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그림형제의 연보
㉡ 대표작품
㉢ 그림형제에 대해서
㉡ 대표작품
㉢ 그림형제에 대해서
본문내용
약한 편이었으나 문예가 기질이어서 문학적 표현능력이 우수했다. 우선 착수한 연구 분야는 전설 및 동화였고, 고향인 헤센 지방의 것부터 수집한다. 엘리트 시민으로서의 그림형제는 진보적 사상으로 희망과 염원을 동화집에 담은 듯하다. 1812년 <어린이와 가정동화>의 초판본이 나올 때부터 1857년 제 7판본이 나올 때까지 그림형제는 민중의 이야기와 창작동화를 혼합한다. 제 1판본은 내용의 잔혹성으로 인해서 당시 많은 비판을 받았다. 그림형제는 비판을 예상하면서도 잔혹성의 필수성을 역설한다. 그림 형제는 그 책이 어린이뿐만이 아니라, 어른을 함께 겨냥한 책이었다고 말한다. 제 2판본에서는 초판본에서 나타나는 성애의 장면이나 잔혹한 장면들이 상당히 삭제되거나 축소, 변경된다. 이들은 동화의 학문적 연구를 19c부터 시작했으며, 동화를 신화의 잔재로 파악합니다. 그들의 업적은 초기 낭만파와는 다르게 주관주의의 폐단에서 벗어나 냉철한 객관적 태도로 연구대상을 파악하고 탐구한 결과이다. 그들은 독일 고대문학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고, 다음 세대의 학문의 연구 기초를 확립하였으며, 역사연구에 있어서는 독일 중세연구를 성실히 수행하여 민족사 기술의 기초를 확립하였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