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상이 반영된 영웅의 능력과 그 함의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목적과 가치
1.2. 연구조사방법

2. 미국
2.1. 1940년대 이전
2.2. 1940년대
2.3. 2000년 이후

3. 일본
3.1. 전근대
3.1.1. 고대(-9세기)
3.1.2. 중세(9,10세기-18세기)
3.2. 현대
3.2.1. 19세기-1950년대
3.2.2. 1960년-1972/1973년
3.2.3. 1972년
3.2.4. 1992년

4. 중국
4.1. 전근대
4.1.1. 당나라 이전
4.1.2. 당․송대
4.1.3. 명․청대
4.2. 현대
4.2.1. 1911~1976년, 1976년(마오쩌둥사망이후)

5. 한국
5.1. 전근대
5.1.1. 삼국시대와 고려
5.1.2. 조선
5.2. 현대

6. 정리
6.1. 시대적 접근
6.1.1. 전근대의 영웅
6.1.2. 현대의 영웅
6.2. 변화에 의한 접근
6.2.1. 과학기술의 발달사
6.2.2. 종교․사상의 변화

6.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신에 대한 의지가 더욱 커짐을 볼 수 있는 것이다.
6.1.2. 현대의 영웅
현대에 들어서면 사회의 다양성 강조, 개인주의 등 개성의 강화가 각 지역 간의 공통점을 찾기 힘들게 한다. 그러함에도 몇 가지 특징을 찾을 수 있다.
우선, 전근대와는 다르게 영웅의 능력에 국가의 힘, 모습을 투영시키는 일이 생겨났다. 국민국가 개념이 확립된 이후에야 비로소 영웅의 능력에 국가를 투영시킬 수 있었던 것이다. 이는 미국의 ‘캡틴 아메리카’, 일본의 로봇물 등을 통해 알 수 있다. 또, 다양성을 강조하는 현대의 흐름 역시 엿볼 수 있다. 다양성을 강조한다는 것은, 기존에 주류로부터 무시되었던 가치가 존중받게 됨을 의미한다. 여성의 지위 향상, 우주여행, 성에 대한 금기, 외모, 인종 등이 현대 영웅물에서 새로이 부각되고 그 능력을 통해 기존의 부정적 속성을 누그러뜨렸을 뿐더러, 더 많은 소수 의견을 존중할 수 있는 기틀을 잡은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6.2. 변화에 의한 접근
6.2.1. 과학기술의 발달사
영웅들의 무기를 통해 과학기술의 발달을 유추해 볼 수 있다. 고대의 신화는 야금술의 발달, 즉 청동기철기 등의 금속 문명의 시작을 알렸다. 중세로 넘어와서도 평민들의 농경기술은 크게 발달하지 못함을 볼 수 있다. 아기장수 설화에 나타난 곡물들인 콩, 좁쌀 등은 밭농사를 통해 얻는 것인데, 사서에 기록된 귀족들의 농경생활, 즉 벼농사를 짓는 등의 발달된 농업기술의 혜택은 평민들에게까지는 자금이나 척박한 토지 등의 이유로 적용되지 못했을 것이다. 김동성 외, 『숨마쿰라우데-국사』(2판), 서울: 이룸이앤비, 2006, pp.172~173, pp.192~193.
현대에 들어서는 우주선의 발사나 로봇기술의 발달 등을 알 수 있으며, 과거에 흔히 쓰였던 검, 활 대신 총이나 폭탄 같은 화약무기를 쓰거나 등장하는 일이 빈번해지는 것을 보았을 때 무기의 패러다임이 변화했다고 볼 수 있다.
6.2.2. 종교사상의 변화
고대에는 태양신 숭배나 애니미즘, 토테미즘이 발달했다. 중세에 접어들면서 종교가 체계화 되고, 과거 왕을 매우 신성시했던 것이 완화되고 대신 민심은 천심, 반정부 투쟁 등이 영웅의 능력에 나타나기 시작했다. 동양에선 왕의 부패가 역성혁명을 정당화해주는 유교사상을 기본으로, 조선 후기 등 근대에 접근해 올수록 평민들의 권리의식이 향상되었음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현대에 들어서는 페미니즘의 탄생, 인종차별 완화, 사회주의의 발현, 외모 지상주의 등을 보여준다. 중국에서도 신해혁명과 사회주의의 전파 이후 여성의 지위가 향상된 모습을 여성영웅을 통해 보여주고 있다. 미국에서는 인종차별이 완화되고 있음을 흑인영웅의 등장으로 시사하며, 한국에서는 외모 지상주의에 대한 반발심리가 드러난 작품을 통해 외모 지상주의가 만연한 현대 사회의 모습을 보여준다.
6. 결론
서론에서 언급했던 바와 같이, 본 논문에서는 네 지역과 각 시대의 영웅들의 능력을 조사하여, 그 자료를 바탕으로 다양한 접근까지 수행하였다. 개별 영웅의 능력을 분석하는 데 있어서는 의미의 추출이 너무 일관적이지는 않은지, 기존 연구와 겹치거나 독창성이 떨어지는 것은 아닌지 하는 걱정 때문에 독특한 의미를 찾고자 노력하였다. 그 때문에 능력을 분석하는데 있어서는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그러나 서론에서도 언급하였듯, 공통점을 찾는 작업을 통해 인류가 공유하는 문화적, 사회적 동질성을, 차이점을 찾는 것을 통해 인류의 다양한 문화적, 사회적 배경을 확인할 수 있어 많은 것을 얻을 수 있었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 한계점도 많이 노출되었다. 동등한 비율로 조사가 이루어 지지 않고 각 나라별로 비슷한 비중으로 다루어 지지 않았다는 점이다. 이는 각 나라별로 영웅에 대한 자료부족이나 또는 발달과정의 차이 등으로 인해 발생하였다.
*참고문헌
-단행본
이구한, 『이야기 미국사』, 청아출판사, 2004.
데이비드 나이 저, 임찬빈 역, 『현대의 미국사회』 , 탐구당, 1994.
하종문, 「일본 전후세대가 바치는 통절한 ‘전후책임’」, 역사비평』(53호), 역사비평사, 2000.
중국소설연구회 저, 이영희 역, 『중국소설사의 이해』, 서울학고방, 1998.
김학주, 『중국문학사』, 신아사, 2005.
성완경, 『성완경의 세계만화탐사』, 생각의 나무, 2001.
이수웅, 『역사 따라 배우는 중국문학사』·, 다락원, 2001.
이인택, 『신화와 중국문학』, 울산대학교출판부, 2005.
릭 보느와, 『기호·상징·신화』, 경북대학교 출판부, 2006.
슈테판 크라머 저, 황진자 역, 『중국영화사』, 이산출판사, 2000.
안토니아 레비, 이혜정 역, 『외계에서 온 사무라이』, 초록배매직스, 2000.
요하네스 카르스텐젠, 『세계의 영웅전설』, 현대문학, 2005.
즈카사 후미오, 이즈노 히라나리 공저, 최수진 역, 『몬스터 퇴치 : 괴물을 죽인 영웅들 판타지 라이브러리 15』, 들녘, 2001.
클로드 몰리테르니 외, 『세계 만화의 역사』, 다섯수레, 2003.
허중림 저, 안기형 역, 『봉신연의』, 송강출판사, 1999.
-인터넷 사이트
위키피디아
http://ko.wikipedia.org/
http://en.wikipedia.org/
네이버 카페
http://cafe.naver.com/mscbook.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2831
인터넷 뉴스, 기사 http://www.laborrule.com/InfoDirectory/InfoStorage/news/Newsview.asp?FileID=enx&ItemID=ne200706112209282262&Table=news&tYear=2007
기타 사이트
http://ultramangreat.com.ne.kr/profile1.htm
http://blog.naver.com/winlord
http://www2.salesio-g.hs.kr/~bsyang/2000/05/st012534/homepage/d4.htm
http://www.gaogigar.wo.to/
http://www.tojapan.co.kr/culture/ani/cul_pds_list.asp
  • 가격1,9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8.12.26
  • 저작시기200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092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