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교육과정 해설 및 9학년 문법 내용 정리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어> 교육과정 해설 및 9학년 문법 내용 정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남북한 언어의 차이를 안다.

1. 남북한 언어(표준어와 문화어)의 차이점

2. 남북한 언어의 차이가 발생하는 원인

(2) 국어의 음운 변동 규칙을 안다.

1. 음운의 개념

2. 음운의 갈래

3. 음운 변동 규칙

(3) 품사의 분류 기준과 각 품사의 특성을 안다.

1. 분류

2. 품사

3. 체언, 용언, 활용

4. 각 품사의 특성

(4) 각 문장 성분의 특성과 문장의 구성 원리를 안다.

(5) 문장의 구조로 말미암아 의미가 여러 가지로 해석되는 현상을 안다.

1. 문장의 주성분

2. 부속성분

3. 독립성분

4. 국어의 문장 성분 배열의 기본순서 : 주어 - 목적어 / 보어 - 서술어

(6) 맞춤법에 맞게 국어를 사용한다.

(7) 맞춤법에 맞게 국어를 사용하려는 태도를 지닌다.

1. 맞춤법의 정의와 특성

본문내용

ㄱㄲㄴㄷㄸㄹㅁㅂㅃㅅㅆㅇㅈㅉㅊ ㅋㅌㅍㅎ
모음:ㅏㅐㅑㅒㅓㅔㅕㅖㅗㅘㅙㅚㅛㅜㅝ ㅞ ㅟㅠㅡㅢㅣ
자음:ㄱㄴㄷㄹㅁㅂㅅ(ㅇ)ㅈㅊㅋㅌㅍㅎㄲ ㄸㅃㅆㅉ
모음:ㅏㅑㅓㅕㅗㅛㅜㅠㅡㅣㅐㅒㅔㅖㅚ ㅟㅢㅘㅝㅙㅞ
④ 남북한 언어 차이를 알아볼 수 있는 싸이트 (참고자료)
북한 언어 차이점(http://zzna.com.ne.kr/index3.html)
KBS 아름다운 통일(http://tongil.kbs.co.kr)
통일이의 북한말 여행(http://my.netian.com/~holdall/menu.htm)
소년 동아일보(http://kids.donga.com/vl.asp?c=207d=407e=107v=)
재미있는 북한말(http://my.dreamwiz.com/choi3131/puchunmal.htm)
한겨레 평화통일협회 - 북한용어 모음(http://www.hpua.or.kr)
NK 조선일보(http://nk.chosun.com/culture/culture/culture.html)
기독교 북한 선교회(http://cmnk.org/interchange/explain/main.htm)
천치와 천재(http://www.twinpapa.com)
내가 보는 북한(http://www.unikorea.net)
통일세상(http://w241.contest21.com)
내 용
수준별 학습 활동의 예
(2) 국어의 음운 변동 규칙을 안다.
【기본】
О 음운 변동 규칙을 알고, 음운 변동의 예들을 각각의 음운 변동 규칙에 대응시킨다.
【심화】
О 음운 변동 규칙과 표준 발음, 표기의 관계에 대해 토의한다.
1. 음운의 개념
1) 음운이란 : 말의 뜻을 구별해 주는 소리의 단위이다. 자음과 모음을 아울러 이르는 말
2) 음운의 특징
① 자음(닿소리)과 모음(홀소리)으로 나타내는 소리이다.
② 형태소를 분화시키는(나누는) 기능을 한다.
③ 추상적인 개념(뜻)으로, 이의 구체적 소리를 ‘음성’이라 한다.
④ 사람들의 머릿속에 기억되어 있는 심리적, 관념적 소리이다.
⑤ 모든 사람이 동일한 음가로 생각하고 있는 소리이다.
⑥ 문자로 나타낼 수 있도록 그 수가 한정되어 있는 역사적, 전통적인 소리이다.
⑦ 같은 소리를 여러 사람이 발음해도 같은 소리로 인식된다.
⑧ 말의 뜻과 관계되어 있어 뜻의 차이를 나타내는 소리이다.
2. 음운의 갈래
1) 국어의 음운(40개) : 자음 19개, 모음 21개
2) 자음 : 홀로 발음될 수 없고, 허파에서 나오는 공기의 흐름이 입안에서 장애를 받고 나오는 소리. 닿소리
① 자음(닿소리) (19개) : ㄱ,ㄲ,ㄴ,ㄷ,ㄸ,ㄹ,ㅁ,ㅂ,ㅃ,ㅅ,ㅆ,ㅇ,ㅈ,ㅉ,ㅊ,ㅋ,ㅌ,ㅍ,ㅎ
예사소리 (10개) :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ㅎ
된 소 리 (5개) : ㄲ, ㄸ, ㅃ, ㅆ, ㅉ
거센소리 (4개): ㅊ, ㅋ, ㅌ, ㅍ
② 문자로서의 ‘ㄱ, ㄴ, ㄷ……’은 ‘기역, 니은, 디귿……’으로 읽고, 음운으로서의 ‘ㄱ, ㄴ, ㄷ……’은 편의상 자음에 ‘ㅡ’ 소리를 붙여 [그, 느, 드…]로 읽는다(자음 ‘ㅇ’은 ‘으’ 가 아니라 [응]으로 읽어야 한다.)
예사소리 - 숨쉴 때와 같은 예사의 숨결로 내는, 약한 기(氣)를 가진 소리
된 소 리 - 성문(聲門:목청)을 거의 닫고, 된 숨결로 내는 소리
거센소리 - 성문을 마찰하는 거센 숨결로 내는, 강한 기(氣)를 가진 소리
3) 모음 : 홀로 발음될 수 있고, 허파에서 나오는 공기의 흐름이 성대를 울리면서 입 안에 서 장애를 받지 않고 순조롭게 나오는 소리. 자음 없이 홀로 소리 날 수 있다. 홀소리
모음(홀소리),(21개)
단 모 음 (10개) : ㅏ, ㅐ, ㅓ, ㅔ, ㅗ, ㅚ, ㅜ, ㅟ, ㅡ, ㅣ
이중모음 (11개) : ㅑ, ㅒ, ㅕ, ㅖ, ㅘ, ㅙ, ㅛ, ㅝ, ㅞ, ㅠ, ㅢ
단 모 음 - 발음할 때 입 모양이나 혀의 위치가 변하지 않는 소리
이중모음 - 발음할 때 입모양이나 혀의 위치가 변하는 소리
‘열기’에서처럼 모음 앞에 오는 ‘ㅇ’은 음가 없이 형식적으로 쓴 것이므로 음운이 아니다.
3. 음운 변동 규칙
1) 음절의 끝소리 규칙 : 국어 음절의 끝소리는 ‘ㄱ,ㄴ,ㄷ,ㄹ,ㅁ,ㅂ,ㅇ’의 7개 자음 뿐이다. 이 밖의 자음이 오면 이 일곱 자음 중의 하나로 바뀐다.
* 표준 발음법 제4장 받침의 발음
제8항 받침소리로는 ( ㄱ, ㄴ, ㄷ, ㄹ, ㅁ, ㅂ, ㅇ )의 7개 자음만 발음한다.
제10항 겹받침  ,,,, ,은 어말 또는 자음 앞에서 [ㄱ,ㄴ,ㄹ,ㅂ]으로 발음한다. 다만, ‘밟-’은 자음 앞에서 [밥]으로 발음하고, ‘넓-’은 ‘넓죽하다’, ‘넓둥글다’와 같은 경우 [넙]으로 발음한다.
제11항 겹받침 ‘,, ’은 어말 또는 자음 앞에서 [ㄱ,ㅁ,ㅂ]으로 발음한다. 다만, ‘’은 ‘ㄱ’ 앞에서 [ㄹ]로 발음한다.
제15항 받침 뒤에 모음 ‘ㅏ,ㅓ,ㅗ,ㅜ,ㅟ’ 들로 시작되는 실질 형태소가 연결되는 경우에는 대표음으로 바뀌어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다만 ‘맛있다, 멋있다’는 ‘[마싣따],[머싣따]’로도 발음할 수 있다.
① 끝소리가 바뀌는 자음
/ㅍ/ → [ㅂ]
/ㅅ,ㅆ,ㅈ,ㅊ,ㅌ/ → [ㄷ]
/ㄲ,ㅋ/ → [ㄱ]
② 겹받침의 발음 : 겹받침 하나만 발음된다.
㉠ ㅄ,ㄳ,ㄽ,ㄾ,ㄵ은 첫째 자음만 남는다.
예)값 [갑], 몫 [목], 외곬 [외골], 핥고 [할꼬], 앉고 [안꼬]
㉡ ㄺ,ㄻ,ㄿ은 어말이나 자음 앞에서 둘째 자음이 남는다.
단, ㄺ은 ㄱ앞에서는 앞자음 [ㄹ]로 발음한다.
예)읽지 [익지], 삶 [삼], 닭 [닥], 흙 [흑], 읊다 [읖다 → 읍따]
읽고 [일꼬], 맑게 [말께], 묽고 [물꼬]
㉢ㄼ은 어말이나 자음 앞에서 첫째 자음 [ㄹ]로 발음하되,
‘밟-’은 자음 앞에서 [밥-]으로
‘넓-’은 넓쭉하다 [넙쭈카다], 넓둥글다 [넙뚱글다]로 발음한다.
예)넓다 [널따], 섧다 [설따]
밟다[밥:따], 밟소[밥:쏘], 밟는 [밥:는 → 밤는]
③ 자음 끝소리 + 모음으로 시작되는 형식형태소는, 자음의 끝소리가 다음 음 절의 첫소리로 발음된다.
예)옷이 [오시], 옷을 [오슬]
④ 자음 끝소리 + 모음으로 시작되는 실질형태소는, 일곱 자음의 하나로 발음된다.
예)옷+안 [
  • 가격2,0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08.12.28
  • 저작시기2008.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034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