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학습의 인식론적 모색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역사 학습의 인식론적 모색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머리말

2. 역사 학습에 관한 시각과 담론의 문제점
(1) 교수학습론
(2) 이론의 역할 및 현장과의 관계
(3) 역사적 사고

3. 인식론적 전환의 가능성과 방향
(1) 역사화
(2) 객관성과 텍스트, 그리고 역사 교사

4. 맺음말

본문내용

역사화란 어떤 역사적 범주나 개념이 형성되고 그에 따라 다양한 주체들이 담론적으로 구성되고 투쟁하고 수용하는 갈등과 모순의 과정을 밝히는 것이라 할 수 있으며, 이러한 태도에서 역사를 바라보는 스콧(Joan W. Scott)의 의견은 명쾌하다.
(2) 객관성과 텍스트, 그리고 역사 교사
새로운 역사인식으로써 역사화는 학교 역사교육의 기본 담론이라 할 수 있는 객관성과 텍스트, 그리고 교사의 위치와 역할에 대한 재개념화를 요구한다.
역사적 객관성은 무엇보다도 과거의 실재와 진리가 대응한다는 점을 전제로 하며, 인식 주체와 인식대상, 사실과 가치, 특히 역사와 허구를 철저히 구분한다. 객관성의 추구는 역사 학습의 텍스트에서도 그래도 이어진다. 따라서 이것을 이용하는 과거에 대한 학습은 지식을 만들어 내는 것이 아니라 전달하는 과정이다. 역사교과서는 텍스트의 기록적 성격을 극대화하고 있으며, 교사는 객관적 지식 전달 과정의 객관적 매개자로 존재한다.
역사서술에서 관점의 개입은 피할 수 없다. 역사가는 어느 한 관점을 선택함으로써 역사를 서술하고 해석할 수 있다. 관점 자체가 바로 과거를 역사로 바라보는 방식을 마련해주기 때문이다. 역사서술은 언제나 관점에 따른 해석을 포함해야 한다. 즉 어떻게 이야기하는 지를 결정해야 한다.
역사 교사에게는 역사화라는 인식론적인 토대에서 가르칠 내용을 문제화하는 동시에 자신의 위치와 구실을 파악하는 일이 중요하다. 그리고 역사 교사는 현재의 문제 인식과 지식 및 이론 생성의 사회적, 언어적 조건에 대한 비판과 성찰을 추구해야 한다.
즉, 교사 역시 역사 지식의 역사성을 탐색하는 역사화 과정의 일부로서 부분적이고 상대적인 기능과 구실을 수행함으로써 학생이 교과서와 교사의 설명에 대해 의문을 제기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하는 것이다.
4. 맺음말
현재의 역사 학습론은 여전히 교수학습에 관한 방법의 담론이지, 역사인식에 관한 담론이 아니다. 결국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 새로운 전망과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이론적인 시각으로 문제 틀을 바꿔야 한다.
가르칠 내용을 재구성한다고 할 때 핵심은 교사의 문제 인식이고, 결국 현재의 관심에 역사적 관점을 제공하는 것이 역사를 연구하고 학습하는 의미라 할 수 있다. 역사는 그 자체가 하나의 인식양식이기 때문에 역사 학습론을 인식론으로 전환한다는 의미는 가르치고 연구의 의미를 새롭게 함으로써 역사교육의 논의 영역을 확장하는 것이다.
  • 가격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8.12.31
  • 저작시기200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185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