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1. 항만(Harbor, Port)이란
2. 항만의 기능별 특성화
3. 항만이 지역성장에 기여하는 역할 및 영향
4. 기존연구의 분석
Ⅲ. 항만과 지역경제 성장의 관련성 및 현황
1. 항만 시스템 분석
2. 지역경제에 관한 분석
1) 항만산업에 대한 고찰
2) 부산지역경제에 대한 고찰
Ⅳ. 상호 구조모델의 작성
1. 인과관계 형성 분석
2. 모델의 행태분석
1) 표준 시뮬레이션 모델
2) 정책 실험
Ⅴ. 결 론
참고 문헌
Ⅱ. 이론적 배경
1. 항만(Harbor, Port)이란
2. 항만의 기능별 특성화
3. 항만이 지역성장에 기여하는 역할 및 영향
4. 기존연구의 분석
Ⅲ. 항만과 지역경제 성장의 관련성 및 현황
1. 항만 시스템 분석
2. 지역경제에 관한 분석
1) 항만산업에 대한 고찰
2) 부산지역경제에 대한 고찰
Ⅳ. 상호 구조모델의 작성
1. 인과관계 형성 분석
2. 모델의 행태분석
1) 표준 시뮬레이션 모델
2) 정책 실험
Ⅴ. 결 론
참고 문헌
본문내용
165,424천톤에서 183,916천톤으로 증가하였다. 이는 항만처리능력이 증가함에 따라 항만비용의 감소, 정기선의 증가 등의 이유로 화물량이 증가함으로 알 수 있다. 항만관련산업의 경우 787업체에서 801개로 증가하였고, 항만관련산업 총매출액 또한 913,054백만원에서 927,015백만원으로 다소 증가함으로 알 수 있다.
이번에는 항만에서 화물을 처리할 때 드는 항만비용의 평균 증가율을 0.015에서 0.05로 크게 증가시킬 때의 모델의 행태를 살펴본다. 항만비용의 변화를 준 시뮬레이션을 시나리오 3이라 정의한다.
VC : 수출입 컨테이너량, HC : 항만하역능력, NL : 정기선사척수, LP : 부두길이, PC : 항만비용,
PI : 항만관련산업, PIE : 항만관련산업 노동자수, PIS : 항만관련산업 매출액
<그림 6> 시나리오 3에 의한 그래프
시뮬레이션 결과 2010년을 기준으로, 항만비용의 증가로 인해 수출입 화물량은 165,424천톤에서 136,920천톤으로 감소되었고, 정기선 척수도 1,625척에서 1,422척으로 감소되었다. 항만관련산업은 787개 업체에서 777개 업체로 다소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지역총생산(GRDP)의 평균 증가율 0.09를 0.2로 변화를 시키면 항만의 물동량과 항만관련산업이 어떠한 변화를 일으키는지를 살펴본다. 지역총생산에 변화를 주어 시뮬레이션을 하는 것을 시나리오 4라 하다.
VC : 수출입 컨테이너량, HC : 항만하역능력, NL : 정기선사척수, LP : 부두길이, PC : 항만비용,
PI : 항만관련산업, PIE : 항만관련산업 노동자수, PIS : 항만관련산업 매출액
<그림 7> 시나리오 4에 의한 그래프
지역총생산 평균 증가율 0.09를 0.2로 수정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한 결과는 2010년 기준으로, 수출입화물량이 165,424천톤에서 171,206천톤으로 증가하였고, 항만관련산업의 경우 787개 업체에서 797개 업체로 10개 업체가 증가하였다. 그리고, 지역총생산이 증가함에따라 부산의 제조업체수도 8,750개 업체에서 9,147개 업체로 많이 양의 증가를 보였다. 부산시 인구수도 3,820,750명에서 3,834,630명으로 소폭 증가함으로 알 수 있었다.
Ⅴ. 결 론
항만을 끼고 있는 세계의 어느 도시나 그러하듯 부산시에 대한 부산항은 부산시가 City of Pusan이라기 보다는 Port of Pusan으로 외국에 더 많이 알려져 있다는 객관적인 사실만으로도 그 중요도를 더하고 있는 듯하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부산항이 가지고 있는 특성과 항만관련산업, 그리고 부산 지역경제의 주요 특성을 추출하여 항만과 지역경제간의 연관 관계를 보다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시뮬레이션을 행할 수 있는 동태적인 모델로 만들어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항만이 발전하여야, 즉, 항만에 들어오는 화물량이 증가하여야 항만관련산업이 번창한다는 인과관계를 도출하여 구조형 시뮬레이션 방법인 SD법을 도입하여 항만과 지역경제간의 모형을 개발하였다.
모형을 구성하는 요소추출은 선행 문헌조사분석 및 실증조사법을 사용하여 획득하였으며, 획득한 구성요소의 인과관계 루프를 항만부분, 지역경제 부분으로 나누어 결정하였고, 인과 관계를 확인하였다.
시뮬레이션 실행 결과, 레벨변수 각각의 초기투입치에서 증가 및 감소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는데, 수출입 화물량의 경우 기준연도 63,371천톤에서 2011년에는 165,424천톤으로 증가하고, 이에 따라서 항만관련 산업도 511개 업체에서 787개 업체로 증가하고, 부산시 제조업체의 경우 7,072개에서 8,750개로 변화하였다.
이상으로, 항만과 지역경제간의 관계를 SD법을 사용하여 시뮬레이션 수행 결과 항만과 지역경제는 서로 다이나믹한 관계를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참고 문헌
항만 변천사 2001 (한국 컨테이너 부두공단, 영진인쇄사, 2001)
이철영, "시스템공학 개론", 효성출판사, 1997.
이철영, "항만물류시스템", 효성출판사, 1997.
김도훈, 문태훈, 김동환, 시스템 다이내믹스, 대영문화사, 1999.
김학소, "항만선택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3.
전일수, 김학소, 김범중, "우리날 컨테이너항만의 국제 경쟁력 재고방안에 관한 연구", 해운산업연구언, 1993.
김종철, "우리나라 항만도시의 항만구조 및 성장요인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1.
남찬교, "항만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지역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3.
이영혁, 김세영, "해운산업이 국민경제에 미치는 영향", 해운산업연구원, 1993.
P. R. Murphy, J. M. Daley, D. R. Dalenberg, "Port Selection Criteria : An Application of a Transportation Research Framework", Logistics & Transportation Review, Vol. 28, 1992.
A. J. Taylor, "System Dynamics in shipping", Operation Research, Vol. 27, No1, 1976.
Eden, C., "Cognitive mapping and problem structuring for system dynamics model building", System Dynamics Review, Vol 10, No 2-3., 1994.
Coyle R.G., "The Practive of system dynamics : milestones, lessons and ideas from 30years experience" system dynamics review, Vol 14, No 4, 1998.
J. W. Forrester, Industrial Dynamics, MIT Press, 1961.
J. W. Forrester, Urban Dynamics, MIT Press, 1969.
J. W. forrester, World Dynamics, MIT Press, 1971.
이번에는 항만에서 화물을 처리할 때 드는 항만비용의 평균 증가율을 0.015에서 0.05로 크게 증가시킬 때의 모델의 행태를 살펴본다. 항만비용의 변화를 준 시뮬레이션을 시나리오 3이라 정의한다.
VC : 수출입 컨테이너량, HC : 항만하역능력, NL : 정기선사척수, LP : 부두길이, PC : 항만비용,
PI : 항만관련산업, PIE : 항만관련산업 노동자수, PIS : 항만관련산업 매출액
<그림 6> 시나리오 3에 의한 그래프
시뮬레이션 결과 2010년을 기준으로, 항만비용의 증가로 인해 수출입 화물량은 165,424천톤에서 136,920천톤으로 감소되었고, 정기선 척수도 1,625척에서 1,422척으로 감소되었다. 항만관련산업은 787개 업체에서 777개 업체로 다소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지역총생산(GRDP)의 평균 증가율 0.09를 0.2로 변화를 시키면 항만의 물동량과 항만관련산업이 어떠한 변화를 일으키는지를 살펴본다. 지역총생산에 변화를 주어 시뮬레이션을 하는 것을 시나리오 4라 하다.
VC : 수출입 컨테이너량, HC : 항만하역능력, NL : 정기선사척수, LP : 부두길이, PC : 항만비용,
PI : 항만관련산업, PIE : 항만관련산업 노동자수, PIS : 항만관련산업 매출액
<그림 7> 시나리오 4에 의한 그래프
지역총생산 평균 증가율 0.09를 0.2로 수정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한 결과는 2010년 기준으로, 수출입화물량이 165,424천톤에서 171,206천톤으로 증가하였고, 항만관련산업의 경우 787개 업체에서 797개 업체로 10개 업체가 증가하였다. 그리고, 지역총생산이 증가함에따라 부산의 제조업체수도 8,750개 업체에서 9,147개 업체로 많이 양의 증가를 보였다. 부산시 인구수도 3,820,750명에서 3,834,630명으로 소폭 증가함으로 알 수 있었다.
Ⅴ. 결 론
항만을 끼고 있는 세계의 어느 도시나 그러하듯 부산시에 대한 부산항은 부산시가 City of Pusan이라기 보다는 Port of Pusan으로 외국에 더 많이 알려져 있다는 객관적인 사실만으로도 그 중요도를 더하고 있는 듯하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부산항이 가지고 있는 특성과 항만관련산업, 그리고 부산 지역경제의 주요 특성을 추출하여 항만과 지역경제간의 연관 관계를 보다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시뮬레이션을 행할 수 있는 동태적인 모델로 만들어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항만이 발전하여야, 즉, 항만에 들어오는 화물량이 증가하여야 항만관련산업이 번창한다는 인과관계를 도출하여 구조형 시뮬레이션 방법인 SD법을 도입하여 항만과 지역경제간의 모형을 개발하였다.
모형을 구성하는 요소추출은 선행 문헌조사분석 및 실증조사법을 사용하여 획득하였으며, 획득한 구성요소의 인과관계 루프를 항만부분, 지역경제 부분으로 나누어 결정하였고, 인과 관계를 확인하였다.
시뮬레이션 실행 결과, 레벨변수 각각의 초기투입치에서 증가 및 감소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는데, 수출입 화물량의 경우 기준연도 63,371천톤에서 2011년에는 165,424천톤으로 증가하고, 이에 따라서 항만관련 산업도 511개 업체에서 787개 업체로 증가하고, 부산시 제조업체의 경우 7,072개에서 8,750개로 변화하였다.
이상으로, 항만과 지역경제간의 관계를 SD법을 사용하여 시뮬레이션 수행 결과 항만과 지역경제는 서로 다이나믹한 관계를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참고 문헌
항만 변천사 2001 (한국 컨테이너 부두공단, 영진인쇄사, 2001)
이철영, "시스템공학 개론", 효성출판사, 1997.
이철영, "항만물류시스템", 효성출판사, 1997.
김도훈, 문태훈, 김동환, 시스템 다이내믹스, 대영문화사, 1999.
김학소, "항만선택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3.
전일수, 김학소, 김범중, "우리날 컨테이너항만의 국제 경쟁력 재고방안에 관한 연구", 해운산업연구언, 1993.
김종철, "우리나라 항만도시의 항만구조 및 성장요인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1.
남찬교, "항만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지역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3.
이영혁, 김세영, "해운산업이 국민경제에 미치는 영향", 해운산업연구원, 1993.
P. R. Murphy, J. M. Daley, D. R. Dalenberg, "Port Selection Criteria : An Application of a Transportation Research Framework", Logistics & Transportation Review, Vol. 28, 1992.
A. J. Taylor, "System Dynamics in shipping", Operation Research, Vol. 27, No1, 1976.
Eden, C., "Cognitive mapping and problem structuring for system dynamics model building", System Dynamics Review, Vol 10, No 2-3., 1994.
Coyle R.G., "The Practive of system dynamics : milestones, lessons and ideas from 30years experience" system dynamics review, Vol 14, No 4, 1998.
J. W. Forrester, Industrial Dynamics, MIT Press, 1961.
J. W. Forrester, Urban Dynamics, MIT Press, 1969.
J. W. forrester, World Dynamics, MIT Press, 1971.
추천자료
[민영화][민간투자사업][민영화 투자기금][항만시설 민영화][민간투자사업 운영]민영화투자기...
[도심][도시][빌딩리모델링][재개발사업][재개발][항만][소공원][환경오염][진드기류]도심의 ...
[지역혁신론] 성공한 사회적 기업의 사례를 찾아보고 이를 분석해보자.
부산항이 지항하는 항만..
[교육][교육의 본질][국가][학문][지역사회][교육의 교사역할]교육의 개념, 교육의 본질, 교...
본인이 관심 있는 사회복지실천의 특정분야를 선정하여 이 분야에서 수행하여야 하는 사회복...
[항만설계] 새만금 간척사업
외국인직접투자(해외투자, 외국자본투자) 기업, 은행산업, 외국인직접투자(해외투자, 외국자...
학교사회복지=> 학교사회복지의 필요성과 목적, 개념 설명 & 본인이 속한 지역 특성과 상...
생활주기영양학3C)청소년기는 가장 왕성한 성장과 생리적 변화가 일어나는 시기이다. 청소년...
학교사회복지2017학교사회복지의 필요성과 목적, 개념에 대해 설명하고 자신이 속한 지역의 ...
아동영양학-5대 영양소를 기능별로 분류하여 설명하고 성장, 건강에 필요한 음식들에 대해 알...
(학교사회사업론 공통) 학교사회복지의 (1) 필요성과 목적 개념에 대해 설명하고 (2) 자신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