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소월 - 바라건대는 우리에게 우리의 보습 댈 땅이 있었더면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김소월 - 바라건대는 우리에게 우리의 보습 댈 땅이 있었더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김소월의 연보를 찾아서

2.「바라건대는 우리에게 우리의 보습 댈 땅이 있었더면」
(1) 시 텍스트 전문 및 내용
(2) 민족주의 이념

3. 김소월 시의 의의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었더면!
이처럼 떠돌으랴, 아침에 저물손에
새라 새로운 탄식을 얻으면서.
동이랴, 남북이랴,
내 몸은 떠나가니, 볼지어다,
-<바라건대는 우리에게 우리의 보습 댈 땅이 있었더면>
② 이 나라 나라는 부서졌는데
이 산천 여태 산천은 남아 있더냐
봄은 왔다 하지만
풀과 나무에 뿐이어
오 서럽다. 이를 두고 봄이냐
치어라 꽃잎에도 눈물 뿐 흐르며
새무리는 지저귀며 울지만
쉬어라 이 두근거리는 가슴아
-<봄> 두보(杜甫)의 시 <춘망(春望)>을 번역한 것임.
③ 그만 두자 자네,
나는 이제 더 자네를 걸어
□져리지 않겠네
나는 조선인, 자네는 너무도 알고 모르는 것 같고
다시금 자네는 조선 산천을 집 삼아 떠도는 바람이므로
……
조선의 아무것이나 풀이나 나무 도시와 촌락
아무런 곳이나 조선이거든 가는 곳마다 마음을
바람아 물어 보라 조선이라는 조선의 넋에다가
그대 말로
-<무제(無題)>
이상 인용한 시들은 소월의 민족 의식이 잘 고취되어 있다. ①에 우리는 일제에 전답과 곡식을 수탈 당한 식민지 농민의 설움을, ②에서는 조국을 빼앗긴 지식인의 한을, ③에서는 민족혼에 대한 신뢰와 배일(排日)감정을 쉽게 읽어 낼 수 있다.
3. 김소월 시의 의의
그의 시는 현대시사의 흐름에서 커다란 줄기를 이루면서 뚜렷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아울러 척박한 초기의 현대 시단에서 서구편향적인 유행에도 휩쓸리지 않고, 전통의 고답적인 자세에 머무르지 않으면서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해 나갔다. 이로 인해 전통 시가의 정서와 형식을 창조적으로 계승하면서 현대시의 물고를 텄으며 많은 서정 시인들의 본보기가 될 만한 모범을 이루었다.
또한 식민지 현실이 가져다주는 허무의식을 체득하고 서정적인 정한의 세계에 주력하면서 애상미를 자아내고 있다. 하지만 애상미의 표현 단계가 개인적 수준에 머물지 않고, 민족 공동체 의식을 환기하면서 대중성을 확보하려는 시적 화자의 의도를 엿볼 수 있다. 즉 단순화된 감정의 표현에 그치지 않고 개인의 서정성을 바탕으로 민족 공동체 의식을 야기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자 노력한 작가의 특성을 엿볼 수 있다.
4. 참고문헌
김소월,「김소월 시집」, 범우사, 1984.
김영철,「김소월」, 건국대학교 출판부, 1994.
송희복,「김소월 연구」, 태학사, 1994.
양혜경,「한국 현대시인론」, 새문사, 2003.
오세영외,「한국 현대시인론Ⅰ」, 새미, 2003.
황규수,「한국 현대시의 공간과 시간」, 한국문화사, 2004.
  • 가격3,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9.01.05
  • 저작시기2007.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35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