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수공통전염병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목 차 ♣

★ 1. 인수공통전염병의 정의 < 2 >

★ 2. 인수공통전염병의 분류 < 2 >
☆ 감염병원체의 life cycle 의 형에
의한 분류 < 2 >
☆ 감염병원체에 의한 분류 < 3 >
☆ 감염병원체의 전파방식에 의한 분류

★ 3. 주요 인수공통전염병의
종류별 특성및 예방대책 < 3 >
☆ 결핵 < 4 >
☆ 부르셀라증 < 5 >
☆ 야토병 < 6 >
☆ Q 열 < 7 >
☆ 탄저 < 8 >
☆ 돈단독, 렙토스피라증 < 9 >
☆ 리스테리아증 < 10 >
☆ 비저, 광우병 < 11 >

본문내용

da가 발견하였다. 병원체는 Leptospira ictrohaemorrhagiae, Leptospira canicola 등이 알려지고 있는데 혈청학적으로 180여 균이 분리되었다. 이질병은 중증형의 대표적 질환으로 알려져 있으며 분포는 전 세계에 미치고 있다. 이 병원체는 건조에 의해 급속하게 사멸되고 물의 염소소독에 의해 완전히 파괴된다. 근년에는 이들 병원체를 일괄하여 Leptochaeta interrogans라고 부르고 있다.
② 감염경로
주로 소, 개, 돼지, 쥐 등이 감염되며 특히 쥐는 중요한 병원소이며 균의 보유동물로서 역할이 크다. 이병원체는 쥐의 세뇨관에 장기간 기생하면서 오중으로 배설된다. 감염된 쥐의 오줌으로 오염된 물이나 식품에 의해 경구 감염되거나, 또는 오염된 물(연못, 하천 등)에 들어갔을 때 경피로 감염된다. 감염은 연중 발생하지만 특히 9월을 정점으로 여름과 가을에 많다.
③ 잠복기 및 증상
잠복기는 5~7일이며 39~40℃의 고열이 나며 오한, 전율로 시작하여 두통, 요통, 근육통이 나타나고 불면, 식욕감퇴, 요량감소, 임파선종창 등이 1~5일간 계속되고 발병 후 6일경에는 황달이 나타난다. 황달이 심하면 점막의 출혈, 간이 부으며, 발진 등도 나타난다. 그리고 심장, 신장, 순환계에 장해를 일으키기도 한다. 이것은 대부분 급성 열성이며 황달 출혈성 질환으로 알려지고 있다. 적절한 치료를 할 경우에는 사망률은 10% 이하이지만 그렇지 않으면 20~40%에 이른다.
④ 예방 및 치료
렙토스피라 병원균이 있는 늪지, 하천 등에서의 어업, 광업, 토목업, 농업 등의 종사자, 음식점 조리사 등은 예방접종을 실시한다. 특히 사균Vaccine 접종이 유효하다. 치료의 일반요법으로는 발열기에 안정을 유지하고 영양보급을 위해서 수액제를 주사한다. 또한 이 병의 유행지에서 논, 하천, 하수도 청소 등을 한 경우는 감염 가능성이 높으므로 이런 일을 한 사람이 발열할 때는 즉시 Streptomnycinlg를 1~2회 주사하면 발증의 예방, 또는 경과를 가볍게 할 수 있다.
(7) 리스테리아증(Listeriosis)
① 병원체
병원체는 Listeria monocytogenes이며 Gram 양성 무포자 간균이며 카탈라아제(catalase) 양성의 혐기성 균이다. 자연환경에 저항성이 강하며 분변, 식품 등에서 수개월 동안 생존이 가능하고 63℃, 5분간의 가열에도 견딘다. 호냉성 이므로 식품이 어떤 냉장 저장에서도 증식이 가능하다.
② 감염경로
사람은 감염 동물과의 직접 접촉에 의해 감염되거나 오염된 식육, 유제품 등에 의한 경구감염이 되는 경우가 주이며 때로는 오염된 먼지에 의한 호흡을 통하여 감염되기도 한다.
③ 잠복기 및 증상
잠복기는 수일~수주라고 하지만 명확하지 않다. 증상은 다양한데 임산부가 감염되면 자신은 증상이 없더라도 태반을 통한 태아감염으로 자연유산, 조산 및 사산을 일으키며 신생아의 감염 시 패혈증, 수막염을 일으켜 치명률이 높고 일반성인의 경우 수막염, 수막뇌염 그 외 폐렴, 폐혈성 관절염, 골수염, 복막염, 간염 등으로 진행된다. 특히 림프종 또는 면역부전의 환자는 리스테리아증에 걸리기 쉽다. 치사율은 20~30%이다.
④ 예방 및 치료
우유나 치즈의 살균, 면역이 약화된 환자나 임산부는 감염환자의 접촉을 피한다. 농부나 수의사들은 유산된 새끼를 취급할 때 주의하여 가축에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가축에 있어서는 무독 생균 백신이 개발되어 있으며 사람의 경우는 Penicillin, Tetracycline으로 임상적 치유가 가능하다.
(8) 비저(鼻疽; Glanders, Malleus)
① 병원체
Pseudomonas mallei로 Gram 음성 간균이며 포자, 협막, 편모 등은 없다. 광선, 열, 건조에 약하고 건조물 속에서는 2주간 생존하며 55℃에서는 10분, 90~100℃에는 3분이면 사멸되며 5% 크레졸과 석탄산액에서는 5분 만에 사멸된다.
② 감염경로
비저(鼻疽;Glanders, malleus)는 말, 노새, 당나귀 등의 전염병으로 동남아시아, 몽고, 파키스탄, 멕시코 등지에서 발생하는 병이다. 말의 비강, 인후, 장내고름이나 점액에 균이 존재하는데 동물의 경우 오염된 사료에 의한 경구감염과 비말에 의한 호흡기 감염이 있다. 사람에게 감염된 경우는 고통이 심한 질병으로 60%가 치명적이고 경구, 경피, 호흡기 감염이 있다.
③ 잠복기 및 증상
잠복기는 3~5일이며 피부감염의 경우는 국소의 종창, 수포, 궤양, 동통, 39~40℃의 발열, 림프선염 등이 나타나며 호흡기를 통한 감염의 경우 폐렴, 폐농양 등이 발생한다.
④ 예방 및 치료
사람 사이에서도 전염되므로 주의하고 이환된 동물을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 및 격리, 도살하고 특히 이환된 말의 처리와 말고기 섭취 시 충분히 가열 조리한다. 치료에는 클로로 테트라사이클린(Chlorotetracyclin)이 유효하다.
(9) 광우병(Bovine spongiform encephalopathy ; BSE)
① 증상
광우병은 성우(成牛)에서 느리게 진행되다 결국은 죽게 되는 신경병으로 영국에서 1986년 Wells 등에 의해 보고되었다. 증상은 건강한 소가 약해지고 신경질적이 되며 다리가 제각기 이상을 보이고 결국은 매우 공격적이 된다. 특히 감염된 동물의 뇌 조직에 구멍이 나있고 현미경으로 보면 스폰지와 같이 손상이 되어있다. 이는 전염물질에 의해 일어나는 해면체 뇌병으로 알려진 중추신경계의 진행성, 퇴행성 질병에 속한다. 인간의 질병으로 증상은 기억력 상실, 이상행동, 정신지체, 치매, 수족의 무의식적 운동 등으로 나타 난다
② 감염경로
광우병의 원인은 양의 부산물이 함유된 소의 사료에서 기인한 것으로 70년대 말 영국의 몇몇 공장은 죽은 동물 및 그 부산물을 동물사료로 가공하는 과정에서 저온에서 가공 가능한 방법을 채택하고 고온열처리를 하지 않았다. 광우병과 비슷한 질병으로 양의 Scrapie, 사람의 Creutzfeldt-Jakob(CJD)병, 고양이의 광묘병 등이 있다. Scrapie는 250년 이상 가축(영국지역의 양)에 퍼져있는 질병으로써 광우병의 감염원으로 추정되고 있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9.01.05
  • 저작시기2007.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351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