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에 쓰이는 비유와 상징에 대하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시에 쓰이는 비유와 상징에 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원형상징

원형상징 모티브

비유의 종류와 활용

비유와 상징

비유의 개념

비유의 유형

비유의 기능

본문내용

알레고리의 차이는 전자의 경우에는 무생물의 생물화, 인간 아닌 것의 인간화 그 자체에 만족하는 경우가 많은데 비해 후자의 경우는 거기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보조관념인 표면적 세계를 통해 감추어 둔 원관념의 이면 세계를 날카롭게 풍자하는 속성을 갖는다는 점에 있다.
A) 잠든 나무의 고른 숨결소리/자거라 자거라 하고 자장가를 부른다(이형기, 돌베개의 詩)
B) 마음속에 기르고 있는 거북이 한 마리가 잠시 소홀한 틈을 타 바깥으로 기어나왔습니다. 거북아 거북아 아무리 불러들여도 뒤도 돌아보지 않고 앞으로 기어만 갑니다. 이놈은 내가 저를 키워 바다로 나가리라 생각한 듯 미리미리 바다를 둘러 볼 요량인가 봅니다. 거북아 거북아 제놈의 생각이 그런 것이라고 알아들은 만큼 이야기해 줘도 막무가내로 성깔을 부리는 저놈을 어쩔까요 심사가 틀린 저놈을 다시 불러들이기란 어렵지 않을까요 그러하다면 멋대로 보내줄 수밖에 없겠지요 거북아 거북아 아직 하늘로 올라가 별이 되기엔 너무 어린 거북아 만사는 세 운수 탓이지요.(박제천, 세 번째 女)
A)는 의인화를 중심으로 쓰여진 시이고 B)는 알레고리가 기본 바탕이 된 작품이다. 나무에 아기를 잠재우는 어머니의 사랑하는 마음을 이입하여 의인화 한 A)에서 보듯이 의인화는 시적인 세계 인식이 출발이자 세계를 자아화하는 서정시의 장르적 본질을 가장 잘 보여주는 기법이기도 하다.
B)의 경우는 거북이 의인화 되어 있다. 그런데 거북이는 단순히 인격만은 부여받은데서 머물지 않고 제 분수를 모르는 허영이 심한 현대 여성의 일단을 풍자하기 위한 방편으로 차용되고 있다. 알레고리 문학의 대표적이 것이 이솝우화 같은 것인데 우화 문학이 잘 보여주고 있듯이 알레고리는 인간의 탐욕이나 도덕적 타락상을 동물이나 무생물에 빗대어 풍자함으로써 교훈적인 효과를 짙게 노린다. 콜웰에 의하면, 알레고리 문학의 특성은 많은 의미의 요소로 구성되어 있고, 각 요소는 한 의미만을 가지며, 각 요소 사이의 관계는 의미 사이의 관계와 수평을 이루고, 그것이 추상적인 것을 구체화시킨다는 것이다. 알레고리를 시에서 사용할 때는 세심한 주의가 요망된다. 알레고리는 교훈성을 지나치게 노정하고 의미의 진폭을 극히 제약하는 속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비유의 기능
시를 이루는 모든 부분과 요소들이 그와 같듯이 비유 또한 시의 본질적 특성을 구현하는데 유기적으로 기능하는 부분이자 그 원리이다. 비유의 기능은 앞에서, 특히 비유의 유형을 논의하는 자리에서 산만하게나마 거론이 된 셈이지만 표현의 측면과 인식의 측면으로 정리할 수 있겠다.
표현론적 측면에서 비유는 강렬성과 구체성과 명증성에 기여하고, 인식론적 측면에서 그것은 리얼리티의 창조를 통한 새로운 세계 인식을 가능하게 한다. 다음 작품은 비유의 기능을 이해하는데 적절한 보기가 될 것이다.
담배를 보는 일곱 가지 눈
정현종
하염없이 손들의 마지막 신호.
연기처럼 사라지는 약속.
킹 사이즈의 혼란.
구호에 대한 암호.
등화관제 아래 지각없는 불빛.
습관적인 霧笛.
아마 우리 숨결의 외출.
위의 작품은 구조 자체가 은유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원관념인 담배에서 일곱 가지의 보조관념을 유추하고 있다. 아니 일곱 형태의 보조관념의 세계를 통해 일상적 사물인 담배의 세계가 새로운 의미를 창출하고 있다. 비유를 구성하는 두 요소인 원관념과 보조관념의 상태를 보면 일반적으로 원관념은 추상적 관념의 속성을 거느리고 보조관념은 구체적 사물의 속성을 띈다. 그런데 “담배=신호, 약속, 혼란, 암호…”에서처럼 위의 작품은 그 관계가 상반되어 보인다. 그러나 그것은 피상적 이해일 뿐, 끽연가들의 기호품이라는 상투적 의미로서의 담배가 안타까운 이별과 알 수 없는 일들로 물무늬를 이루는 우리들 삶의 결은 구체적이고 섬세하게 환기하고 있는 것이 위의 보조관념의 세계가 형성하는 의미망인 것이다.
표현론적 측면에서의 비유의 기능, 즉 강렬성과 구체성과 면증성의 이해를 위해 “담배=연기처럼 사라지는 약속”의 경우를 중심으로 생각해 보자. 이 경우 참조가 되는 것은 이른바 막스 블랙의 상호작용론이다. 이에 따르면 비유는 끊임없이 시의 형태와 구조를 활성화시키는 역학적 실체로서의 비유는 결국 강렬하고 구체적이고 면증한 표현에 의해 그 의미를 실현한다. 그 실현의 과정과 동인은 서로 다른 세계인 원관념과 보조관념이 밀고 당기는 원심력과 구심력의 상호 작용에 의한다. 가령,
담배 : 물질의 차원, 사고파는 것, 사소하고 무가치한 것, 정신의 차원……
약속 : 관념의 차원, 사고팔 수 없는 것, 소중한 가치, 정신의 차원……
등과 같이 상반되고 대조적인 두 세계가 <여기처럼 사리지는>이라는 구절에 의해 비유의 문맥을 형성한다. 담배와 약속은 위의 도식에서처럼 서로 각각의 독자적 세계로 돌아가려는 안간힘을 쓰고 있지만 이미 비유를 이루고 있으므로 결합될 수밖에 없다. 이 같은 정황 속에서 두 세계는 서로 모순, 충돌과 화합, 서로 일체화하려는 힘의 행사가 끊임없는 긴장을 지속한다. A.데이트는 이러한 긴장된 힘의 역동성을 텐션(tension)이라고 말하고 있지만, 독자성 지향과 동일성지향이 역학적 상관관계는 비유의 속성이고 그 속성에 의해 표현의 강렬성과 구체성과 명증성은 확보된다.
인식론적 측면에서 볼 때 비유는 구체적 사물과 추상적 언어사이의 불투명한 장막을 걷어내고 스스로 내밀한 통로가 되어 사물과 언어를 하나로 결합시키고, 의식이 만들어 놓은 온갖 비좁은 구분과 경계를 뛰어넘어 자유자재이 세계를 펼치고 언어 자체의 신장을 통해 새로운 리얼리티를 창조한다. 새로운 리얼리티의 창조는 결국 상투화된 고정관념의 세계를 깨뜨리게 마련이고 고정관념의 세계가 깨뜨려지는 순간 우리는 시의 기본덕목인 신선한 충격을 맛보게 된다. 가령, “담배=습관적인 霧笛”이라는 비유에서 놀라운 경험을 하게 되는 것이다. 담배에서 자욱한 안개 속의 기적소리를 듣다니! 흔한 사물로서 아무런 정서적 울림과 인식의 새로움을 줄 수 없었던 담배가 비유에 의해 기적 소리의 세계로 연결, 확대됨으로써 우리는 담배 피우리라는 하찮은 일상적 행위에서 보다 의미 깊고 은밀한 삶의 애환을 발견하게 되는 것이다.

키워드

비유,   상징,   ,   수사법
  • 가격1,2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8.12.26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096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