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신앙과 계몽의 대립
2) 계 몽 의 진 리
1. 리신론과 유물론
2. 양자의 통일--유용성의 원리
3) 계 몽 의 실 현
1. 프랑스혁명과 절대적 자유의 원리
2. 절대적 자유 원리 비판
4) 정 리
5) 참 고 문 헌
2) 계 몽 의 진 리
1. 리신론과 유물론
2. 양자의 통일--유용성의 원리
3) 계 몽 의 실 현
1. 프랑스혁명과 절대적 자유의 원리
2. 절대적 자유 원리 비판
4) 정 리
5)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맺는다. 개체들의 이러한 상호관계는 상호의존의 체계를 만들지만 그것은 개체들을 통일시키는 것이 아니라 외적, 강제적 공동체에 지나지 않는다. 헤겔은 '자기소외된 교양의 세계'에서 개체들이 자기도야, 외화를 통해 보편성을 추구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개체들이 시민사회내에서 특수성에 기반을 둔 공동체를 만드려는 다양한 시도를 보여준다. 개체들은 자신들의 기반인 특수성의 원리가 지닌 내적 한계와 사회적 세계에서의 자기도야--특수성의 보편성에로의 고양--를 거쳐 보편성의 영역인 국가에서 자신의 현실적 보편성을 추구한다. 국가는 가족공동체의 추상적 보편성과 시민사회의 구체적 특수성이 지양되어 특수성과 매개된 보편성, 구체적 보편으로 통일된 것이다. 이것은 보편성의 지반에서 개체들의 특수성이 실체적 통일을 이룬 것이다. 즉 특수성의 계기가 없는 보편성과 보편성을 지니지 않은 특수성이 지양되어 특수성이 보편성에 의해 매개되는, 또 보편성이 특수성에 의해 구체화되는 공동체를 형성한다.
실제로 헤겔의 국가에서의 구체적 조직은 불완전한 것이고 그의 보수화된 입장변화와 함께 많은 한계를 지닌 것이고 낡은 요소가 혼재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한계를 인정하더라도 그의 변증법적 원리를 구체화할 수 있는 다양한 가능성은 열려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사회의 변증법적 총체성에 대한 요구는 사회적 존재인 개체에게 본질적인 것이다. 따라서 편향된 개체와 공동체 관계를 극복하고 양 계기가 통일된 새로운 형태를 만드는 노력이 다양하게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4) 정 리
계몽주의에 대한 포스트 모던의 비판은 주체와 이성, 총체성 자체에 대한 거부이다. 그것은 이성과 (변증법적) 총체성이 모든 차이와 타자를 동일성에 에속시키므로 이성과 총체성을 거부해야만 자유로울 수 있다고 보는데 반해 헤겔은 게몽의 원리가 사실상 오성적 원리라고 비판하고 그것을 넘어서는 '이성적' 총체성을 추구한다. 계몽적 오성은 개체적 자유를 매개시키는 형식을 지니지 않으며, 특수성과 보편성의 종합을 마련하지 못한다. 헤겔은 특수성과 보편성을 종합할 새로운 '이성'을 추구한다.
이런 문제의식에 대해 헤겔이 추구하는 변증법적 종합이 이론적, 실천적으로 가능한 것인지? 그것이 과연 개체들의 보편적 자유를 보장하는 형식인지에 대한 질문을 제기해야 한다. 그러한 총체성이 포스트 모던이 비난하는 형이상학적 체계를 건설하는 불순하거나 위험한 시도인지에 대한 질문을 소홀히 해서는 안된다. 그렇지만 그런 질문과 함께 이성의 진리가 만든 억압적 체계에 대한 비판이 새로운 대안에 추구를 가로막아서는 안된다. 물론 이성적 총체성이란 완벽한 질서를 추구하는 입장과 비이성적 자유의 무질서를 추구하는 입장을 일면적으로 대비시키는 것은 아우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 우리는 양쪽의 주장에 귀기울여야 하고 그들의 문제제기에 과거의 잘못을 되풀이하려는 무모함보다는 그것에 대한 철저한 비판을 통해 보다 나은 가능성을 향해 노력해야 한다. 우리는 칼날 위에 서 있다. 동일성의 전제를 받아들일 것인가, 아니면 차이의 놀이로 춤출 것인가? 우리는 새로운 복합성에 주목하고 이 복합성을 새로운 틀로 마름질해야 할 것이다. 우리는 미로 안에서 좌절하지 않고 새로운 상상에 기대고, 이전에 존재하지 않았던 것을 새롭게 창조하도록 해야 한다.
5) 참고문헌
G.W.F.Hegel,*Phaenomenologie des Geistes (hrg) W.Bonsiepen/R.Heede
Gesammelte Werke.Bd.9, Hamburg.1980 (Phdg로 약)
*Grundlinien der Philosophie des Rechtes. Werke in zwanzig
B nden (hrg)E.Moldenauer/K.M.Michel Bd.7 Frankfurt/M,1970
*Vorlesung ber die Philosophie der Geschichite. Bd 12 (PG로 약)
*Vorlesung ber die Geschichite der Philosophie.III.Bd 20.(GP로 약)
.Avinerie, Hegel's Theoy of the Modern State. Cambridge,1972. I.Fetscher, Rousseaus politische Philosophie. Frankfurt/M 1960.
'Holbach, System der Natur oder vonden Gesetzen der physischen und der
moralischen Welt.( bersetzt) F. G. Voigt. Frankfurt. a.M.1978. G.Lukacs, Der junge Hegel,Frankfurt/M.
J.Ritter, Metaphysik und Politik. Studien zu Aristoteles und Hegel. Frankfurt/M. 1977
H.Marcuse, Vernunft und Revolution. Hegel und die Entstehung der
Gesellschaftstheorie. Neuwied / Berlin.1962.
J.Habermas.Theorie und Praxis:Sozial philosophische Studien.Frankfurt/M 1982.
S.Goyard-Fabre, La philosophie des lumieres en france. Paris.1972.
L.P.Hinchiman, Hegel's Critique of the Enlightenment.Florida Univ. 1984. V.H sle, Hegels System.1,2. Hamburg.1988.
Hyppolite,Gen se et structure de la ph nomenologie de l' sprit de Hegel.Paris.1946
J.J.Rousseau, Du contrat social; Discours sur l'origine de l'in galite
parmi les hommes. Paris Union Generale d'edition 1963.
양운덕, 헤겔철학에 나타난 개체와 공동체의 변증법,고대 박사학위논문,
실제로 헤겔의 국가에서의 구체적 조직은 불완전한 것이고 그의 보수화된 입장변화와 함께 많은 한계를 지닌 것이고 낡은 요소가 혼재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한계를 인정하더라도 그의 변증법적 원리를 구체화할 수 있는 다양한 가능성은 열려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사회의 변증법적 총체성에 대한 요구는 사회적 존재인 개체에게 본질적인 것이다. 따라서 편향된 개체와 공동체 관계를 극복하고 양 계기가 통일된 새로운 형태를 만드는 노력이 다양하게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4) 정 리
계몽주의에 대한 포스트 모던의 비판은 주체와 이성, 총체성 자체에 대한 거부이다. 그것은 이성과 (변증법적) 총체성이 모든 차이와 타자를 동일성에 에속시키므로 이성과 총체성을 거부해야만 자유로울 수 있다고 보는데 반해 헤겔은 게몽의 원리가 사실상 오성적 원리라고 비판하고 그것을 넘어서는 '이성적' 총체성을 추구한다. 계몽적 오성은 개체적 자유를 매개시키는 형식을 지니지 않으며, 특수성과 보편성의 종합을 마련하지 못한다. 헤겔은 특수성과 보편성을 종합할 새로운 '이성'을 추구한다.
이런 문제의식에 대해 헤겔이 추구하는 변증법적 종합이 이론적, 실천적으로 가능한 것인지? 그것이 과연 개체들의 보편적 자유를 보장하는 형식인지에 대한 질문을 제기해야 한다. 그러한 총체성이 포스트 모던이 비난하는 형이상학적 체계를 건설하는 불순하거나 위험한 시도인지에 대한 질문을 소홀히 해서는 안된다. 그렇지만 그런 질문과 함께 이성의 진리가 만든 억압적 체계에 대한 비판이 새로운 대안에 추구를 가로막아서는 안된다. 물론 이성적 총체성이란 완벽한 질서를 추구하는 입장과 비이성적 자유의 무질서를 추구하는 입장을 일면적으로 대비시키는 것은 아우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 우리는 양쪽의 주장에 귀기울여야 하고 그들의 문제제기에 과거의 잘못을 되풀이하려는 무모함보다는 그것에 대한 철저한 비판을 통해 보다 나은 가능성을 향해 노력해야 한다. 우리는 칼날 위에 서 있다. 동일성의 전제를 받아들일 것인가, 아니면 차이의 놀이로 춤출 것인가? 우리는 새로운 복합성에 주목하고 이 복합성을 새로운 틀로 마름질해야 할 것이다. 우리는 미로 안에서 좌절하지 않고 새로운 상상에 기대고, 이전에 존재하지 않았던 것을 새롭게 창조하도록 해야 한다.
5) 참고문헌
G.W.F.Hegel,*Phaenomenologie des Geistes (hrg) W.Bonsiepen/R.Heede
Gesammelte Werke.Bd.9, Hamburg.1980 (Phdg로 약)
*Grundlinien der Philosophie des Rechtes. Werke in zwanzig
B nden (hrg)E.Moldenauer/K.M.Michel Bd.7 Frankfurt/M,1970
*Vorlesung ber die Philosophie der Geschichite. Bd 12 (PG로 약)
*Vorlesung ber die Geschichite der Philosophie.III.Bd 20.(GP로 약)
.Avinerie, Hegel's Theoy of the Modern State. Cambridge,1972. I.Fetscher, Rousseaus politische Philosophie. Frankfurt/M 1960.
'Holbach, System der Natur oder vonden Gesetzen der physischen und der
moralischen Welt.( bersetzt) F. G. Voigt. Frankfurt. a.M.1978. G.Lukacs, Der junge Hegel,Frankfurt/M.
J.Ritter, Metaphysik und Politik. Studien zu Aristoteles und Hegel. Frankfurt/M. 1977
H.Marcuse, Vernunft und Revolution. Hegel und die Entstehung der
Gesellschaftstheorie. Neuwied / Berlin.1962.
J.Habermas.Theorie und Praxis:Sozial philosophische Studien.Frankfurt/M 1982.
S.Goyard-Fabre, La philosophie des lumieres en france. Paris.1972.
L.P.Hinchiman, Hegel's Critique of the Enlightenment.Florida Univ. 1984. V.H sle, Hegels System.1,2. Hamburg.1988.
Hyppolite,Gen se et structure de la ph nomenologie de l' sprit de Hegel.Paris.1946
J.J.Rousseau, Du contrat social; Discours sur l'origine de l'in galite
parmi les hommes. Paris Union Generale d'edition 1963.
양운덕, 헤겔철학에 나타난 개체와 공동체의 변증법,고대 박사학위논문,
키워드
추천자료
사상-사회계약론(루소,홉스,로크)과 비판(흄,버크,벤담,꽁트)
[텀페이퍼] 하버마스의 비판이론과 교육
[채만식][풍자소설]채만식과 풍자소설(채만식의 소설관과 풍자소설, 채만식의 시대비판과 풍...
[프랑스 문학] 캉디드의 사회비판
[교육철학및 교육사] 20세기 후반의 교육 (실존주의, 분석철학, 비판주의, 신자유주의, 포스...
칸트에 대한 분석; 리그 오브 네이션과 순수이성비판까지
[현대의서양문화A]철학분야에서 포스트모던적 사유가 근대성에 대해 가하는 비판양상
2011년 2학기 현대의서양문화 중간시험과제물 A형(철학분야포스트모던적 사유,근대성 비판)
현대의 서양문화4A) 철학분야에서 포스트모던적 사유가 근대성에 대해 가하는 비판양상
<바람계곡의 나우시카 (風の谷の ナウシカ / Nausicaa Of The Valley Of Wind)>에서 나타난 ...
대중문화를 읽는 몇 가지 시각 (비판론, 옹호론 및 새롭게 읽기)
인본주의적 심리치료의 현재 위상에 대해 인본주의적 접근의 분포현황 심리치료에 대한 비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