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목적
2. 이론
3. 고주파 증폭 회로 P-spice 시뮬레이션 수행 결과
4. 시뮬레이션 결과
2. 이론
3. 고주파 증폭 회로 P-spice 시뮬레이션 수행 결과
4. 시뮬레이션 결과
본문내용
방법
헤테로다인 변조 방식을 통하여 실어 보내는데 간략히 설명하면, 마이크등을 통하여 목소리나 소리 등을 전기 신호로 변환한 다음 , 이 신호는 가청주파 영역이므로 멀리 보낼 수 없기 때문에 캐리어( 실어 보내는 매체)를 신호와 합성하면, 캐리어 위에 음성 등의 음파가 실리게 되어 멀리 보낼 수 있는 고주파 신호로 만드는데 이 과정을 소위 변조라고 한다. 사람도 먼 거리를 가려면 뭔가 탈것이 필요한 것과 마찬가지 이다. 나중에 수신기에서는 캐리어를 빼서 음성신호만 뽑아내어 증폭 한다. 이 과정을 검파 혹은 복조라고 한다.
트랜지스터 증폭
NPN TR에서 에미터에 마이너스 전압을 걸었을 경우 베이스에 인가된 전압이 에미터 보다 크면 통전 상태가 되는 것이다. 정확히 Vbe (VB - VE) > 0.7 이상이면 전류가 흐르게 되는 것이다. VE가 마이너스 전압이기 때문에 VE-0.7 < VB < VC -0.7 이면 증폭 작용을 할 수 있다.
VB < VE -0.7 이면 그전에 도통 상태 이였어도 통전 되지 않는다.
(기생 전류, 누설전류, 기생 캐패시턴스 무시)
코일에 의한 증폭은 교류에 한하여 1차측 코일을 감은 횟수와 1차측 코일 감은 횟수에 비례하여 전압이 증폭 된다. 즉 1차 가 n번 감기였고 2차가 m번 감긴 트랜스 포머라면 1차측 전압을 Vi 라고 해을때 2차측 전압 Vo = m*Vi / n 이 된다.
단 이것은 전압만 증폭 하는 것으로 다른 곳에서 에너지 주입이 없으므로 전체 전력( V * I)는 이론상 변화가 없다. 정확히 코일에 의한 저항 성분 결합에 의한 자기 손실에 의해 오히려 전력은 낭비가 된다.
반대의 경우가 전봇대에 있는 변압기 이다. 1차측 횟수가 2차측보다 훨씬 많은데 고압으로 송전된후 변압기에 의해 저압을 낮춘후 가정으로 보내는 것이다.
3. 고주파 증폭 회로 P-spice 시뮬레이션 수행 결과
회로도 )
조건 ) Start Freq :1kHz , End : 2000kHz , Points : 10001
시뮬레이션 결과 )
# log scale로 변환하지 않은 값
# x 축 log scale로 변환한 값
시뮬레이션 . 고주파 증폭 회로 실험 시뮬레이션 결과
회로도 )
조건 ) R8 : 1000k, R7 : 100M, (실험 회로도에는 없는 R 추가)
그 외의 조건은 위와 같음
시뮬레이션 결과 )
# log scale로 변환하지 않은 값
# x 축 log scale로 변환한 값
헤테로다인 변조 방식을 통하여 실어 보내는데 간략히 설명하면, 마이크등을 통하여 목소리나 소리 등을 전기 신호로 변환한 다음 , 이 신호는 가청주파 영역이므로 멀리 보낼 수 없기 때문에 캐리어( 실어 보내는 매체)를 신호와 합성하면, 캐리어 위에 음성 등의 음파가 실리게 되어 멀리 보낼 수 있는 고주파 신호로 만드는데 이 과정을 소위 변조라고 한다. 사람도 먼 거리를 가려면 뭔가 탈것이 필요한 것과 마찬가지 이다. 나중에 수신기에서는 캐리어를 빼서 음성신호만 뽑아내어 증폭 한다. 이 과정을 검파 혹은 복조라고 한다.
트랜지스터 증폭
NPN TR에서 에미터에 마이너스 전압을 걸었을 경우 베이스에 인가된 전압이 에미터 보다 크면 통전 상태가 되는 것이다. 정확히 Vbe (VB - VE) > 0.7 이상이면 전류가 흐르게 되는 것이다. VE가 마이너스 전압이기 때문에 VE-0.7 < VB < VC -0.7 이면 증폭 작용을 할 수 있다.
VB < VE -0.7 이면 그전에 도통 상태 이였어도 통전 되지 않는다.
(기생 전류, 누설전류, 기생 캐패시턴스 무시)
코일에 의한 증폭은 교류에 한하여 1차측 코일을 감은 횟수와 1차측 코일 감은 횟수에 비례하여 전압이 증폭 된다. 즉 1차 가 n번 감기였고 2차가 m번 감긴 트랜스 포머라면 1차측 전압을 Vi 라고 해을때 2차측 전압 Vo = m*Vi / n 이 된다.
단 이것은 전압만 증폭 하는 것으로 다른 곳에서 에너지 주입이 없으므로 전체 전력( V * I)는 이론상 변화가 없다. 정확히 코일에 의한 저항 성분 결합에 의한 자기 손실에 의해 오히려 전력은 낭비가 된다.
반대의 경우가 전봇대에 있는 변압기 이다. 1차측 횟수가 2차측보다 훨씬 많은데 고압으로 송전된후 변압기에 의해 저압을 낮춘후 가정으로 보내는 것이다.
3. 고주파 증폭 회로 P-spice 시뮬레이션 수행 결과
회로도 )
조건 ) Start Freq :1kHz , End : 2000kHz , Points : 10001
시뮬레이션 결과 )
# log scale로 변환하지 않은 값
# x 축 log scale로 변환한 값
시뮬레이션 . 고주파 증폭 회로 실험 시뮬레이션 결과
회로도 )
조건 ) R8 : 1000k, R7 : 100M, (실험 회로도에는 없는 R 추가)
그 외의 조건은 위와 같음
시뮬레이션 결과 )
# log scale로 변환하지 않은 값
# x 축 log scale로 변환한 값
추천자료
신호 입, 출력에 관련된 증폭과 필터링
[전자회로실험] 음성증폭기 회로제작
공통이미터(CE : Common Emitter) 증폭기
BJT(트랜지스터)의 동작점과 증폭기로서의 특성
OP amp를 이용한 앰프(증폭기) 만들기
회로실험 결과보고서
(실험 보고서)JFET 공통 소스 증폭기 실험 및 시뮬레이션
JFET 공통 드레인, 게이트 증폭기 실험 및 시뮬레이션
전자회로실험 프로젝트 이퀄라이져
실험(3) 예비 3-18,35 공통 게이트 증폭기, 트랜지스터 스위치
[기계실험]전기실험 - Op-Amp (선형증폭기)
실험 31. 발진기 회로 - 다양한 발진기 회로에서 파형을 측정한다.
전자회로실험 제 7_1장
[전기전자 실험] 공통 소스 트랜지스터 증폭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