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좋지 못한 말을 쓰는 행동
2. 고함지르는 행동
3. 말을 하지 않으려는 행동
4. 친구를 깔보는 행동
5. 교사를 깔보는 행동
2. 고함지르는 행동
3. 말을 하지 않으려는 행동
4. 친구를 깔보는 행동
5. 교사를 깔보는 행동
본문내용
보상을 구하기 때문에 눈에 띄는 행동을 하거나 거스르는 행동을 하는지도 모른다. 좀 관심이 있는 여자아이에게 일부러 짓궂은 짓을 함으로써 교사에게 주목을 끌려고 한다.
교사는 아이의 이런 태도에 대해서는 우선 그 태도가 좋지 않다는 것을 가르쳐 주도록 노력한다. 이렇게 하기 위해서는 말투를 고쳐 준다거나, 이러이러한 말이 좋다고 가르쳐 주면서 행동이나 태도에 대해서는 ‘이렇게 하는 것이 좋아요.’라고 가르친다. 특히 이런 태도는 사람의 마음을 상하게 하고 싫은 느낌을 들게 한다는 것을 가르쳐야 한다. 왜냐 하면 가정에서는 이런 행동이 보통으로 여겨지기 때문이다.
교사는 어머니와는 다르다. 아버지가 어머니를 무시하는 것을 본 아이에 대해서는 남자나 여자는 같은 존재로 서로를 중요하게 생각하도록 가르쳐야 한다. 그 아이는 모성적인 것을 교사에게서 구하고, 교사의 주목을 끄는 행동을 하는데, 이와는 다른 행동을 하는 게 오히려 그런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을 가르쳐 준다.
부모는 가정에서의 부모의 태도에 대해 반성해 달라고 하지 않으면 안 되지만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우선 가정의 상태, 가정에서의 아이의 태도 등에 대해 상세히 들어야 한다. 아이를 올바른 아이로서 취급하고 유치원에서 다루는 법도 이야기해 주는 것이 좋다. 부모는 자기의 태도에 대해 객관적으로 보기 어려우므로 아버지와 어머니가 서로 거울이 되어 조언해 준다. 다만 부부간에 대립된 감정일 때는 서로가 비판으로 끝나므로 교사가 개입할 필요가 있다. 양친의 태도를 거울에 비추어 주는 검사(양친 태도 진단 검사)는 이런 목적을 충족시켜 줄 것이다.
교사는 아이의 이런 태도에 대해서는 우선 그 태도가 좋지 않다는 것을 가르쳐 주도록 노력한다. 이렇게 하기 위해서는 말투를 고쳐 준다거나, 이러이러한 말이 좋다고 가르쳐 주면서 행동이나 태도에 대해서는 ‘이렇게 하는 것이 좋아요.’라고 가르친다. 특히 이런 태도는 사람의 마음을 상하게 하고 싫은 느낌을 들게 한다는 것을 가르쳐야 한다. 왜냐 하면 가정에서는 이런 행동이 보통으로 여겨지기 때문이다.
교사는 어머니와는 다르다. 아버지가 어머니를 무시하는 것을 본 아이에 대해서는 남자나 여자는 같은 존재로 서로를 중요하게 생각하도록 가르쳐야 한다. 그 아이는 모성적인 것을 교사에게서 구하고, 교사의 주목을 끄는 행동을 하는데, 이와는 다른 행동을 하는 게 오히려 그런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을 가르쳐 준다.
부모는 가정에서의 부모의 태도에 대해 반성해 달라고 하지 않으면 안 되지만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우선 가정의 상태, 가정에서의 아이의 태도 등에 대해 상세히 들어야 한다. 아이를 올바른 아이로서 취급하고 유치원에서 다루는 법도 이야기해 주는 것이 좋다. 부모는 자기의 태도에 대해 객관적으로 보기 어려우므로 아버지와 어머니가 서로 거울이 되어 조언해 준다. 다만 부부간에 대립된 감정일 때는 서로가 비판으로 끝나므로 교사가 개입할 필요가 있다. 양친의 태도를 거울에 비추어 주는 검사(양친 태도 진단 검사)는 이런 목적을 충족시켜 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