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0. 연구 방법
1. 문법변화에 대한 개론
1.1. 과거 한글 문법의 변화
1.2. 현대 한글 문법의 변화
2. 문자 메시지상의 문법변화의 환경
2.1. 문자 메시지 사용 현황
2.2. 문자 메시지상의 문법변화 실태
3. 문자 메시지상의 문법 변화의 구체적 내용
3.1. 띄어쓰기
3.1.1. 띄어쓰기의 중요성
3.1.2. 문자 메시지상의 띄어쓰기 실태
3.1.3. 문제점 개선 방안과 한계
3.2. 띄어쓰기 외의 문법
3.2.1. 변형된 문법의 사용실태
3.2.2. 음운, 표기에 집중되는 문법변화
3.2.3. 문법 변형의 원인
3.3. 이모티콘
3.3.1. 이모티콘 이모티콘: 감정(Emotion)과 아이콘(Icon)의 합성어이다. 키보드의 기호, 숫자, 알파벳 등을 조합해 사람의 표정이나 동물, 사물 등의 닮은 이미지를 만들어 놓은 것.
의 비문자적 요소
3.3.2. 문자 메시지상의 이모티콘 사용 실태
3.3.3. 이모티콘의 의의
4. 정리
5. 결론 및 나아갈 방향
6. 참고문헌
1. 문법변화에 대한 개론
1.1. 과거 한글 문법의 변화
1.2. 현대 한글 문법의 변화
2. 문자 메시지상의 문법변화의 환경
2.1. 문자 메시지 사용 현황
2.2. 문자 메시지상의 문법변화 실태
3. 문자 메시지상의 문법 변화의 구체적 내용
3.1. 띄어쓰기
3.1.1. 띄어쓰기의 중요성
3.1.2. 문자 메시지상의 띄어쓰기 실태
3.1.3. 문제점 개선 방안과 한계
3.2. 띄어쓰기 외의 문법
3.2.1. 변형된 문법의 사용실태
3.2.2. 음운, 표기에 집중되는 문법변화
3.2.3. 문법 변형의 원인
3.3. 이모티콘
3.3.1. 이모티콘 이모티콘: 감정(Emotion)과 아이콘(Icon)의 합성어이다. 키보드의 기호, 숫자, 알파벳 등을 조합해 사람의 표정이나 동물, 사물 등의 닮은 이미지를 만들어 놓은 것.
의 비문자적 요소
3.3.2. 문자 메시지상의 이모티콘 사용 실태
3.3.3. 이모티콘의 의의
4. 정리
5. 결론 및 나아갈 방향
6. 참고문헌
본문내용
화면이 한글 40 자, 그것도 8×5라는 네모난 모양이어서 작은 화면에 적은 용량을 내용을 담아야 하기 때문에 더더욱 이모티콘의 사용은 폭발적이다. 설문조사를 보면 전체 응답자 중 91%가 문자 메시지 상에서 이모티콘을 사용한다고 대답했다.
문법변형과 달리 이미 있던 체계를 파괴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표현방식을 도입이기 때문에 거부감이 덜 들것이다. 또한 이모티콘은 얼굴이 보이지 않는 온라인 상의 의사소통과정에서 있을 수 있는 감정표현의 부족함을 충족시켜 주는데 큰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이모티콘에 대한 부정적인 입장은 드물다.
이미 핸드폰과 같은 이동통신수단은 전 세계적으로 상용화되어 가는 추세이고, 문자 메시지의 사용 역시도 그러하다. 문자메시지가 널리 사용됨에 따라 이모티콘 역시도 세계적인 쓰임새가 있음을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이웃 일본의 경우, 최근 이모티콘과 비슷한 형태인 ‘동파(東巴)문자 동파(東巴)문자: 중국 원난성의 소수민족인 나시족에 지금까지도 전해오는 문자. 나시족의 백과사전으로 2만 5000권에 달하는 ‘동파경전’은 바로 이 ‘동파상형문자’로 기록돼 있다. 동파문자는 실생활 문자라기보다는 민족종교인 ‘동파교’의 종교의식에 쓰인 종교문자다. 발생시기는 약 1000년 정도 이전인 중국의 당(唐)-송(宋) 시대로 추정되고 있다. 문자는 약 1300개 정도지만 이런저런 조합을 합하면 총 2000자 정도가 있다는 분석이다.
’가 큰 반항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3.3.3. 이모티콘의 의의
물체의 외형적 모습에 착안해, 모습을 본 떠 글자를 만든다는 점에서 볼 때 이와 같은 동파문자나 이모티콘은 분명 기초적인 상형문자 혹은 표의문자라고 할 수 있다. 설문조사의 결과에서도 알 수 있듯 기존 문자 통신환경에서 이러한 표의문자가 사용된다는 것은, 서로의 얼굴이 보이지 않는 상태에서 행해지는 까닭에 자칫 삭막해지기 쉬운 무선통신문화의 분위기를 누그러트려 줄 수 있는 ‘양념’과도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환영받을 일이다.
또한 표의문자로서 이모티콘의 사용은, 기본적으로 표음문자체계를 갖추고 있는 한글문화에 있어서 신선한 일이라 할 수 있다. ‘음’을 나타내는 문자(表音文字)와 ‘뜻’을 나타내는 문자의 만남(表意文字). 이러한 현상은 무선통신 혹은 문자 메시지라는 새로운 통신매체의 등장으로 인해 빚어진 결과로서 21세기의 특징적 현상이랄 수 있는, 서로 다른 패러다임과 문화간의 크로스 오버(cross over)적 현상이라고 해석될 수도 있을 것이다.
4. 정리
인터넷의 보급과 채팅 문화의 확산은 오늘날의 급격한 문법 변화를 야기했다. 여기에 문자메시지라는 새로운 통신 수단이 등장하여 문법 변화의 양상은 더욱 급속화 되었다. 문자 메시지로 인한 문법 변화는 그 전달 수단이 문자라는 특성으로 말미암아 다시 인터넷과 채팅에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논물을 시작할 당시 휴대폰의 문자 메시지로 인한 전반적인 문법 변화를 대다수의 사람들이 반대하고 문제의식을 가지고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설문을 통한 조사 자료는 나의 가정과는 사뭇 다른 양상을 보여주었다. 띄어쓰기가 이루어지지 않는 상황에 대해서는 대다수의 사람들이 문제가 있다고 생각했으나, 변형된 문법이나 어휘, 그리고 이모티콘의 사용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 것이다.
이러한 조사 자료와 그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오늘날 일어나고 있는 휴대폰 문자 메시지로 인한 문법 변화 현상이 단순한 문법의 파기 현상으로 단정 지어질 수 없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물론 대다수의 사람들이 공감하고 있는 띄어쓰기 문제는 휴대폰 문자 메시지 용량의 확대 등의 방안을 통해 시정해나가야 할 것이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이 긍정적으로 평가한 변형된 문법, 어휘와 이모티콘의 사용은 그것이 기존 문법과 다르다고 해서 무조건 규제하고 고칠 필요는 없을 것이다. 언어는 대중들의 의사 소통을 위해 고안된 하나의 도구이다. 문법 변화는 문자만을 수단으로 하는 전달 방식이기 때문에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개인, 지역, 사회, 문화 등의 요인에 기인하여 어느 정도 필연적인 측면을 지니고 있다. 또한 문법은 계속해서 변화해온 것이므로 문법 변화 그 자체를 좋지 않다고 할 수는 없는 것이다.
그러나 오늘날과 같은 급속한 문법 변화는 어느 정도 규제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그러한 문법 변화가 사회 분열을 초래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비슷한 예로 변형된 문법이나 이모티콘이 언어의 표현적 기능을 신장하는 기능을 한다 하더라도 청소년이 사용하는 이모티콘을 기성세대가 이해하지 못한다면 그것은 문법의 변화가 세대간의 단절을 초래하고 나아가 사회분열을 야기하는 요소로 작용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5. 결론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우리는 현재 진행되고 잇는 문자 메시지로 인한 문법의 변화를 긍정적이라거나 혹은 부정적이라고 단정 지을 수 없었다. 다만 그것이 올바로 진행되었을 경우 기대할 수 있는 언어의 표현적 기능의 신장과 같은 장점과 그것이 너무 급속하게 진행 될 경우 초래될 수 있는 사회 분열 현상을 가늠해 볼 수 있을 뿐이다.
따라서 휴대폰으로 인한 문법 변화가 올바른 방향으로 진행 될 수 있는 가이드 라인을 설정하는 수준에서 결론을 지어야 했다.
우선 조사자료에서도 확인 된 바 있듯 점점 희박해지는 우리의 문법의식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그것은 올바른 문법 교육과 실생활에서도 문법 규칙의 준수를 생활화 할 수 있는 자세를 갖는 것에서 방법을 구체화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세대간, 개인간의 거리를 줄이고 상호 이해할 수 있는 사회 분위기를 조성할 필요가 있다. 오늘날 진행되고 있는 문법 변화를 단순히 부정적인 것으로 간주하는 색안경을 버리고 보다 탄력적인 자세로 받아들여야 한다. 이러한 자세를 통해 이모티콘 세대라고 불리는 청소년과 기성 세대간의 단절을 막고, 문법 변화를 보다 풍부한 문자적 의사 소통의 수단으로 이용해야 한다.
6. 참고문헌
Matthew Mckay, Martha Davis, Patrick Fanning, Message: The Communication Skills Book, 커뮤니케이션북스
문법변형과 달리 이미 있던 체계를 파괴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표현방식을 도입이기 때문에 거부감이 덜 들것이다. 또한 이모티콘은 얼굴이 보이지 않는 온라인 상의 의사소통과정에서 있을 수 있는 감정표현의 부족함을 충족시켜 주는데 큰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이모티콘에 대한 부정적인 입장은 드물다.
이미 핸드폰과 같은 이동통신수단은 전 세계적으로 상용화되어 가는 추세이고, 문자 메시지의 사용 역시도 그러하다. 문자메시지가 널리 사용됨에 따라 이모티콘 역시도 세계적인 쓰임새가 있음을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이웃 일본의 경우, 최근 이모티콘과 비슷한 형태인 ‘동파(東巴)문자 동파(東巴)문자: 중국 원난성의 소수민족인 나시족에 지금까지도 전해오는 문자. 나시족의 백과사전으로 2만 5000권에 달하는 ‘동파경전’은 바로 이 ‘동파상형문자’로 기록돼 있다. 동파문자는 실생활 문자라기보다는 민족종교인 ‘동파교’의 종교의식에 쓰인 종교문자다. 발생시기는 약 1000년 정도 이전인 중국의 당(唐)-송(宋) 시대로 추정되고 있다. 문자는 약 1300개 정도지만 이런저런 조합을 합하면 총 2000자 정도가 있다는 분석이다.
’가 큰 반항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3.3.3. 이모티콘의 의의
물체의 외형적 모습에 착안해, 모습을 본 떠 글자를 만든다는 점에서 볼 때 이와 같은 동파문자나 이모티콘은 분명 기초적인 상형문자 혹은 표의문자라고 할 수 있다. 설문조사의 결과에서도 알 수 있듯 기존 문자 통신환경에서 이러한 표의문자가 사용된다는 것은, 서로의 얼굴이 보이지 않는 상태에서 행해지는 까닭에 자칫 삭막해지기 쉬운 무선통신문화의 분위기를 누그러트려 줄 수 있는 ‘양념’과도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환영받을 일이다.
또한 표의문자로서 이모티콘의 사용은, 기본적으로 표음문자체계를 갖추고 있는 한글문화에 있어서 신선한 일이라 할 수 있다. ‘음’을 나타내는 문자(表音文字)와 ‘뜻’을 나타내는 문자의 만남(表意文字). 이러한 현상은 무선통신 혹은 문자 메시지라는 새로운 통신매체의 등장으로 인해 빚어진 결과로서 21세기의 특징적 현상이랄 수 있는, 서로 다른 패러다임과 문화간의 크로스 오버(cross over)적 현상이라고 해석될 수도 있을 것이다.
4. 정리
인터넷의 보급과 채팅 문화의 확산은 오늘날의 급격한 문법 변화를 야기했다. 여기에 문자메시지라는 새로운 통신 수단이 등장하여 문법 변화의 양상은 더욱 급속화 되었다. 문자 메시지로 인한 문법 변화는 그 전달 수단이 문자라는 특성으로 말미암아 다시 인터넷과 채팅에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논물을 시작할 당시 휴대폰의 문자 메시지로 인한 전반적인 문법 변화를 대다수의 사람들이 반대하고 문제의식을 가지고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설문을 통한 조사 자료는 나의 가정과는 사뭇 다른 양상을 보여주었다. 띄어쓰기가 이루어지지 않는 상황에 대해서는 대다수의 사람들이 문제가 있다고 생각했으나, 변형된 문법이나 어휘, 그리고 이모티콘의 사용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 것이다.
이러한 조사 자료와 그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오늘날 일어나고 있는 휴대폰 문자 메시지로 인한 문법 변화 현상이 단순한 문법의 파기 현상으로 단정 지어질 수 없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물론 대다수의 사람들이 공감하고 있는 띄어쓰기 문제는 휴대폰 문자 메시지 용량의 확대 등의 방안을 통해 시정해나가야 할 것이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이 긍정적으로 평가한 변형된 문법, 어휘와 이모티콘의 사용은 그것이 기존 문법과 다르다고 해서 무조건 규제하고 고칠 필요는 없을 것이다. 언어는 대중들의 의사 소통을 위해 고안된 하나의 도구이다. 문법 변화는 문자만을 수단으로 하는 전달 방식이기 때문에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개인, 지역, 사회, 문화 등의 요인에 기인하여 어느 정도 필연적인 측면을 지니고 있다. 또한 문법은 계속해서 변화해온 것이므로 문법 변화 그 자체를 좋지 않다고 할 수는 없는 것이다.
그러나 오늘날과 같은 급속한 문법 변화는 어느 정도 규제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그러한 문법 변화가 사회 분열을 초래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비슷한 예로 변형된 문법이나 이모티콘이 언어의 표현적 기능을 신장하는 기능을 한다 하더라도 청소년이 사용하는 이모티콘을 기성세대가 이해하지 못한다면 그것은 문법의 변화가 세대간의 단절을 초래하고 나아가 사회분열을 야기하는 요소로 작용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5. 결론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우리는 현재 진행되고 잇는 문자 메시지로 인한 문법의 변화를 긍정적이라거나 혹은 부정적이라고 단정 지을 수 없었다. 다만 그것이 올바로 진행되었을 경우 기대할 수 있는 언어의 표현적 기능의 신장과 같은 장점과 그것이 너무 급속하게 진행 될 경우 초래될 수 있는 사회 분열 현상을 가늠해 볼 수 있을 뿐이다.
따라서 휴대폰으로 인한 문법 변화가 올바른 방향으로 진행 될 수 있는 가이드 라인을 설정하는 수준에서 결론을 지어야 했다.
우선 조사자료에서도 확인 된 바 있듯 점점 희박해지는 우리의 문법의식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그것은 올바른 문법 교육과 실생활에서도 문법 규칙의 준수를 생활화 할 수 있는 자세를 갖는 것에서 방법을 구체화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세대간, 개인간의 거리를 줄이고 상호 이해할 수 있는 사회 분위기를 조성할 필요가 있다. 오늘날 진행되고 있는 문법 변화를 단순히 부정적인 것으로 간주하는 색안경을 버리고 보다 탄력적인 자세로 받아들여야 한다. 이러한 자세를 통해 이모티콘 세대라고 불리는 청소년과 기성 세대간의 단절을 막고, 문법 변화를 보다 풍부한 문자적 의사 소통의 수단으로 이용해야 한다.
6. 참고문헌
Matthew Mckay, Martha Davis, Patrick Fanning, Message: The Communication Skills Book, 커뮤니케이션북스
키워드
추천자료
몽골의 언어와 문자
이집트 상형문자와 맥루한
인터넷 방송의 현황과 문제점 및 발전방안
디지털컨텐츠(콘텐츠)산업 발달, 디지털컨텐츠(콘텐츠)산업 분류, 디지털컨텐츠(콘텐츠)산업 ...
[영어문법][영어][명사][관계대명사][동사][형용사][관사][부정사][접속사]영어 문법 명사, ...
[문법][전통문법][규범문법][구조문법][역사비교문법]문법의 개념, 문법의 특징, 문법의 범주...
삼국, 고려시대의 문자(文字)와 문고(文庫)
한국어의_문자체계
(인간과교육공통) 1.현대사회에서 평생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는 이유를 설명-현대사회에서평...
[국문학개론] - 문법 교육의 표준화와 다양화의 과제,문법 교육의 근거론, 문법 교육 번쳔사...
중국의 문자_ 한자
[방통대 국어국문학과 1학년 언어의 이해 E형] 문자의 유형과 특성을 설명하시오.
[방통대 국어국문학과 1학년 언어의 이해 E형] 문자의 유형과 특성을 설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