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1) 개요
2) 목적
2 이론적 배경
1) 습윤단위 체적중량()
2) 건조단위 체적중량 (v )
3 시험용 기구
4 시험 방법
5 결과 처리
1) 습윤 단위 체적 중량(v)
2) 건조 단위 체적 중량 (v)
3) 체적(v)의 계산
1) 개요
2) 목적
2 이론적 배경
1) 습윤단위 체적중량()
2) 건조단위 체적중량 (v )
3 시험용 기구
4 시험 방법
5 결과 처리
1) 습윤 단위 체적 중량(v)
2) 건조 단위 체적 중량 (v)
3) 체적(v)의 계산
본문내용
공시체의 높이를 측정한다.
(7) 측정치를 정리해 습윤단위중량과 건조단위중량을 계산한다.
5 결과 처리
1) 습윤 단위 체적 중량()
= ( g/cm3 )
여기서, W : 공시체의 중량 (g)
V : 공시체의 체적 (cm3)
2) 건조 단위 체적 중량 ()
( g/cm3 )
여기서, : 함수비(%)
3) 체적()의 계산
( cm3 )
여기서, : 공시체의 체적 ( cm3 )
: 공시체의 단면적 ( cm2 )
: 공시체의 평균직경 ( cm )
: 공시체의 높이 ( cm )
( cm )
여기서, : 공시체상단의 직경 ( cm )
: 공시체중앙의 직경 ( cm )
: 공시체하단의 직경 ( cm )
단위체적중량
공시체 번호
#1
#2
#3
공시체중량 W g
공시체의 높이 cm
공시체상단의 직경 cm
공시체중앙의 직경 cm
공시체하단의 직경 cm
공시체의 평균직경
cm
공시체의 단면적 cm2
공시체의 체적 cm3
습윤단위체적중량 g/cm3
함수비 %
건조단위체적중량 g/cm3
함수비,
시험 번호
#1
#2
#3
용기 번호
(젖은흙용기)의 무게, g
(마른흙용기)의 무게, g
용기의 무게, g
마른흙의 무게, g
물의 무게, g
함수비, %
평균 함수비 ,
(7) 측정치를 정리해 습윤단위중량과 건조단위중량을 계산한다.
5 결과 처리
1) 습윤 단위 체적 중량()
= ( g/cm3 )
여기서, W : 공시체의 중량 (g)
V : 공시체의 체적 (cm3)
2) 건조 단위 체적 중량 ()
( g/cm3 )
여기서, : 함수비(%)
3) 체적()의 계산
( cm3 )
여기서, : 공시체의 체적 ( cm3 )
: 공시체의 단면적 ( cm2 )
: 공시체의 평균직경 ( cm )
: 공시체의 높이 ( cm )
( cm )
여기서, : 공시체상단의 직경 ( cm )
: 공시체중앙의 직경 ( cm )
: 공시체하단의 직경 ( cm )
단위체적중량
공시체 번호
#1
#2
#3
공시체중량 W g
공시체의 높이 cm
공시체상단의 직경 cm
공시체중앙의 직경 cm
공시체하단의 직경 cm
공시체의 평균직경
cm
공시체의 단면적 cm2
공시체의 체적 cm3
습윤단위체적중량 g/cm3
함수비 %
건조단위체적중량 g/cm3
함수비,
시험 번호
#1
#2
#3
용기 번호
(젖은흙용기)의 무게, g
(마른흙용기)의 무게, g
용기의 무게, g
마른흙의 무게, g
물의 무게, g
함수비, %
평균 함수비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