 일거에 분쇄됩니다.
4-네오필리나-단판류의 대표적인 무리이다. 고생대 캄브리아기에서 데본기까지 번성했던 종류로서, 현생종은 갈라테아조개(N. galatheae)와 유잉조개(N. ewingi)의 1속 2종이다. 껍데기 길이는 약 2.5cm로 삿갓 모양이다. 외투막에 의해 둘러싸인 크고 평평한 발을 가지며, 입은 앞쪽에, 항문은 뒤쪽에 있고 눈과 촉각(더듬이)이 없다. 다판류에 있는 것과 비슷한 코일형 치설낭과 치설을 가진다.
5∼6쌍의 아가미가 외투강에 앞뒤로 늘어서 있고, 사다리신경계와 8쌍의 근흔(筋痕)이 있다. 생식관은 2쌍으로 생식선이 40∼50개의 선형이 모여 이루어져 있다. 아가미의 정맥은 2쌍이고, 신관은 6쌍이 몸 양쪽에 자리잡고 있다. 자웅이체이며 체외수정을 한다. 멕시코의 태평양 연안의 깊은 바다에 살고 있다.
참고문헌
-김명주,『용 서양의 괴물과 동양의 반짝이는 신』,분홍개구리,2004
-위앤커, 전인초 외 역, 「중국신화전설1」,민음사,1999
-참고 홈페이지
kin.naver.com/db/detail.php?d1id=13&dir_id=130401&eid=KezUOHrhhcLQRLiCwFmE7Rxx8K4sbZ9o
괴물딴지(사진자료)
kjv.kimc.net/technote/read.cgi?board=SCIENCEofCREATION&y_number=14&nnew=1
blog.naver.com/jgd9375?Redirect=Log&logNo=20006903515
news.naver.com/news/read.php?mode=LSD&office_id=105&article_id=0000002481§ion_id=104&menu_id=104
cafe.naver.com/vcs21.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6
kin.naver.com/open100/db_detail.php?d1id=6&dir_id=602&docid=117881
kin.naver.com/open100/r_entry.php?rid=27499#12
blog.naver.com/119uss?Redirect=Log&logNo=60012631916
키워드
추천자료
ASIC이란 무엇인가
생김새가 똑같은 사람을 무제한 만들어 낼 수 있다면 세상은 어떻게 될까?
PC방 산 업 분 석
응용 광학기기
어는점 내림에 의한 분자량 측정
(노사관계) 비정규직을 바라보는 각계의 입장과 문제점 및 대응방안
Multicom의 사례분석및 해결방안
직업소개-카레이서가 되는길
재료의 온도 측정 방법
용접에 대하여
냉각곡선을 이용한 2원계 합금상태도 작성
[교육사 공통] 우리나라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의 대표적 교육사상가 중 1명을 선정하여...
(A+ 레포트,시험대비) [사회복지조사론] 질문지법
[교육사 공통] 우리나라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의 대표적 교육사상가 중 1명을 선정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