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유사 속 문수보살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서론

본론

결론

본문내용

불법을 노래하는 여신(女神). 무애(無碍:걸림이 없음)한 행동으로 불법(佛法)을 유포하여 많은 이익을 가져다 준다고 믿어진다. 특히 장수(長壽)와 원적(怨敵)의 퇴치, 재물의 증익(增益)을 도와주는 선신(善神)이다. 그 때문에 민간에서는 변재(辨財)라고 표기하기도 한다 -한국민족대백과사전
이다.”
말을 마치자 마침내 숨어버렸다.
연회는 이에 암자로 돌아가니 조금 후에 왕의 사자가 임금의 명령을 가지고 와서 그를 불렀다. 연회는 진작 받아야 될 것임을 알고 이에 임금의 명을 받아 대궐로 가니 왕은 그를 국사로 봉했다....연회스님이 노인에게 감동받은 곳을 문수점(文殊岾)이라 하고, 여인을 만나본 곳을 아니점(阿尼岾)이라 했다. 제5권 제8 피은편 연회는 명예를 피해 달아나다가 문수점에서 도를 얻다 383-385p
연회는 국사가 되려는 것을 피해가는 중 노인이 나타나 깨달음을 준다. 하지만 이를 모르고 지나친다. 노파가 문수보살이란 것을 말해 주지 않았다면 연회는 몰라 봤을 것이다. 연회의 “어찌 성인의 말씀을 감히 듣지 않겠습니까?” 이 말은 문수보살의 말이기에 믿는 것처럼 느껴진다. 노인이 말했을 때는 업신여긴다 생각하는 것으로 보아 연회 역시 자장처럼 차별의식을 가진 것으로 보인다.
결론
만난 인물
신분
문수보살이
나타난 모습
문수보살이
한 일
반응
자장
진골출신 승려
후에 대국통이 됨
진신, 중, 거사
비결을 주고 부탁
갈 곳을 알려줌
깨달음을 줌
깨닫지 못하고 죽음
보천,효명
왕자
진신, 36화형
기별
도를 닦음
경흥대덕
국사
거사
깨달음을 줌
깨닫고서는
말을 타지 아니함
연회
숨어살며 법화경을 읽고 보현보살 관행법을 닦음
노인
깨달음을 줌
국사가 됨
숭제
당나라에 가 선도스님에게서 배운 승려
현신
오계를 줌
삼국유사 속에 문수보살을 살펴보았다. 문수보살은 지혜의 상징으로 삼국유사에서도 깨달음을 주는 모습으로 나타난다. 문수보살이 만난 인물들을 살펴보았을 때 승려, 왕자로 아직까지는 민중에게 문수보살이 다가가지 못했음을 말해주고 있는 것 같다. 문수보살은 그들에게 여러 가지의 모습으로 나타났는데 그중에 거사, 노인으로 나타난 것은 그들의 잘못된 시각을 알게 해주고 깨달음을 주려고 온 것이라고 생각한다. 문수보살은 비평가처럼 보인다. 그들의 잘못된 점을 비판 하고 지적해줌으로써 그들이 깨달음의 길로 나아갈 수 있게 도와주는 점에서 우리들 또한 이러한 점을 배워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9.01.02
  • 저작시기200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271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