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러리즘과 사회의 발전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1)
2.1 테러리즘의 유래와 정의
2.1.1. 테러리즘의 유래
2.1.2. 테러리즘의 정의
2.1.3. 유사개념
2.2 테러리즘의 유형
2.2.1. 목표, 동기에 따른 구분
2.2.2. 수단 방법에 따른 구분
2.3. 테러의 실제 사례
2.3.1. 한국 관련 사건
2.3.2. 외국의 사건

3. 본론(2)
3.1. 사회적 약자들의 마지막 무기 - 테러
3.2. 종교와 테러
3.3. 테러리즘 양상의 변화

4.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지 잔재 청산 등의 뚜렷한 정치적 목표가 있었다. 즉, 이러한 테러는 많은 희생자를 내는 목적이 아니라 자신들의 정치적 목표를 향한 의지를 상대방에게 보여줌과 동시에 언론 매체를 통하여 자신들의 의지를 많은 다른 사람들에게 알리기 위해 행해 진 것이다. 그리고 테러 이후에 자신들이 테러를 자행하였다며 명백하게 밝혔고, 국제적으로도 이를 지원하는 국가들이 지지의사를 밝히기도 하였다.
이러한 테러 방식은 오늘날에도 계속 이어지고 있다. IRA의 테러 활동과 팔레스타인의 자살테러 등은 뚜렷한 정치 목적을 가지고 벌이는 테러 활동이다.
그러나 최근에 들어서 과거에는 많이 볼 수 없었던 테러들이 많이 등장하고 있는데 이러한 테러들은 왠지 그 개념이 이해하기에 혼란스럽다. 서방(미국)에 대한 반감, 문명에 대한 혐오, 종교적 광신 등의 이유로 저질러지는 테러행위는 고성능 폭탄이나, 화학무기 와 같은 대량 살상이 가능한 수단을 선호하여 민간인의 피해를 증가시킨다. 테러 이후 특정 세력이나 집단이 범인이라고 자처하지도 않으며 특정한 요구사항도 없다. 더구나 민간인의 희생에 대해 별로 개의치 않는 양상을 보임으로써, 과연 왜 그런 일을 벌였을까 하는 의구심을 자아내게 만든다. 대표적인 예가 앞에서도 나온 일본의 독가스 살포 사건이다.
이런 테러의 증가는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 이런 변화에 대해서는 정확히 이유가 정확히밝혀진 바가 없다. 그러나 이 역시 우리 사회적 흐름의 한 현상으로서 전체 사회의 변화 내용을 고려해서 살펴본다면 나름대로 추측을 할 수 있다. 예전부터 존재해온 테러에는 어떠한 명확한 목표가 있다. 그러나 최근에 들어 부쩍 늘어난 테러에는 목표의식보다는 단순히 반감이나 감정적인 문제에 치우치는 경향이 크다. 이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인간의 사회적인 특성의 변화에 기인했다고 볼 수 있다. 각종 매스미디어의 발달로 사람들은 많은 정보들을 한꺼번에 얻을 수 있게 되었고, 아무 노력 없이 얻은 그러한 정보를 자신의 머리 속에서 처리하는데 큰 힘을 들이지 않고 그냥 감정적으로 표출시키는 경향이 커졌다는 것이다. 즉, 과거 그 철통같은 위계질서 아래서 약자들이 자신의 의사 표출의 맨 마지막 단계로 테러를 선택하는 절박감과 같은 것은 요즘 등장한 테러리즘에서 찾아 볼 수 없다. 감정상의 문제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인간 생명에 대한 경시 풍조까지 겹치면서 테러범들은 자신의 특정 영역에 대한 반감을 아무 거리낌 없이 많은 사람들에게 피해를 주는 테러로 표현하는 것이다.
4. 결론
어떠한 사회이든 간에 그 내부에는 갈등이 항상 존재한다. 과거에도 그랬고, 현재에도 그러며, 미래에도 그럴 것이다. 또한 그 지역이 선진국이라고 해서 갈등이 존재하지 않는 것은 아니고, 또 후진국이라고 해서 갈등이 수치상으로 나오는 것처럼 선진국의 몇 배 이상 많은 것은 아니다. 중요한 점은 그 사회가 그 갈등들을 어떻게 해결해 나가려고 노력하는 가이다. 그러한 과정에 따라 그 사회 성격이 규정 될 수 있는 것이다. 서로 충분한 대화와 의사교류 등을 통해 갈등을 해결해 나가려고 한다면, 그 갈등의 해결 여부를 떠나서 일단 그 사회는 민주적인 사회이고, 훌륭한 해결책을 내놓을 가능성이 더 큰 사회이기 때문에 사람들이 희망을 가지고 살 수 있게된다. 그렇지만 그 사회가 경직되어 있어 서로간의 의사소통이 잘 되지 않고, 갈등을 그냥 어떠한 계급에게 유리한 쪽으로만 해결하려고 하는 방식으로 갈등해결의 노력을 보인다면 그 사회는 그 갈등이 점점 커져 결국 붕괴되고 말 것이다.
테러는 그 사회의 존재하는 갈등을 드러내 주는 역할을 한다. 즉, 어떤 사람들에겐 바로 직접적인 의미가 없어서 잊혀져 가지만, 어떠한 사람들에게는 그것이 생존의 문제와 직결되어 있는 갈등들을 사회 전체의 문제로 끌어 올려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렇게 말을 하니 테러가 아주 훌륭한 역할을 하고 있으니 자꾸 권장해야 하는 것처럼 들릴 수 있겠지만, 조금이라도 교육을 받고 뉴스나 신문을 조금이라도 본 사람은 아마 그렇게 이해하지 않을 것이다. 테러는 분명히 폭력적으로 그 사건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는 개개인에게 피해를 입히는 좋지 않은 행동이다.
그러나 테러라는 사건을 해결해야 하는 방식은 달라져야 한다. 요즘에 들어서 많이 나타나고 있는 감정적이고, 순전히 종교적인 이유의 테러는 제외하고서라도 그 테러가 왜 발생했는지에 대한 사회적인 공감이 이루어 져야 한다. 물론 불법적으로 수많은 인명피해와 재산피해를 입힌 테러범에 대한 강력한 처벌도 필요할 것이다. 분명히 우리사회에 피해를 입힌 사람이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강력한 테러범에 대한 처벌만으로는 테러에 대한 근본적인 대책이 될 수 없다. 추가 테러의 위협이 언제나 도사리고 있는 것이다. 어차피 테러범들은 목숨까지 버릴 각오를 한 사람들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는 그 테러는 우리사회에 어떠한 갈등 때문에 일어났는지 정확히 파악하여 그것에 대한 근본적인 대책을 통하여 추가적인 테러를 미연에 방지하여야 한다. 테러에 의해 희생당한 사람을 생각해서라도, 우리 사회의 훌륭한 일꾼인 그 들의 목숨을 위해서라도 테러사건은 우리 사회에 발전적인 방식으로 해결되어야 할 것이다. 그래야 다시는 똑같은 피해자가 발생하지 않는다.
사회에는 갈등이 언제나 존재하기 때문에 그러한 갈등을 풀기 위한 장치가 존재해야 한다.이런 장치가 제대로 기능을 발휘해야만이 사회적 갈등이 줄어 나가는 것이고, 갈등 표출로 인한 사회적 분열은 줄어드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전 사회적인 통합을 위해 힘써서 테러와 같은 과격한 갈등 표출이 드러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며, 이것이 테러가 우리에게 주는 교훈일 것이다.
< 참고 문헌 및 인터넷 사이트 >
1. 두산세계대백과 , 두산 출판사
2. http://guide.kangwon.ac.kr/~knup/899/soc.htm
3. http://www.hankooki.com/entertain/book/200109/en20010916163856E7010.htm
4. http://my.dreamwiz.com/okumdo/docs/csm20.html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8.12.10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0371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