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민속놀이의 성격
Ⅲ. 서울의 민속놀이
1. 송파산대놀이
2. 장안편사놀이
Ⅳ. 경기도의 민속놀이
1. 양주 별산대 놀이
2. 여주 쌍룡거 줄다리기
Ⅴ. 전라남도의 민속놀이
1. 고싸움놀이의 명칭
2. 고싸움놀이의 연원
Ⅵ. 전라북도의 민속놀이
1. 삼계 호상놀이
2. 삼동굿놀이
3. 쌍용 놀이
Ⅶ. 충청남도의 민속놀이
1. 거북놀이
2. 당진 기지시 줄다리기
3. 부여 은산별신제
4. 서산 볏가릿대놀이
5. 아산 줄다리기
Ⅷ. 충청북도의 민속놀이
Ⅸ. 경상북도의 민속놀이
1. 달집태우기
2. 줄다리기
3. 투계
4. 지신밟기
5. 투우
Ⅹ. 북한의 민속놀이
1. 북한 민속놀이의 분류
2. 북한의 대표적인 민속놀이
참고문헌
Ⅱ. 민속놀이의 성격
Ⅲ. 서울의 민속놀이
1. 송파산대놀이
2. 장안편사놀이
Ⅳ. 경기도의 민속놀이
1. 양주 별산대 놀이
2. 여주 쌍룡거 줄다리기
Ⅴ. 전라남도의 민속놀이
1. 고싸움놀이의 명칭
2. 고싸움놀이의 연원
Ⅵ. 전라북도의 민속놀이
1. 삼계 호상놀이
2. 삼동굿놀이
3. 쌍용 놀이
Ⅶ. 충청남도의 민속놀이
1. 거북놀이
2. 당진 기지시 줄다리기
3. 부여 은산별신제
4. 서산 볏가릿대놀이
5. 아산 줄다리기
Ⅷ. 충청북도의 민속놀이
Ⅸ. 경상북도의 민속놀이
1. 달집태우기
2. 줄다리기
3. 투계
4. 지신밟기
5. 투우
Ⅹ. 북한의 민속놀이
1. 북한 민속놀이의 분류
2. 북한의 대표적인 민속놀이
참고문헌
본문내용
가지고 동네잔치가 다시 벌어지는 가운데 상머슴에 준다. 그런데 그 상머슴이 노총각이거나 홀애비인 경우에는 적당한 노처녀나 과부가 있으면 다시 동네어른들이 상의하여 약식 결혼식을 올려주고 마을에 거둔 돈과 곡식으로 살림을 마련해 주기도 한다. 그래서 백중날 『상머슴 장가간다.』라는 속언이 유래된 것이다. 이 『괴산 의 백중 놀이』 는 오늘날 증산왕을 정하여 표창하는 것과 같은 격으로 고대로 농업국가인 우리나라에서 농민의 날이었던 백중날에 우수한 농민을 선출하여 증산과 근면을 권장해 온 아름다운 민속놀이의 한 형태인 것이다.
Ⅸ. 경상북도의 민속놀이
1. 달집태우기
달집태우기는 정월 대보름 달맞이 때 달을 보고 그 해의 풍년을 점치던 달점에서 유래된 놀이이다. 우리 조상들은 달집이 잘 타거나 연기가 많이 올라가야 가을에 풍년이 든다고 생각하였다. 이 놀이는 충청도 이남의 곳곳에서 해 왔으며, 대구에서는 \'달불집\', \'달불놓기\' 등으로 부르며 마을마다 농악과 함께 해 오던 놀이였다. 특히, 동구 도동에서는 1구와 2구로 갈려서 마을 청년들이 먼저 큰 나무로 삼각발 모양의 뼈대를 만들고 소나무를 위에 덮어 불을 붙일 수 있도록 하였다. 저녁이 되어 마을 사람들이 풍물을 울리며 산으로 올라오면 서로 연기가 많이 올라가도록 하려고 애를 썼다. 그러다가 달이 뜨면 마을 사람들은 모두 쇠가락에 맞추어 달을 보고 절을 하였으며, \"오호, 방아야.\"하며 춤을 추기도 하였다. 월배에서는 동제를 지낸 후 달집을 태웠고, 침산동, 검단동에서도 이 놀이를 하였다.
2. 줄다리기
줄다리기는 주로 우리나라의 남부 지방에서 삼국 시대부터 해 오던 집단 놀이의 하나로, 정초에 한 해의 풍년을 점치던 것이 그 바탕이다. 대구 지방에서는 줄다리기를 \'줄싸움놀이\'로 부르기도 하고, \'줄당기기\'로 부르는 곳도 많다. 대구 지방에서는 이 놀이를 음력 보름과 2월 사이에 행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용두 방천 줄다리기는 정월 대보름 때 아이들이 패를 갈라 골목에서 하던 놀이가 집집마다 새끼를 거두고 짚을 얻어서 꼬기도 하여 점점 커진 놀이이다. 줄다리기를 하는 날은 보름인데, 달빛이 밝으므로 저녁 56시쯤 각 동네마다 농악기를 가지고 나와 응원하였다. 남산동은 농사짓는 집이 얼마 되지 않았지만 대명동, 봉덕동, 성당동, 화원, 비산동, 다사 등에서도 줄을 당기러 왔다. 이 곳에서 오는 사람들이 동서로 갈려 힘을 겨루었는데, 동쪽에서는 청도, 경산, 자인 사람들이 올 때도 있었다. 줄다리기를 하는 장소는 수성 중학교 앞 다리와 중동교 사이의 넓고 편평한 천변이었다.
3. 투계
투계는 상품이나 돈을 걸고 싸움을 잘 하는 수탉끼리 싸움을 시키는 놀이이다. 투계는 동남아시아의 여러 나라에서 성행하는데, 우리나라에서는 경상남도에서 성행하였으며, 대구 사람들도 즐겨 하던 민속놀이의 하나이다. 싸움닭에는 인도산인 \"샤모\", 일본산인 \"한두\", 한두와 한국 재래종의 트기인 \"우두리\" 등이 있다. 싸움닭은 목이 길고 다리가 긴 것이 특징인데 동작이 민첩해야 한다. 주둥이로 쪼고 발로 차면서 싸우는데 앞치기, 뒷치기, 턱치기 등의 명칭이 있으며, 주저앉거나 주둥이가 땅에 닿거나 하면 지는 것이다. 1년생이 가장 투지가 왕성하여 죽을 때까지 덤비는 경우도 있다.
4. 지신밟기
음력 정월 초사흗날부터 대보름날까지 계속되는 민속놀이의 하나. 지방에 따라 마당 밟기, 매귀 놀이라고도 한다. 각종 지신을 달래고 잡신, 악귀를 몰아내 그 집안의 안녕과 가운을 축원하는 부락 행사이다. 행렬의 선두에 지신밟기라 쓴 기를 앞세우고 그 뒤에 농악대와 가면을 쓴 가장 행렬이 따른다.
5. 투우
투우란 소싸움 놀이를 말한다. 투우 놀이는 영남 지방 민속놀이의 하나로 대구 사람들도 옛날에 즐겨 하던 놀이이다. 대개 한가위 때 즐겨 하던 놀이로, 마을이 한 단위가 되어 각 마을에서 가장 힘이 센 소를 내세워 싸움을 붙인다. 소 싸움장에서 소와 소 사이를 가리고 있던 포장을 걷어 올리면 두 소가 서로 덤벼 싸움을 시작하는데, 한쪽 소가 다른 쪽 소에게 떠밀려 넘어지거나 무릎을 꿇으면 지는 것이다. 소싸움이 심할 때에는 소가 크게 다치거나 심지어 소가 죽는 경우도 있다. 마을 사람들끼리 내기를 걸기도 하며, 소싸움에서 이긴 마을이 진 마을의 형님 마을이 되기도 한다.
Ⅹ. 북한의 민속놀이
1. 북한 민속놀이의 분류
1) 가무놀이
농악, 탈놀이, 옹헤야, 돈돌라리와 달래춤, 쾌지나칭칭나네, 강강수월래, 놋다리, 화전놀이, 마당놀이, 방천놀이, 시절윷놀이, 봉죽놀이, 길쌈놀이, 다리밟기, 꼭두각시놀이, 등놀이, 불꽃놀이 등이 있다.
2) 경기놀이
그네뛰기, 널뛰기, 씨름, 활쏘기, 줄다리기, 돌팔매놀이, 쥐불놀이, 차전, 제기차기, 횃불싸움, 장치기, 공치기, 격구, 마상재, 소싸움 등이 있다.
3) 겨루기
윷놀이, 쌍윷, 장기, 바둑, 정종두놀이, 고누, 수투, 람승도놀이, 고을모둠, 칠교놀이, 산가지놀이 등이 있다.
4) 아동놀이
단심줄놀이, 연띄우기, 팽이돌리기, 썰매타기, 바람개비놀이, 수북따기, 진놀이, 숨바꼭질, 까막잡기와 사람찾기, 망차기와 돌아차기, 자치기, 대말타기, 줄넘기, 공기놀이, 실뜨기싸움과 꽃싸움, 다리셈놀이, 수박차기, 각시놀음 등이 있다.
2. 북한의 대표적인 민속놀이
1) 탈놀이
착취자들에 반대하여 일어난 인민들의 감정을 반영한 놀이다. 계급적 이해와 사상감정을 반영한 패기있고 투쟁적인 기백이 넘치는 놀이다.
2) 돈돌라리와 달래춤
원을 지어서 달래캐는 춤과 함께 통틀날 뜻을 지닌 민요를 부른다. 애국주의적 사상과 반외세를 지향하는 놀이다.
참고문헌
김광언(1989), 민속놀이, 대원사
김종만(1993), 아이들 민속놀이 백 가지, 우리교육
도유호 외(1999), 북한 학자가 쓴 조선의 민속놀이, 푸른숲
여가문화연구회(1997), 한국인의 놀이의식과 여가문화, 집문당
이강로(2000), 세시풍속과 민속놀이,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조선의 민속전통 편찬위원회(2000), 민속놀이와 명절 상 대산출판사
한양순 외(1987), 여성을 위한 민속놀이 체육적 의의와 에너지 소모량에 관한 연구, 서울 : 대한 체육회스포츠연구소
Ⅸ. 경상북도의 민속놀이
1. 달집태우기
달집태우기는 정월 대보름 달맞이 때 달을 보고 그 해의 풍년을 점치던 달점에서 유래된 놀이이다. 우리 조상들은 달집이 잘 타거나 연기가 많이 올라가야 가을에 풍년이 든다고 생각하였다. 이 놀이는 충청도 이남의 곳곳에서 해 왔으며, 대구에서는 \'달불집\', \'달불놓기\' 등으로 부르며 마을마다 농악과 함께 해 오던 놀이였다. 특히, 동구 도동에서는 1구와 2구로 갈려서 마을 청년들이 먼저 큰 나무로 삼각발 모양의 뼈대를 만들고 소나무를 위에 덮어 불을 붙일 수 있도록 하였다. 저녁이 되어 마을 사람들이 풍물을 울리며 산으로 올라오면 서로 연기가 많이 올라가도록 하려고 애를 썼다. 그러다가 달이 뜨면 마을 사람들은 모두 쇠가락에 맞추어 달을 보고 절을 하였으며, \"오호, 방아야.\"하며 춤을 추기도 하였다. 월배에서는 동제를 지낸 후 달집을 태웠고, 침산동, 검단동에서도 이 놀이를 하였다.
2. 줄다리기
줄다리기는 주로 우리나라의 남부 지방에서 삼국 시대부터 해 오던 집단 놀이의 하나로, 정초에 한 해의 풍년을 점치던 것이 그 바탕이다. 대구 지방에서는 줄다리기를 \'줄싸움놀이\'로 부르기도 하고, \'줄당기기\'로 부르는 곳도 많다. 대구 지방에서는 이 놀이를 음력 보름과 2월 사이에 행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용두 방천 줄다리기는 정월 대보름 때 아이들이 패를 갈라 골목에서 하던 놀이가 집집마다 새끼를 거두고 짚을 얻어서 꼬기도 하여 점점 커진 놀이이다. 줄다리기를 하는 날은 보름인데, 달빛이 밝으므로 저녁 56시쯤 각 동네마다 농악기를 가지고 나와 응원하였다. 남산동은 농사짓는 집이 얼마 되지 않았지만 대명동, 봉덕동, 성당동, 화원, 비산동, 다사 등에서도 줄을 당기러 왔다. 이 곳에서 오는 사람들이 동서로 갈려 힘을 겨루었는데, 동쪽에서는 청도, 경산, 자인 사람들이 올 때도 있었다. 줄다리기를 하는 장소는 수성 중학교 앞 다리와 중동교 사이의 넓고 편평한 천변이었다.
3. 투계
투계는 상품이나 돈을 걸고 싸움을 잘 하는 수탉끼리 싸움을 시키는 놀이이다. 투계는 동남아시아의 여러 나라에서 성행하는데, 우리나라에서는 경상남도에서 성행하였으며, 대구 사람들도 즐겨 하던 민속놀이의 하나이다. 싸움닭에는 인도산인 \"샤모\", 일본산인 \"한두\", 한두와 한국 재래종의 트기인 \"우두리\" 등이 있다. 싸움닭은 목이 길고 다리가 긴 것이 특징인데 동작이 민첩해야 한다. 주둥이로 쪼고 발로 차면서 싸우는데 앞치기, 뒷치기, 턱치기 등의 명칭이 있으며, 주저앉거나 주둥이가 땅에 닿거나 하면 지는 것이다. 1년생이 가장 투지가 왕성하여 죽을 때까지 덤비는 경우도 있다.
4. 지신밟기
음력 정월 초사흗날부터 대보름날까지 계속되는 민속놀이의 하나. 지방에 따라 마당 밟기, 매귀 놀이라고도 한다. 각종 지신을 달래고 잡신, 악귀를 몰아내 그 집안의 안녕과 가운을 축원하는 부락 행사이다. 행렬의 선두에 지신밟기라 쓴 기를 앞세우고 그 뒤에 농악대와 가면을 쓴 가장 행렬이 따른다.
5. 투우
투우란 소싸움 놀이를 말한다. 투우 놀이는 영남 지방 민속놀이의 하나로 대구 사람들도 옛날에 즐겨 하던 놀이이다. 대개 한가위 때 즐겨 하던 놀이로, 마을이 한 단위가 되어 각 마을에서 가장 힘이 센 소를 내세워 싸움을 붙인다. 소 싸움장에서 소와 소 사이를 가리고 있던 포장을 걷어 올리면 두 소가 서로 덤벼 싸움을 시작하는데, 한쪽 소가 다른 쪽 소에게 떠밀려 넘어지거나 무릎을 꿇으면 지는 것이다. 소싸움이 심할 때에는 소가 크게 다치거나 심지어 소가 죽는 경우도 있다. 마을 사람들끼리 내기를 걸기도 하며, 소싸움에서 이긴 마을이 진 마을의 형님 마을이 되기도 한다.
Ⅹ. 북한의 민속놀이
1. 북한 민속놀이의 분류
1) 가무놀이
농악, 탈놀이, 옹헤야, 돈돌라리와 달래춤, 쾌지나칭칭나네, 강강수월래, 놋다리, 화전놀이, 마당놀이, 방천놀이, 시절윷놀이, 봉죽놀이, 길쌈놀이, 다리밟기, 꼭두각시놀이, 등놀이, 불꽃놀이 등이 있다.
2) 경기놀이
그네뛰기, 널뛰기, 씨름, 활쏘기, 줄다리기, 돌팔매놀이, 쥐불놀이, 차전, 제기차기, 횃불싸움, 장치기, 공치기, 격구, 마상재, 소싸움 등이 있다.
3) 겨루기
윷놀이, 쌍윷, 장기, 바둑, 정종두놀이, 고누, 수투, 람승도놀이, 고을모둠, 칠교놀이, 산가지놀이 등이 있다.
4) 아동놀이
단심줄놀이, 연띄우기, 팽이돌리기, 썰매타기, 바람개비놀이, 수북따기, 진놀이, 숨바꼭질, 까막잡기와 사람찾기, 망차기와 돌아차기, 자치기, 대말타기, 줄넘기, 공기놀이, 실뜨기싸움과 꽃싸움, 다리셈놀이, 수박차기, 각시놀음 등이 있다.
2. 북한의 대표적인 민속놀이
1) 탈놀이
착취자들에 반대하여 일어난 인민들의 감정을 반영한 놀이다. 계급적 이해와 사상감정을 반영한 패기있고 투쟁적인 기백이 넘치는 놀이다.
2) 돈돌라리와 달래춤
원을 지어서 달래캐는 춤과 함께 통틀날 뜻을 지닌 민요를 부른다. 애국주의적 사상과 반외세를 지향하는 놀이다.
참고문헌
김광언(1989), 민속놀이, 대원사
김종만(1993), 아이들 민속놀이 백 가지, 우리교육
도유호 외(1999), 북한 학자가 쓴 조선의 민속놀이, 푸른숲
여가문화연구회(1997), 한국인의 놀이의식과 여가문화, 집문당
이강로(2000), 세시풍속과 민속놀이,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조선의 민속전통 편찬위원회(2000), 민속놀이와 명절 상 대산출판사
한양순 외(1987), 여성을 위한 민속놀이 체육적 의의와 에너지 소모량에 관한 연구, 서울 : 대한 체육회스포츠연구소
추천자료
민속놀이 교수학습 과정안
강강술래에 관한 고찰... (민속학, 놀이)
구비문학-민속극론(탈춤,인형극,발탈놀이)
[민속예술]영남지역 탈놀이의 언어매체 분석 및 지역적 특성
[민속인형극][꼭두각시놀음][인형극놀이][인형극][풍물]한국의 민속인형극 고찰과 꼭두각시놀...
[민속론A+] 민속에서 추구하는 해학과 풍자에 관한 작품사례 및 갈등의 화해양상
3)체육-여러 가지 민속 놀이하기(제기차기, 투호놀이)(중안)
[민속극][민속극 공연방식][민속극 제의][민속극 연행][민속극 교육론][가면][가면극]민속극...
[민속운동][민속][운동][민속운동 종류][민속운동 활용][민속운동 지도자료][민속운동과 기초...
[연희][거리굿 연희][마을굿 연희][민속극 연희][박첨지놀이 연희]거리굿의 연희, 마을굿의 ...
한국민속과 전통문화
한국민속과 전통문화 - 경복궁에 있는 국립 민속 박물관
[민속극][민속극 악사][민속극 교육화][민속극과 가면극][민속극과 민속학자]민속극의 특성, ...
한국 민속학의 이해-백석 문학에서의 민속적 요소들의 의미와 그 역할 연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