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대산 5만 진신의 해석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서론

2.본론

3. 결론

본문내용

대산의 보질도태자전기’
보천, 효명 두왕자의 이야기가 오대산신앙임을 알 수 있다. 이 이야기의 시작은 자장이 신라에 들어왔을 때이다. 오대산신앙 또한 자장이 가지고 와 정착시킨 것으로 보인다. 두태자는 5만 보살을 보고 일일이 예를 드렸다. 그중에서도 문수보살은 매일 그들에게 36가지 형상을 변하여 찾아왔다고 되어있다. 오대에 각기 보살이 있지만 그중에서도 문수보살이 그들에게는 자주 나타났고 그들 또한 문수보살에게 공양했다. 보천은 문수보살에게서 성도기별을 받기도 했다. 문수신앙 또한 보이고 있다. 오대사를 행하게 되면 국왕이 오래 살고 인민이 평안하고 문무 화평하고 백곡이 풍성할 것이다. 라고 말하고 있다. 그래서 선덕여왕은 자장을 보내었던 것 같다. 이 구절을 통해서 그 시대는, 역으로 그러하지 못했기에 이러한 것을 바라지 않았을까 생각해본다. 오대산신앙, 문수신앙 이 들어오게 된 배경 또한 여기에 있다고 생각한다.
3. 결론
‘오대산의 5만진신’ 에 나타난 월정사의 유래가 뒤에 ‘오대산 월정사의 다섯 성중’에서도 같은 이야기가 실려 있고 또 보천효명 두 왕자의 수도 생활이야기가 뒤에 ‘명주 오대산의 보질도태자 전기’에도 나타나 있다. 이야기의 중복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대게 반복은 강조를 나타낸다. 일연은 우리에게 이야기의 반복을 통하여 이 이야기의 중요성에 대해서 말하고자 함이 아닐까 생각해 본다. 오대산 5만 진신 이야기는 신라시대 문수보살에 대한 신앙을 자장이 가져와 정착시키는 일련의 과정을 말해주고 있다고 생각한다. 또한 그것은 나라를 안정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들어 왔음을 알 수 있다.
  • 가격1,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9.01.02
  • 저작시기200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28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