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계 약물의 분류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ital로 대사되어 항경련작용이 있다.
(7) Gabapentin(Megapentin)
GABA와 구조적으로 유사하며 단순 및 복합부분발작, 신경병증성 통증에 사용한다.
2) 소발작에 사용하는 약
(1) Ehopsuximide(Zarotin)
Ca++ cannel을 억제하여 경련을 감소시키며 중추신경계의 경련자극역치를 상승시켜 발작의 빈도를 감소시킨다.
(2) Divalproex sodium(Epival)
대뇌 GABA의 양을 증가시켜 발작과 관련된 뉴런을 억제한다.
3) 기타 약물
Benzodiazepine류와 NA++ channel 억제약 등이 있다.
5. 파킨슨증 치료약
파킨슨증은 그 기저핵과 중뇌의 흑질선조체의 변성으로 dopamine의 부족과 선조체 콜린성 뉴론의 흥분으로 근육의 경축, 진전, 운동불능 등 여러 가지 추체외로계 효과가 나타난다. 일반적 증상으로 보행곤란, 글씨를 잘 못쓰고, 단추구멍을 끼우지 못하고, 얼굴표정이 사라지는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1) 도파민성 약
(1) Levodopa(Ukisen)
Dopamine은 혈액-뇌관문을 통과하지 못하지만 전구체인 levodopa는 통과하며 탈탄산화하여 dopamine으로 된다.
(2) Amantadine(Parkintrel)
Dopamine의 유리를 촉진시켜 무스카린성 수용체를 차단하여 항콜린성 작용을 나타낸다. 파킨슨증 뿐 아니라 인플루엔자 A형 바이러스에 의한 호흡기 감염증의 예방과 치료에 사용된다.
(3) Bromocriptine(Parlodel)
Dopamine 수용체에 직접작용하므로 levodopa로도 조절되지 않은 환자에서 levodopa와 병용투여한다.
2) 항콜린성 약
(1) Benztropine(Benztropine)
무스카린성 수용체를 차단하므로 파킨슨병의 초기단계에서 효과가 있으나 유해작용이 많다.
3) MAO 억제약
Selegiline(Jumex)은 선택적으로 뇌에 존재하는 MAO_B를 저해하여 dopamine의 대사를 감소시킨다. Levodopa와 병용투여로 levodopa의 작용을 증가시켜 그 용량은 1/3까지 감소시킬 수 있다.
6. 마약성 진통약
뇌의 시상하부에서 내인성 마약류의 endorphins, dynorphines, enkephalins이 방출되고 또한 뇌간에서 norepinephrine과 serotonin이 이 내인성 마약류를 활성화하여 척수후각의 중간뉴론의 활성을 감소시켜 진통작용을 나타낸다.
1) 작용이 강한 마약성 진통약
(1) 아편의 성분은 마약성분인 morphine(9%)과 codein(0.5%) 그리고 비마약성분인 narcotine(6%), papaverin(1%)이나 아편의 작용은 주로 morphine의 작용이라 볼 수 있다.
(2) Morphine(MSR, MPS)은 가장 효과적인 진통약으로 각종 통증, 담석통, 신석통, 우장경련, 수술전수 통증, 전신마취시 보조약에 사용하며 높은 탐익성이 있다.
(3) Pethidine은 Meperidine이라고도 하며 합성마약으로 많이 사용한다. 심한 통증, 수술전 진정과 수술후 진통약, 마취보조약, 분만시 진통약으로 사용한다.
(4) Heroin은 Diamorphine으로 의존성과 진통자용이 가장 강하다.
2) 작용이 약한 마약성 진통약
(1) Codeine과 Dihydrocodeine
codeinedms morphine과 거의 유사한 구조를 갖고 있으나 진통작용은 morphine보 다 약하고 진해작용이 강하며 의존성과 내성도 천천히 생긴다.
(2) Pentazocine은 경구투여로 진통작용은 약하지만 주사로는 morphine과 codeine의 중간정도의 효과를 나타낸다. 의존성은 거의 일으키지 않으므로 중증도의 통증 및 수술전후에 많이 사용된다.
(3) Nalbupine는 중증도 및 심한통증, 마취 보조제, 수술 전후 및 분만시 통증에 주사한 다.
(4) 기타 마약성 진통약 - Buprenorphine(Renolphan), Butorphanol(Busphen), Oxycodon(Oxycontin)
3) Morphine 길항약
(1) Naloxone은 마약성 길항약으로 중추신경계의 수용체에서 마약성 진통약과 경쟁적으 로 길항작용을 나타낸다. 천연마약, 각종 합성마약, Pentazocin, diazepam 과량투여 등에 의한 호흡억제 및 각종 억제증상의 전체적 토는 부분적 회복을 위해 사용한다.
(2) Naltrexone은 마약성 길항제로 마약남용 치료시 보조제 및 알코올 의존성 치료에 사용한다.

키워드

신경계,   약물,   자율,   말초
  • 가격1,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9.01.08
  • 저작시기200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413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