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 근수축 질환에 대한 소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의학] 근수축 질환에 대한 소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의학] 근수축 질환에 대한 소개


【근 수축의 종류】
1. 근 수축이란?
2. 근 수축의 종류
(1) 등장성 수축(Isotonic contraction)
(2) 등척성 수축(Isometric contraction)
(3) 등속성 수축(Isokinetic contraction)
(4) 신장(Stretching)


【 근 수축과 관련된 질환】
1. 진행성 근 이영양증(Progressive Muscular Dystrophy)
(1) 개 요
(2) 진행성 근 이영양증의 진단
(3) 유형별 특징과 치료
2. 중증성 근 무력증(Myasthenia Gravis)
(1) 개 요
(2) 임상적 증상
(3) 분 류

3. 선천성 근 긴장증과 선천성 근 경직증
(1) 선천성 근 무긴장증(Anyotonia Congenita)
(2) 선천성 근 경직증(Myotonia congenita)


《참고서적》

본문내용

stal Dystrophy)
원위 이영양증은 상염색체 우성소질로 유전되고 스웨덴에서 특별하게 많이 발병된다고 보고 되었으며, 희귀한 질병으로써 보통 45세 이후에 발병한다. 처음에는 손에 있는 작은 근육들이 침범되어 손놀림이 무디어지다 나중에는 정교한 운동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이 질병은 천천히 근위부로 진행해가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하지에서는 전경골근의 약화로 족하수가 나타나고 족내재근들의 약화가 있다. 또 환자는 수지를 완전히 신전하지 못하게 되고 수하수(wrist drop)를 일으킨다.
2. 중증성 근 무력증(Myasthenia Gravis)
(1) 개 요
중증성 근 무력증은 반복적인 활동이나 지속적인 긴장을 할 때 수의근이 비정상적으로 쉽게 피로를 일으키고, 약화가 일어나는 잠행성(insidious type) 질환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환자는 쉬지 않고는 어떤 수의적 행동을 계속할 수 없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 질병은 남자와 여자에서 모두 침범되며, 여자에서 두배 정도 더 많고, 젊은 사람이나 30대에 호발한다. 정확한 원인은 밝혀져 있지 않으나 유전성은 없으며 감염, 외상, 정신적 스트레스, 내분비 장애등이 유발인자가 있다. 흉선(thymus gland)의 침범이나 안구돌출증 갑상선종환자에게 가끔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병리학적 특성으로는 신경계의 일정한 변화나 근육 자체에는 현저한 변성변화가 보이지 않으며, 신경의 흥분이 근섬유에 전달되는 신경근 접합부(neuromuscular junction)에 중요한 결함이 발견된다. 이것은 아세틸골린의 분비작용의 결함이나 미성숙한 분포 때문이 아닌가 생각되어 지고 있다.
(2) 임상적 증상
① 안면근들의 대부분이 침범되며 특히 눈, 입술, 혀의 근육이 잘 침범됨으로써 나중에 는 먹는 것이나 말하는데 방해를 받게 된다.
② 환자는 오랫동안 눈을 뜨고 있거나 고개를 똑바로 유지하기 어렵다.
③ 모든 침범된 근육들은 휴식에 의해 일시적으로 회복이 되고 좋아지지만 반복되는 운동을 하면 다시 쉽게 지치고 피로해진다. 그러므로 이러한 환자는 아침에 상태가 가장 좋고 저녁에 상태가 가장 나쁘다.
④ 점차적으로 상지와 호흡근에 침범이 일어나므로, 말기에는 기관절개술(tracheotomy) 이나 어떤 형태의 호흡기를 사용해 주어야 한다.
⑤ 건반사(tendon reflex)는 남아 있거나 약간 상승한다.
⑥ 전기자극에 대한 반응이 처음에는 정상이나 점차적으로 감소하고 마지막에는 소실 되는데 이것을 근무력증 반응(myasthenic reation)이라고 한다.
(3) 분 류
중증성 근 무력증을 분류하는 방법은 Millichap와 Dodge의 분류, Osserman의 분류, Patten분류 등이 있으며 이 질병의 발병연령과 병의 임상적 진행과정 등을 기준으로 어린이에서 다음과 같은 3군으로 분류된다.
1) 신생아 일과성 중증성 근 무력증(Neonatal Transient Myasthenia Gravis)
중증성 근 무력증이 있는 여성이 낳은 신생아 7명 중 약 1명의 비율로 나타나며, 어머리로부터 받은 모성항체(maternal antibody)를 신생아가 파괴함으로써 출생 첫날부터 급속한 근약화가 진행된다. 저긴장증(hypotonia), 빨기반사(sucking reflex)의 미약, 울음소리의 약화, 안면표정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2) 신생아 항구성 중증성 근 무력증(Neonatal Persistent Myasthenia Gravis)
주로 생후 2년이내에 나타나며 초기 증상들로는 안근마비(ophthalmoplegia), 안검하수(ptosis) 등이 있고, 나주에 전신적인 약화가 발생한다.
3) 사춘기 중증성 근 무력증(Juvenile Myasthenia Gravis)
이환되지 않은 어머리로부터 태어난 아이들 중 10세 이후에 주로 발병 하며 중증성 근 무력증의 약 15%를 차지한다. 여자가 약 4배 정도 발병률이 높으며 초기에는 안근(ocular muscle)에서 침범이 일어나고, 약화는 안면근에서만 제한되거나 사지 전체로 확산되기도 한다(상지와 근위부에서 뚜렷). 신체활동의 제한, 눌어증(dysarthria), 연하곤란(dysphagia), 복시(diplopia) 등의 장애가 뒤따른다.
3. 선천성 근 긴장증과 선천성 근 경직증
(1) 선천성 근 무긴장증(Anyotonia Congenita)
1) 개 요
근육에 침범되는 선천성 질병, 이완성 마비의 형태, 가족력과 가끔 유전적 성향을 보인다.
2) 증 상
① 근육 이완, 연화, 생리적 긴장성 소실
② 근육이 정상적 근육처럼 강한 수축할수 없으나 실질적인 마비와 차이가 있다. 즉 신 경의 손상에 의한 이완성 마비가 아니다.
③ 근육의 쇠약은 별로 없다.
④ 하퇴가 가장 많이 침범, 배근의 약화 동반
⑤ 근육의 긴장저하로 인해 관절의 약화, 인대의 지속적 이완
⑥ 사지의 여러 가지 비정상적 자세 발생
⑦ 항문괄약근은 보통 정상
⑧ 전기적 자극에 대한 반응 감소
⑨ 심부건 반사 상실
(2) 선천성 근 경직증(Myotonia congenita)
1) 개 요
Thomsen병이라고도 부르며 운동시도 시 수의근의 경련성 증가를 보이는 매우 드문 병, 이완 시 시간이 걸리며 유전성 질병, 가족력을 보이고 근섬유들이 과도하게 신장, 비대해져 있으며 약 1/4에서 상염성체 우성 유전된다.
2) 증 상
① 수의적 운동 초기에 긴장성 근경련(tonic spasm) 발생, 즉 운동시작의 어려움
② 긴장성 근경련이 하지 근육에서 현저함
③ 보행 시작 시 근경련 증가, 멈출 때 감소
④ 수의적 근이완이 잘 안됨
⑤ 안면, 눈, 혀의 근육에서도 침범되어 말하는데 어려움이 있음
⑥ 표면 근육 압박 시 근육 수축 및 경직이 수초 동안 지속됨
⑦ 항문괄약근 정상
⑧ 생명기능(vital function)은 잘 침범되지 않고 실질적 약화도 잘 나타나지 않음
⑨ 전기적 반응이 특이하며 근경직 반응(myotonic reaction)을 보임
《참고서적》
작업치료학 강의자료집/ 권혁철 저/ 대구대학 물리치료학과
임상운동학/ 오정희 외 2인 공저/ 도서출판 대학서림
질환별 물리치료/ 민경옥 저/ 도서출판 대학서림
  • 가격1,8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3.08.30
  • 저작시기2013.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616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