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열린 사이버 대학
<목 차>
Ⅰ. 서론
Ⅱ. 본론
1. 열린사이버대학교
2. 교육과정
3. 학부 및 부서 안내
4. 수업 및 평가
5. OCU의 커뮤니티
6. OCU의 정보광장
7. OCU의 사이버강의실
Ⅲ. 결론
<목 차>
Ⅰ. 서론
Ⅱ. 본론
1. 열린사이버대학교
2. 교육과정
3. 학부 및 부서 안내
4. 수업 및 평가
5. OCU의 커뮤니티
6. OCU의 정보광장
7. OCU의 사이버강의실
Ⅲ. 결론
본문내용
각 반영될 수 있도록 평가위원회를 운영함
나. 강의운영 방법
기본적인 교수-학습은 OCU홈페이지를 기반으로 이루어짐
수강생들이 효과적으로 자율학습 할 수 있도록 구성, 제공
사용자(교수, 학생, 운영자)간 전자메일, 질의 응답 등의 상호작용을 최대한 활용하여 교육효과를 극대화함
수강신청 참고를 위한 과목소개, 수업계획서 및 시범강의를 사전에 제공함
다. 학습효과 증대를 위한 멀티미디어 요소 첨가
강의교안의 제작은 Web기본 문서형식인 Html로 하며, 학습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GVA와 같은 강의운영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음성, 정지화상, 동화상, 전자칠판 기능, Presentation 자료를 최대한 활용하며 동적인 교안의 제작을 지향함
라. 필요시 면대면 교육 실시
면대면 교육은 실습이 동반되는 과정 또는 교수가 그 필요성을 인정했을 경우, 각 참여대학의 교사(강의실) 등을 활용하여 실시함.
마. 우수교과목 선정
매 학기말에 수강생을 대상으로 강의평가 설문과 교과목별 강의질의 응답, 토론, 게시판 활용 등을 참조하여 우수교과목을 선정하고 해당과목에 대하여 포상을 실시하며, 강좌운영이 부실한 교과목에 대하여는 차기학기의 개설을 제한함
바. OCU 개설과목 수강을 위한 System 권장 사양
- CPU Pentium Ⅱ 233MHz 이상
- Main Memory 32MB 이상
- HDD 4GB 이상
- Web Brower Internet Explorer 5.0 이상(Ver 5.5 권장)
※안정적인 수강을 위하여 Netscape는 권장하지 않음
- OS(운영체제) Windows9× 또는 호환 운영체제
-통신장비 56K Modem 또는 인터넷 사용 가능장비
-기타장비 Sound Card, Speaker (GVA로 제작된 교과목과 학습요소 중 멀티미디어 자료를 활용하는 교과목을 수강하기 위하여는 반드시 장착하여야 함)
⑵ 평가
가. 학점 이수
교과이수의 단위는 학점으로 하고, 학기당 15시간이상의 수업을 1학점으로 함.
학점수 : 3학점 공통
나. 퀴즈실시 : 퀴즈는 학습진도 관리를 위하여 매 주차, 또는 수시로 실시함
다. 시 험
실시방법 : Web 기반 재택시험
실시기간 - 중간고사 : 강의 7~8주차(수업과 병행하여 실시)
기말고사 : 강의 15주차
※ 교과목의 특성상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기말고사를 강의 15주차에 출석시험으로 실시할 수 있음
라. 성적처리 방법
평가원칙 : 상대평가
성적산출 : 수강생의 최종성적은 출석, 퀴즈, 토론 참여도, 게시판 사용빈도 등의 평소학습 태도와 중간고사, 기말고사, 리포트 등의 Web 기반 시험을 종합하여 엄정한 성적평가 실시
성적구간별 분포율
성 적 100~90 - 30% / 89~80 - 40% / 80점 미만 - 30%
※ 상대평가 기준은 위의 분포를 원칙으로 하며, 동 기준은 100~90점 부여자가 과목별 수강인원의 30%를 초과할 수 없으며, 100~80점 부여자의 합이 과목별 수강인원의 70%를 초과할 수 없음
공개강좌생 성적처리
평가원칙 : 공개강좌생은 Pass(합격)/Fail(불합격)로 평가하며, 평가방법은 출석성적을 기준으로 교과목 담당교수의 재량에 따름
Pass/Fail 판정기준 : 최종성적 40점 이상 Pass
5. ocu의 커뮤니티
혼자서 공부해야 하는 원격교육의 문제점을 활발한 커뮤니티 활동을 통하여 해결하고자 만들어 학생들에게 서비스하는 프로그램이다.
웹메일
웹브라우저에서 문자는 물론 음성과 동영상을 주고 받을 수 있는 새로운 메일서비스로 텍스트 중심의 기존 메일시스템과 달리 PC카메라와 마이크만 있으면 동화상 및 음성을 담아서 보낼 수 있으며, 기존에 보유하고있는 동영상클립을 인코딩하여 보낼 수 있다.
Club 동아리
총학생회, 학부학생회, 동아리, 동문회, 지역모임, 취미, 종교, 자유 모임 등 카테고리별로 클럽을 자유롭게 생성하여 회원들간의 의사소통을 하기 위한 공간이다.
OCU Friend
사용자의 실시간 접속여부와 쪽지 보내기, 채팅 등 열린사이버대학교 소속 구성원들 간에 적극적인 커뮤니티를 활성화하기 위한 메신저 프로그램이다.
6. OCU의 정보광장
국내외의 도서관정보를 링크하여 학생들이 이용할 수 있게 하였다. 도서관 이외에도 신문, 잡지, 방송의 대중매체 정보 검색 엔진을 링크하여놓아 학생들이 공부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배려해 놓았다.
7. OCU의 사이버 강의실
OCU의 강의는 홈페이지 내의 강의실을 기반으로 강의한다. 강의 계획서대로 매주 주제별 강의가 진행되며 일정 기간 내에 그곳에 접속하여야 출석이 인정된다. 강의 외에는 토론, 퀴즈, 레포트 등이 거의 매주 주어지게 된다. 토론은 교수가 발표하는 토론 주제에 서로 자신의 의견을 제시하며 토론을 하는 방식이고 퀴즈는 정해진 시간까지 퀴즈에 응시하여야 하며 이를 통해 한 주간 배운 내용을 체크하게 되며 이는 성적에도 큰 영향을 주게 된다.
또한 여러소식을 알려주는 공지사항, 학사일정, 사용자(교수, 학생, 운영자)간의 e-mail 서비스, 질의 응답 서비스 등을 이용할 수 있게 되어있다.
Ⅲ. 결론
현재 열린 사이버대학을 다니고 있는 학생에게 사이버대학은 어떻습니까? 하고 물어보니
‘언제 어디서나 교육을 가능케 하고 대학졸업자와 동등한 학력학위가 인정되는 특성 때문에 사이버 대학에는 실무경험은 풍부하지만 그것에 대한 전문적인 교육을 받지 못한 학생들이 많다. 그래서 인지 학생들의 열의라든가 참여도는 무척 적극적이고 토론에 참여해보면 책에서는 알지 못하는 것들을 많이 배울 수 있다.. 하지만 열의에도 불구하고 혼자서 학습해야 하는 어려움 때문에 문제의 벽에 부딪혔을 때에는 그것을 해결하기 어렵다. 이를 해결할 대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 같다’라고 대답하였다.
우리나라의 사이버대학은 올3월에 성립된 성립 초기 단계이기 때문에 그것의 성공여부를 따지기는 아직 곤란하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과정을 보면 꽤나 성공적이다. 사용자간에 서로 문제점을 의논하고 대안점을 찾아나간다면 이러한 사이버대학이 바쁘게 살아가는 이 시대에
꼭 맞는 교육이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든다.
나. 강의운영 방법
기본적인 교수-학습은 OCU홈페이지를 기반으로 이루어짐
수강생들이 효과적으로 자율학습 할 수 있도록 구성, 제공
사용자(교수, 학생, 운영자)간 전자메일, 질의 응답 등의 상호작용을 최대한 활용하여 교육효과를 극대화함
수강신청 참고를 위한 과목소개, 수업계획서 및 시범강의를 사전에 제공함
다. 학습효과 증대를 위한 멀티미디어 요소 첨가
강의교안의 제작은 Web기본 문서형식인 Html로 하며, 학습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GVA와 같은 강의운영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음성, 정지화상, 동화상, 전자칠판 기능, Presentation 자료를 최대한 활용하며 동적인 교안의 제작을 지향함
라. 필요시 면대면 교육 실시
면대면 교육은 실습이 동반되는 과정 또는 교수가 그 필요성을 인정했을 경우, 각 참여대학의 교사(강의실) 등을 활용하여 실시함.
마. 우수교과목 선정
매 학기말에 수강생을 대상으로 강의평가 설문과 교과목별 강의질의 응답, 토론, 게시판 활용 등을 참조하여 우수교과목을 선정하고 해당과목에 대하여 포상을 실시하며, 강좌운영이 부실한 교과목에 대하여는 차기학기의 개설을 제한함
바. OCU 개설과목 수강을 위한 System 권장 사양
- CPU Pentium Ⅱ 233MHz 이상
- Main Memory 32MB 이상
- HDD 4GB 이상
- Web Brower Internet Explorer 5.0 이상(Ver 5.5 권장)
※안정적인 수강을 위하여 Netscape는 권장하지 않음
- OS(운영체제) Windows9× 또는 호환 운영체제
-통신장비 56K Modem 또는 인터넷 사용 가능장비
-기타장비 Sound Card, Speaker (GVA로 제작된 교과목과 학습요소 중 멀티미디어 자료를 활용하는 교과목을 수강하기 위하여는 반드시 장착하여야 함)
⑵ 평가
가. 학점 이수
교과이수의 단위는 학점으로 하고, 학기당 15시간이상의 수업을 1학점으로 함.
학점수 : 3학점 공통
나. 퀴즈실시 : 퀴즈는 학습진도 관리를 위하여 매 주차, 또는 수시로 실시함
다. 시 험
실시방법 : Web 기반 재택시험
실시기간 - 중간고사 : 강의 7~8주차(수업과 병행하여 실시)
기말고사 : 강의 15주차
※ 교과목의 특성상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기말고사를 강의 15주차에 출석시험으로 실시할 수 있음
라. 성적처리 방법
평가원칙 : 상대평가
성적산출 : 수강생의 최종성적은 출석, 퀴즈, 토론 참여도, 게시판 사용빈도 등의 평소학습 태도와 중간고사, 기말고사, 리포트 등의 Web 기반 시험을 종합하여 엄정한 성적평가 실시
성적구간별 분포율
성 적 100~90 - 30% / 89~80 - 40% / 80점 미만 - 30%
※ 상대평가 기준은 위의 분포를 원칙으로 하며, 동 기준은 100~90점 부여자가 과목별 수강인원의 30%를 초과할 수 없으며, 100~80점 부여자의 합이 과목별 수강인원의 70%를 초과할 수 없음
공개강좌생 성적처리
평가원칙 : 공개강좌생은 Pass(합격)/Fail(불합격)로 평가하며, 평가방법은 출석성적을 기준으로 교과목 담당교수의 재량에 따름
Pass/Fail 판정기준 : 최종성적 40점 이상 Pass
5. ocu의 커뮤니티
혼자서 공부해야 하는 원격교육의 문제점을 활발한 커뮤니티 활동을 통하여 해결하고자 만들어 학생들에게 서비스하는 프로그램이다.
웹메일
웹브라우저에서 문자는 물론 음성과 동영상을 주고 받을 수 있는 새로운 메일서비스로 텍스트 중심의 기존 메일시스템과 달리 PC카메라와 마이크만 있으면 동화상 및 음성을 담아서 보낼 수 있으며, 기존에 보유하고있는 동영상클립을 인코딩하여 보낼 수 있다.
Club 동아리
총학생회, 학부학생회, 동아리, 동문회, 지역모임, 취미, 종교, 자유 모임 등 카테고리별로 클럽을 자유롭게 생성하여 회원들간의 의사소통을 하기 위한 공간이다.
OCU Friend
사용자의 실시간 접속여부와 쪽지 보내기, 채팅 등 열린사이버대학교 소속 구성원들 간에 적극적인 커뮤니티를 활성화하기 위한 메신저 프로그램이다.
6. OCU의 정보광장
국내외의 도서관정보를 링크하여 학생들이 이용할 수 있게 하였다. 도서관 이외에도 신문, 잡지, 방송의 대중매체 정보 검색 엔진을 링크하여놓아 학생들이 공부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배려해 놓았다.
7. OCU의 사이버 강의실
OCU의 강의는 홈페이지 내의 강의실을 기반으로 강의한다. 강의 계획서대로 매주 주제별 강의가 진행되며 일정 기간 내에 그곳에 접속하여야 출석이 인정된다. 강의 외에는 토론, 퀴즈, 레포트 등이 거의 매주 주어지게 된다. 토론은 교수가 발표하는 토론 주제에 서로 자신의 의견을 제시하며 토론을 하는 방식이고 퀴즈는 정해진 시간까지 퀴즈에 응시하여야 하며 이를 통해 한 주간 배운 내용을 체크하게 되며 이는 성적에도 큰 영향을 주게 된다.
또한 여러소식을 알려주는 공지사항, 학사일정, 사용자(교수, 학생, 운영자)간의 e-mail 서비스, 질의 응답 서비스 등을 이용할 수 있게 되어있다.
Ⅲ. 결론
현재 열린 사이버대학을 다니고 있는 학생에게 사이버대학은 어떻습니까? 하고 물어보니
‘언제 어디서나 교육을 가능케 하고 대학졸업자와 동등한 학력학위가 인정되는 특성 때문에 사이버 대학에는 실무경험은 풍부하지만 그것에 대한 전문적인 교육을 받지 못한 학생들이 많다. 그래서 인지 학생들의 열의라든가 참여도는 무척 적극적이고 토론에 참여해보면 책에서는 알지 못하는 것들을 많이 배울 수 있다.. 하지만 열의에도 불구하고 혼자서 학습해야 하는 어려움 때문에 문제의 벽에 부딪혔을 때에는 그것을 해결하기 어렵다. 이를 해결할 대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 같다’라고 대답하였다.
우리나라의 사이버대학은 올3월에 성립된 성립 초기 단계이기 때문에 그것의 성공여부를 따지기는 아직 곤란하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과정을 보면 꽤나 성공적이다. 사용자간에 서로 문제점을 의논하고 대안점을 찾아나간다면 이러한 사이버대학이 바쁘게 살아가는 이 시대에
꼭 맞는 교육이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든다.
추천자료
학생(청소년) 평생교육(평생학습) 의의, 학생(청소년) 평생교육(평생학습) 현황, 학생(청소년...
[평생학습]평생학습(평생교육)의 의의, 평생학습(평생교육)의 배경, 평생학습(평생교육)의 요...
평생교육의 교육사회학적 배경) 평생교육의 사회학적 이해와 기능론적, 갈등론적 패러다임과 ...
평생학습(평생교육)의 필요성, 평생학습(평생교육)의 특징, 평생학습(평생교육)의 기반구축, ...
[평생교육]평생교육(평생학습)의 의의, 평생교육(평생학습)의 중요성, 평생교육(평생학습)과 ...
학습이론에 의한 평생교육방법, 시민교육으로서의 평생교육 등 평생교육방법의 이론들 중 가...
한국방송통신대학(방통대) 평생교육원의 연혁, 한국방송통신대학(방통대) 평생교육원의 교육...
한국방송통신대학(방통대) 평생교육원의 설립취지, 한국방송통신대학(방통대) 평생교육원의 ...
[평생교육경영론 중간고사] [(비)평생교육경영론 중간고사 정리] [평생교육경영론 중간고사 ...
<한국의 평생교육법> 교육법의 구조, 평생교육법 이전의 법의 구조, 평생교육법의 제정 과정,...
[평생교육] 포스트모던 시대의 페미니즘과 여성평생교육 - 포스터모던(현대 이후) 페미니즘, ...
[평생교육] 평생교육의 발전(역사) - 시민계몽과 시민교육(18세기-19세기), 시민교육과 평생...
[평생교육] 평생교육의 보편성과 계속성 현장성 등을 파악하여 평생교육의 필요성에 대하여 ...
오늘날 우리는 평생학습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평생교육에 대한 진정한 의미를 정립해 보는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