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학]열성 경련 Febrile conversion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목 차*
Ⅰ. 서론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2. 연구 기간 및 방법

Ⅱ. 문헌고찰
1. 열성경련의 정의
2. 원인 및 병태생리
3. 임상증상
4. 진단방법
5. 치료 및 간호
6.예방법
7.합병증 및 예후
8. 위험요인

Ⅲ. 간호사례
1. 간호력
2. 진단적 검사
3. 투약
4. 간호과정

Ⅳ. 결론

Ⅴ.참고문헌

본문내용

또는 페니실린에 의한 황달 및 간기능 장애의 기왕력자
5% dextrose&NS inj. 1000ml bag
1일 500-1000ml(시간당 250-500ml 또는 분당 60-120방울)을 2-3회 나누어 정맥주사
체액, 전해질 및 영양보급제입니다.
탈수증, 수분·전해질 보급, 수술전후의 수분·전해질 보급
(대량급속투여)
뇌부종, 폐수종, 말초부종, 아시도시스, 수중독, (주입정맥)혈전증
저장성 탈수증 환자
bioflor 250 cap 282.5mg
ㅇ성인 및 12세이상의 소아: 1회 1-2캅셀씩 1일 2회 경구투여
ㅇ3세-12세: 1회 1캅셀씩 1일 3회 경구투여
ㅇ3세미만: 1회 1캅셀씩 1일 2회 경구투여
효모균제제로 장내균을 정상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장을 튼튼하게 합니다.
장내균총 이상(항생물질, 화학요법제 투여 등)에 의한 여러증상의 개선: 정장, 변비, 묽은 변, 복부팽만감, 장내이상발효
-
-
mucolase tab. (streptokinase, streptodornase)
1회 1만-2만 단위씩 1일 4회 투여(즉, 1회 1~2정씩 1일 4회 투여)
수술 및 외상후의 종창의 완화, 호흡기질환에 수반하는 객담 배출곤란, 마취후 객담배출곤란, 부비강염, 혈전성정맥염
과민증, 쇽, 설사, 식욕부진, 위부불쾌감, 구역/구토, 혈액응고시간의 연장, 출혈경향 등
금기증: 혈액응고 이상 또는 혈소판 감소증이 있는 환자 , 항응고제를 투여하고 있는 환자
-
kcl inj. 3g/20ml
염화칼륨으로서 0.5-3g을 0.3% 용액이나 링겔 또는 포도당용액에 넣어 분당 8-12ml의 속도로 4시간 이상에 걸쳐 정맥주사
칼륨을 보급하는 제제입니다.
저칼륨혈증, 디기탈리스 중독, 이뇨제 투여후의 저칼륨혈증
소화관 폐색, 궤양 또는 천공, 복통, 설사, 심전도 장애, 구토, 복부불쾌감 등
신장부전, 선천성 심부전증, 부신기능의 장애, 급성탈수증 또는 광범위한 조직손상, 소화기계통의 장애, 협착 환자, 심장비대증 환자중 식도에 압력이 있는 환자, 심장수술후의 환자
NaCl inj. 2.34g/20ml
체내의 수분과 전해질의 부족한 정도에 따라 전해질 보액에 첨가해서 사용
수분,전해질의 보급 및 주사제의 용제등으로 사용됩니다.
전해질 보액의 전해질 보정
고나트륨혈증, 울혈성심부전, 부종 등
-
4. 간호과정
1)간호진단
*경련과 관련된 신체손상 위험성
*질병과 관련된 고체온 위험성
*설사와 관련된 체액부족 위험성
간호진단
간호목표
계획 및 수행
이론적 근거
평가
경련과 관련된 신체손상 위험성
( 5/26)
O. 경련 시 side rail이 올려져 있지않아 낙상함.
(5/26)
경련 시 신체손상 위험성을 최소화 한다.
( 5/26~27)
①손을 잡아줌으로 정서적 지지
②주변에 위험한 물건을 정리
③경련에 대비해 side rail을 올림(side rail에 보호대 씌우기)
④보호자 상주하도록 설명
⑤경련 시 대처법에 대해 교육
①정서적지지 제공으로 환자에게 경련 시 보다 빨리 안정할 수 있게 한다.
②주변에 위험한 물건을 정리하여 경련시 신체에 손상이 가지 않게 할 수 있다.
③평소에도 항상 side rail을 올리면 경련 시 발생할 수 있는 낙상위험성을 최소화 할 수 있다.
side rail에 보호대를 씌워 side rail에 부딪쳐도 손상이 없게 할 수 있다.
④보호자가 상주하도록 하여 경련시 보호자가 대처하게 한다.
( 5 /27 )
-경련 시 낙상이 없었다.
-항상 보호자가 상주해있다.
간호진단
간호목표
계획 및 수행
이론적 근거
평가
( 5/26)
질병과 관련된 고체온 위험성
S. "아이가 열이 나는 것 같아요“
O.
체온측정: 37.8도
10AM
(5/26)
환아가 정상 체온을 유지하도록 한다.
( 5/26)
①미온수 마사지 수행
②손발을 주물러 준다.
③필요시 해열제 투약
④지속적으로 체온 변화 관찰
①, ②, ④를 수행함
①미온수 마사지는 몸의 땀을 증발시켜 열을 내리게 한다.
②열이 나면 혈액순환이 잘 안되서 말초 쪽인 손발은 차가워지므로 주물러서 혈액순환이 되게 한다.
( 5 /26)
-열이 내려갔다.
체온측정:36.6도
1PM
간호진단
간호목표
계획 및 수행
이론적 근거
평가
(5/28)
설사와 관련된 체액부족 위험성
O.
-금일 새벽 설사 6회 함
-설사 정도 사정: Gr 3
(5/28)
더 이상 설사가 나지 않게 한다.
수분 상태를 보충해준다.
(5/28~5/30)
①섭취량, 배설량 체크
②설사 유발음식 교육
③대변검사 용기주고 교육
④충분한 수분섭취
- 계속 물 마시도록 격려
- 수액 주입
⑤설사 사정
⑥구강간호
-입안을 자주 헹구어준다.
-윤활제를 발라준다.
①~⑥ 까지 수행함
②설사를 유발하는 음식을 교육하여 그 음식을 피하게 한다.
④충분한 수분섭취는 설사 시 체내에서 빠져나가는 수분을 보충해준다.
⑥체액이 부족하면 구강 점막이 건조해지므로 가글과 윤활제를 발라주면 구강을 촉촉하게 유지 시킬 수 있다.
(5/30)
설사가 멈췄다.
피부와 구강점막이 건조해지지 않았다.
Ⅳ. 결론
소아과 병동에서의 간호실습은 매우 새로운 경험이었다.
여러 질환을 갖고 있는 환아들이 많았기 때문에 배울 것도 많았고 또 소아에게 투여하는 약 용량도 달라서 성인 간호와는 비슷하지만 다른점이 많았다.
그래도 선생님들께서 모두 친절하게 자세히 잘 가르쳐주셔서 모르는것도 편하게 많이 배워갈 수 있었다.
소아과 병동에는 IV 전담 간호사 선생님도 계셨는데 소아들은 주사를 매우 두려워해서 간호사 스테이션에 따로 마련되어 있는 처치실에서 IV라인을 잡았다.
주사를 맞을 때 마다 온몸으로 아이들을 누르고 잡았는데 그 때 마다 아이들에게 괜히 미안한 마음이 들곤 했다.
그래도 아이들이 건강한 몸으로 퇴원 할 때는 나도 기뻤다.
벌써 소아과 실습이 1주일밖에 안남았다.
더욱더 열심히 질문하고 보고 배워서 나중에 소아과 병동 간호사가 되어서 당황하는 일이 없도록 해야겠다.
Ⅴ.참고문헌
1. http://blog.naver.com/zeanylee?Redirect=Log&logNo=20005204222
2. 중앙건강백과
3. 아동간호학 임상실습 지침서. 김은희 지음
4. 네이버 백과사전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9.02.05
  • 저작시기2009.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765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