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에밀’의 내용요약
1. 유아기
2. 아동기
3. 소년기
4. 청년기
5. 결혼기
Ⅲ. ‘에밀’ 분석
1. ‘에밀’의 교육방법
2. ‘에밀’에 나타난 교육사상
3. ‘에밀’에 대한 비판
Ⅳ. 결론
∨.참고문헌
Ⅱ. ‘에밀’의 내용요약
1. 유아기
2. 아동기
3. 소년기
4. 청년기
5. 결혼기
Ⅲ. ‘에밀’ 분석
1. ‘에밀’의 교육방법
2. ‘에밀’에 나타난 교육사상
3. ‘에밀’에 대한 비판
Ⅳ.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교육론 가운데 가장 시대에 뒤떨어진 것임을 의심할 여지가 없다.
특히 딸은 모두 어머니의 종교를 믿어야 하고, 아내는 모두 남편의 종교를 믿어야 한다고 보는 루소의 종교교육은 지적, 도덕적 교육의 상대적인 자유에 비해 심하게 보수적이다. 그에 의하면 여자의 이성은 순전히 실용적이라 그녀의 능력으로는 신앙의 법칙을 이끌어 낼 수 없기 때문이라고 한다. 따라서 여자는 권위에 예속되게 되는 기묘한 모순이 발생한다.
다섯째, 훌륭한 교육이 왜 중요하며 당대의 학교교육이 어떻게 나쁜지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았다.
Ⅳ. 결론
루소의 ‘에밀’은 결국 우리에게 “자연으로 돌아가라”고 끊임없이 이야기하고 있다. 여기에서의 자연은 외적인 자연과 내적인 자연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몇 달 전 우연히 고산산촌유학센터에 다녀오게 되었는데, 이곳은 도시의 아이들이 시골분교로 전학을 와서 농촌생활체험을 하고 기숙사처럼 생활할 수 있게 조성된 센터였다. 그곳 센터원장님께서 하시는 말씀이 특별한 것을 교육하는 게 아니라 단지 자연에 있는 것만으로도 아이들의 많은 문제가 치유된다고 하셨다. 주의력결핍 과다행동장애, 우울증, 비만, 아토피, 따돌림문제 등을 앓고 있는 아이들이 자연 속에서 뛰어놀고 스스로 생활하면서 일주일만 지나도 얼굴빛이 바뀐다는 것이다.
요즘 아이들은 자연을 접할 기회를 잃어가고 있다. 아이들이 자연 속에서 진리를 터득하고 원리를 깨치는 것이 가장 올바른 교육이라는 것을 새삼 느끼게 되었다. 책 속에서 지식을 찾게 하기보다 자연 속에서 지혜를 발견하는 어린이들의 교육이 필요한 시기인 것이다.
내적인 자연으로 돌아가라는 말은 자연 그대로의 발달단계에 따른 교육을 의미한다. 오늘날 어린 아이에게 지나친 외국어교육을 한다든지 하는 것과 이해하지 못할 어려운 지식을 암기시키는 것은 루소는 받아들일 수 없는 부분이다. 아이들을 어떠한 방향으로, 어떠한 무언가를 만들어야겠다며 지식을 주입해서는 그 누구도 행복해 질 수 없다는 것을 이야기하는 것이다.
이처럼 루소가 ‘에밀’을 통해 주장했던 자연으로의 회귀는 오늘날 아직도 우리에게 많은 부분을 시사해주고 있다. 시대에 따라 사상도 철학도 유행을 탄다지만 그 본질적인 부분은 어느 시대를 막론하고 통용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아니 오히려 과거보다 오늘날의 우리에게 그 유용성이 커졌다고 할 수도 있겠다.
루소의 이러한 주장들이 너무 이상적이고 몽상적이라는 비판이 존재한다. 잘못된 교육현실을 조금씩 개선해 나가는 것은 현실적인 방법이 될 수는 있겠지만 그 방향을 잃어버릴 가능성 또한 존재한다. 그럴 때 루소의 이러한 이상이 하나의 푯대가 되어 큰 방향을 제시해 주는 것이 아닐까 생각해본다.
∨.참고문헌
장 우세이, 박동준(역), 현대교육을 확립한 15인의 교육가, 밝은 누리(2004)
장 자크 루소, 김중현(역), 에밀, 한길사 (2003)
장 자크 루소, 안인희(편역), 루소의 교육론 에밀, 양서원 (1999)
J.R.MARTIN, 유현옥(역), 교육적 인간상과 여성, 학지사 (2002)
특히 딸은 모두 어머니의 종교를 믿어야 하고, 아내는 모두 남편의 종교를 믿어야 한다고 보는 루소의 종교교육은 지적, 도덕적 교육의 상대적인 자유에 비해 심하게 보수적이다. 그에 의하면 여자의 이성은 순전히 실용적이라 그녀의 능력으로는 신앙의 법칙을 이끌어 낼 수 없기 때문이라고 한다. 따라서 여자는 권위에 예속되게 되는 기묘한 모순이 발생한다.
다섯째, 훌륭한 교육이 왜 중요하며 당대의 학교교육이 어떻게 나쁜지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았다.
Ⅳ. 결론
루소의 ‘에밀’은 결국 우리에게 “자연으로 돌아가라”고 끊임없이 이야기하고 있다. 여기에서의 자연은 외적인 자연과 내적인 자연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몇 달 전 우연히 고산산촌유학센터에 다녀오게 되었는데, 이곳은 도시의 아이들이 시골분교로 전학을 와서 농촌생활체험을 하고 기숙사처럼 생활할 수 있게 조성된 센터였다. 그곳 센터원장님께서 하시는 말씀이 특별한 것을 교육하는 게 아니라 단지 자연에 있는 것만으로도 아이들의 많은 문제가 치유된다고 하셨다. 주의력결핍 과다행동장애, 우울증, 비만, 아토피, 따돌림문제 등을 앓고 있는 아이들이 자연 속에서 뛰어놀고 스스로 생활하면서 일주일만 지나도 얼굴빛이 바뀐다는 것이다.
요즘 아이들은 자연을 접할 기회를 잃어가고 있다. 아이들이 자연 속에서 진리를 터득하고 원리를 깨치는 것이 가장 올바른 교육이라는 것을 새삼 느끼게 되었다. 책 속에서 지식을 찾게 하기보다 자연 속에서 지혜를 발견하는 어린이들의 교육이 필요한 시기인 것이다.
내적인 자연으로 돌아가라는 말은 자연 그대로의 발달단계에 따른 교육을 의미한다. 오늘날 어린 아이에게 지나친 외국어교육을 한다든지 하는 것과 이해하지 못할 어려운 지식을 암기시키는 것은 루소는 받아들일 수 없는 부분이다. 아이들을 어떠한 방향으로, 어떠한 무언가를 만들어야겠다며 지식을 주입해서는 그 누구도 행복해 질 수 없다는 것을 이야기하는 것이다.
이처럼 루소가 ‘에밀’을 통해 주장했던 자연으로의 회귀는 오늘날 아직도 우리에게 많은 부분을 시사해주고 있다. 시대에 따라 사상도 철학도 유행을 탄다지만 그 본질적인 부분은 어느 시대를 막론하고 통용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아니 오히려 과거보다 오늘날의 우리에게 그 유용성이 커졌다고 할 수도 있겠다.
루소의 이러한 주장들이 너무 이상적이고 몽상적이라는 비판이 존재한다. 잘못된 교육현실을 조금씩 개선해 나가는 것은 현실적인 방법이 될 수는 있겠지만 그 방향을 잃어버릴 가능성 또한 존재한다. 그럴 때 루소의 이러한 이상이 하나의 푯대가 되어 큰 방향을 제시해 주는 것이 아닐까 생각해본다.
∨.참고문헌
장 우세이, 박동준(역), 현대교육을 확립한 15인의 교육가, 밝은 누리(2004)
장 자크 루소, 김중현(역), 에밀, 한길사 (2003)
장 자크 루소, 안인희(편역), 루소의 교육론 에밀, 양서원 (1999)
J.R.MARTIN, 유현옥(역), 교육적 인간상과 여성, 학지사 (2002)
추천자료
에밀의 내용을 중심으로 한 루소의 교육사상
루소의 유아교육 사상과 21세기의 유아교육(에밀) 아동교육
루소의 사상과 생애 및 에밀의 1부를 읽고 시사점과 비판점 그리고 토론거리에 관해
<에밀>을 통해 본 루소의 교육론
『에밀』에 나타난 루소의 교육사상
루소의 교육론 ‘에밀’
2010.05.20 아동학 - (독서감상문 ) 루소 '에밀(emil)'을 읽고
루소 (Jean-Jacques Rouseau)의 에밀 (Emile)
루소의 교육론(에밀)
루소의 완전한제자 ‘에밀’ 과의 만남
루소(Rousseau)의 교육론 <에밀(Emile)> 서평, 감상문
에밀의 결혼을 통해 보는 루소의 반여권주의
루소, '에밀' 감상문
계몽주의 작가와 작품에 대하여 (장자크 루소 『에밀』 이광수 무정 해풍 심훈 계몽주의 역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