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상과심리-드라마, 영화 속 캐릭터들의 성격과 의복과의 관계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의상과심리-드라마, 영화 속 캐릭터들의 성격과 의복과의 관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기하였다.
경제적으로는 모자란 것 없이 자랐지만 제대로된 사랑을 받고 자라지 못한 어른아이인 고은섭의 이미지를 파란색 와이셔츠에 흰 넥타이, 핑크색 와이셔츠에 검정색 넥타이 등의 매치, 올 하얀색의 롱 코트, 복고풍의 자켓, 화려한 꽃 자켓 등 패셔너블한 모습으로 한층 더 극중 인물을 표현해 내었다.
봄날에서의 조인성의 패션은 현 시대의 대표적인 유행경향으로 ‘매트로 섹슈얼’이라 한다. 매트로 섹슈얼이란 패션에 민감하고 외모에 관심이 많은 남성을 이르는 말로서 외모 가꾸는 것을 자연스럽게 생각해 피부와 헤어스타일에 시간과 돈을 투자하며, 쇼핑을 즐기는 요즘 20~30대 초반의 도시 남성들 사이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현상이다.
이 이외에도 여자도 전문직을 갖고 당당하게 사회에서 일하는 커리어우먼이 늘어남으로써 드라마 상에서 그러한 역할이 늘어나는데 커리어우먼은 다양한 스타일의 세련된 정장을 입고 역의 특성을 표현하며, 남자주인공을 지키려하는 착하고 순수한 역의 여자는 단아하고 무채색이나 파스텔 계열의 옷을 입고 나오고 반면 남자주인공을 뺐거나 악녀의 역을 맡는 연기자는 검정, 빨간색 등의 강한 색이 많이 들어가는 옷을 입어 캐릭터를 표현한다.
드라마나 영화를 볼 때 혹은 지나가는 사람을 보더라도 옷의 스타일을 보면 어느정도 그 사람의 성격이 파악이 되고 또한 옷이 사람의 이미지를 인식시키는데 적지않은 영향을 미치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이렇듯 사람의 성격이 옷차림새를 통해 표현되므로 드라마, 영화 속에서도 인물들의 캐릭터를 효과적으로 표현해 내기 위해 의복에 많은 신경을 쓰는 것이라 생각된다.
  • 가격1,2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8.12.05
  • 저작시기2007.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0164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