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주막하출혈 문헌고찰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지주막하출혈 문헌고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정의

2. 원인

3. 발생빈도

4. 분류

5. 증상

6. 진단검사

7. 치료

8. 합병증

9. 치료

10. 예방

본문내용

저히 기름을 제거하고, 삶아서 굳힌 후 다시 기름을 제거한 후 사용한다. 콜레스테롤의 함량이 높아 주의가 요망되기 때문에 달걀을 포함한 알 종류의 섭취는 금하도록 한다.
- 채소류는 곡류와 함께 매우 효과적인 치료식이다.
- 과일류는 당분의 함량이 많으면 열량이 과해질 우려가 있으며 당뇨병을 동시에 갖고 있는 환자들에게는 주의해야 한다.
- 조리법 : 조리 시 기름의 사용과 염분의 사용을 최대한 절제한다.
- 식사 공급법 :소량을 자주 섭취하며, 처음에는 유동식에서 연식으로 진행한다.
회복 시 시간이 경과하면 수분의 양을 줄이며 정상적인 식이로 한다.
- 재출혈을 예방하기 위해 ABR을 하고 침상 머리 쪽을 20~30° 상승시키고 조용한 환경 을 유지하도록 한다.
- 배변 시 힘을 주면 두개내압이 상승할 수 있으므로 경한 완화제를 사용하거나 배변 조절을 하도록 한다.
③ 약물요법
+ 항섬유소용해제는 응고장애가 있는 대상자에게는 금기하도록 한다.
+ 발작을 예방하기 위해서 항경련제를 투여한다.
+ 두통과 목의 통증을 예방하기 위해 진통제를 투여한다.
8. 합병증
① 재출혈: 뇌동맥류 의한 재출혈의 빈도는 첫날 4%, 둘째 날부터 13일째까지 날마다 1.5%씩 증가 하여, 14일째 15-20%정도이고, 6개월 내에 50%이며, 6개월 이후로는 매년 3%씩이고 사망률은 매년 2%씩 입니다. 재출혈의 위험은 출혈 후 첫 6시간이 가장 높고, 재출혈에 의한 사망의 50%가 1개월내에 일어나는 것으로 보고된다. 원인을 찾을 수 없거나 뇌동정맥기형에 의한 경우, 파열된 뇌동맥뉴와 같이 발견된 파열 되지 않은 뇌동맥뉴의 출혈의 위험성은 매년 1%이다.② 뇌혈관연축: 뇌혈관연축이란 지주막하출혈 이후 지주막하 공간에 있는 혈관들이 수축을 일으켜 허혈성 신경학적 장애를 일으키는 것을 말한다. 단순히 뇌혈관조영술에 혈관이 좁아져있는 것이 관찰될 경우를 방사선학적 연축 (radiological vasospasm), 국소마비, 언어장애 등을 동반하거나, 또는 동반하지 않는 의식저하, 착란 등의 지연성 허혈성 신경학적 장애를 임상적 연축(clinical vasospasm), 위의 두가지가 모두 관찰될 때를 뇌혈관연축(symptomatic vasospasm)이라고 한다. 방사선학적 연축의 경우 출혈후 7일째 약 30-70%정도가 관찰되는데 반해, 뇌혈관 연축 의 경우는 20-30%정도가 관찰된다. 이런 뇌혈관연축은 직접적인 뇌동맥뉴 파열에 의하거나, 재출혈에 의한 경우보다 장애가 남거나, 사망하는 경우의 원인중 더 심각한 것으로, 뇌혈관연축에 의해 심각한 신경학적 장애가 남는 경우가 7%, 사망하는 경우가 7%정도로 알려져 있다. 뇌혈관연축의 시간경과를 보면 대개 지주막하출혈후 3일이후에 시작하여 6-8일째 가장 많이 관찰되며, 약 14-17일까지 발생하는 것으로 되어있으며, 임상적 연축의 경우는 출혈 후 12일까지도 지속된다. 그 원인이나 병태생리는 지주막밑에 있는 출혈에서 나온 혈관수축성 물질이 혈관을 직접 수축시키거나, 뇌척수액에 섞여들어가 출혈부위이외의 혈관을 수축시키는데 이런 수축이 장기화될 때, 혈관벽 자체에 변성이 생겨 연축이 일어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그 정확한 기전은 아직 잘 모른다.③ 수두증: 지주막하출혈후 지주막하 공간이나 뇌실 내에 차있는 응고된 피가 뇌척수액의 흐름을 막거나, 뇌척수액의 흡수를 막아 뇌척수액의 정상적인 순환이 일어나지 않아 발생하는 것 으로 지주막하출혈환자의 약 15%에서 합병하며 이중 임상적인 증상을 나타내는 경우가 40%로 결국 6%의 지주막하출혈 환자에서 임상적인 증상을 나타내는 수두증이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급성 수두증과 관련 있는 인자로는 고령, CT상 뇌실내출혈이 있거나, 미만성 지주막하 출혈이 있는 경우, 고혈압, 후순환계 동맥류의 파열 등이 있다.
9. 치료
1) 개두술을 이용한 방법 ① 동맥류 직접결찰술(clipping)
② 동맥류 포장술(wrapping)
③ 동맥류 근위 - 원위부 결찰술(trapping)
④ 동맥류 근위부 결찰술(proximal ligation)2) 최소 침습적인 방법
① 분리형 풍선을 이용한 근위 - 원위부 결찰술(trapping)
② GDC 코일에 의한 동맥류 색전술 (GDC coil embolization)
③ 분리형 풍선을 이용한 동맥류 색전술 등의 최소 침습적인 방법(minimally invasive
technique) 등이 있으며, 이중 어느 방법을 선택할 지는 환자의 상태, 동맥류의 크기와
위치, 합병증의 유무 등의 환자 개개의 경우에 따라 담당의사가 결정.
3) 비침습적인 방법
① 3H 치료 (혈압을 높이고, 혈액양을 늘리며, 혈액을 묽게 만드는 것)
② 혈관평활근이완제 : 칼슘길항제, endothelin 수용체 길항제, ICAM-1 항체,
③ 허혈상태를 개선하는 약물치료: plasma, albumin, dextran, mannitol.
④ 허혈에 의한 뇌의 손상으로부터 보호해주는 약물치료 : 칼슘길항제, NMDA 수용체
길항제, aminosteroid 등4) 침습적인 방법
① 뇌동맥뉴 결찰수술시 응고된 혈액제거 및 뇌척수액 배액술
② 풍선이 달린 도자를 이용한 혈관성형술
③ 풍선도자를 이용한 혈관확장제(papaverin) 주입술
④ 경부 교감신경절제술
⑤ 두개강 내외 연축부위 우회술 등이 있으며, 뇌혈관연축의 정도, 부위 등에 따라 담당의 사가 치료방법을 결정하게 됩니다.
10. 예방
① 고혈압, 당뇨병, 심장병, 고지혈증이 있을 때 꾸준한 치료를 한다.
② 비만을 방지하고 정상체중을 유지한다.
③ 적절하고 규칙적인 운동을 한다.
④ 콜레스테롤이 많이 함유된 식품은 되도록 적게 섭취한다.
(계란, 노른자, 내장, 생선알류, 버터, 닭껍질, 오징어, 문어, 전복, 뱀장어, 새우, 장어, 마요네즈 등)
⑤ 금연, 금주하도록 한다.
● 참고문헌
- 성인간호학 (수문사) 이향련 외
- 임상간호메뉴얼 (현문사) Sigma Theta Tau Lambda 외
- 간호진단과 임상활용 (수문사) 이은옥 외
- 조선대학교병원 33병동 신경계 질환 file.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9.01.31
  • 저작시기200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671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