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의료의 질 관리의 역사적 발전 배경
2. 양질의 의료
3. 전통적 QA Program의 시행절차
4. 적정진료보장의 접근방법
5. 의료서비스 질 관리도구
6. 정보기술을 이용한 질 관리 기법
7. 진료지침과 표준화된 주진료과정
8. 병원 내 의사위원회의 질 관리활동
9. QI 프로그램에 있어서 의무기록사의 역할
10. 병원신임 및 평가
2. 양질의 의료
3. 전통적 QA Program의 시행절차
4. 적정진료보장의 접근방법
5. 의료서비스 질 관리도구
6. 정보기술을 이용한 질 관리 기법
7. 진료지침과 표준화된 주진료과정
8. 병원 내 의사위원회의 질 관리활동
9. QI 프로그램에 있어서 의무기록사의 역할
10. 병원신임 및 평가
본문내용
라 수련병원실태조사 및 병원신임평가
1) 실시 배경과 과정
① 수득증대 및 의료보장 확대
② 수련병원 인정제도 → 대한병원협회로 이관
③ 의료보험 시행 : 의료기관 증서 - 의료계 자율적 관리 필요
④ 병원표준화 심사 시행 : 대표적인 질 관리 활동
- 미국 : 1918년 - 미국 외과학회 주관
- 한국 : 1981년 - 대한 병원협회 주관
⑤ 의료기관 서비스 평가
2) 정의
병원신임평가사업 : 병원의 진료윤리, 건물 및 기능의 안전도, 의사업무의 조직화, 진료수준, 시설장 비 및 경영관리 면에서 일정한 기준을 설정하여 모든 병원이 여기에 도달할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함으로써 병원의 수준을 향상 발전시켜 환자에게 최선의 진료 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국민의 신뢰와 존경을 받는 병원상을 정립하고자 하는 병 원계의 자율적인 질 관리 활동
3) 목적
① 적정진료보장
② 최신 진료수준의 수용성 증대
③ 병원 경영관리의 효율성 제고
④ 회원병원 권익향상을 위한 정보체계 확립
4) 병원신임심사 대상병원
시 도지사로부터 의료기관개설허가를 받은 병원으로서 24시간 환자진료가 가능하고 진료에 필요한 시설장비와 병상을 갖추어야 하며 1년 이상 환자진료실적이 있는 병원을 대상으로 한다.
5) 병원신임심사 신청
수련병원과 신규대상 병원은 매년 3월 31일까지 신임심사요강을 2부 작성하여 1부는 병원에 보관하고 1부는 의료기관개실허가증 사본 1부 등 관련 자료와 함께 대한병원협회에 신청하여야 한다.
6) 병원신임심사 방법
① 현지심사 : 신임심사반이 심사대상병원을 현지 방문하여 신임심사를 실시하는 것으로 신임심사위원 은 신임심사요강 내용을 현지 확인하여 심사평가기준에 의거 심사한다.
② 서류심사 : 신임심사를 5년 이상 받은 병원 중 신임심사성적이 80% 이상인 병원은 3년간, 70% 이상 인 병원은 2년간 병원신임을 인정하고, 각각 2년, 1년간 서류심사를 실시한다.
7) 심사요강의 부서 구성
전 병원을 6개편 52개 부문으로 나누어 심사요강을 만들어 평가하고 있다.
(2) 의료기관 평가제도
의료기관 서비스 평가제도는 1994년 보건사회부장관의 자문기구로 운영되었던 의료보장개혁위원회에서 제시된 개혁방안의 일환.
1) 의료기관평가제도 도입 배경
① 보건의료서비스 향상 도모
② 보건의료서비스 질적 수준 보장
③ 의료에 대한 국민의 관심 증대 및 사후 관리의 필요성
2) 목적 : 의료기관이 제공하는 의료서비스 수준의 평가는 통해 의료서비스 수준의 향상을 도모하고 의 료기관 의용 상의 불편을 개선함으로서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국민들이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
3) 평가기준의 구성
의료기관평가의 평가 문항
① 환자의 권리와 편의 관련 문항(A문항) : 41개(27.3%)
② 환자의 권리와 편의/시설, 인력수준 복합문항(A,C) : 1개(0.6%)
③ 업무 수행 및 성과 관련 문항(B문항) : 86개(57.3%)
④ 시설 인력 수준 문항(C문항) : 22개(14.7%)
평가부문별 구성
① 진료 및 운영체계 : 54개(36.0%)
② 부서별 업무 성과 문항 : 96개(64.0%)
(3) 종합전문요양기관 또는 전문요양기관의 관리 및 평가
1) 목적
① 인정 및 취소절차, 질병군에 해당하는 질병의 종류, 진료권역내 소요병상 충족도를 판별하기 위한 기준 및 그 평가 등에 관한 사항을 정하여 종합전문요양기관 또는 전문요양기관의 관리 및 평가에 적정을 기하기 위함이다.
② 계속 인정여부에 대해 평가를 실시함으로써 종합전문요양기관 또는 전문요양기관 인정 시 갖는 경제 적 이점 및 지명도제고 등에 따른 의료기관의 무분별한 대형화 초래를 방지하고 인정된 종합전문요 양기관 또는 전문요양기관의 실제 기능 수행여부 및 사후 관리를 통해 종합전문요양기관 또는 전문 요양기관으로서의 적정진료형태를 유도하는 한편 진료권 내의 전반적인 의료기술수준의 향상과 의료 보험 진료전달체계를 확립하기 위함이다.
2) 평가방법
① 시설, 장비 및 인력에 대한 평가
② 질병 또는 환자의 구성 상태 평가
3) 종합전문요양기관의 인정 기간중 환자의 구성상태 기준
① 전문진료 질병군 : 희귀성 질병, 합병증 발생의 가능성이 높은 질병, 치료명률이 높은 질병, 진단을 위한 연구가 필요한 질병
② 일반진료 질병군 : 모든 요양기관에서 진료가 가능하거나 진료를 하여도 되는 질병군
③ 단순진료 질병군 : 진료가 간단한 질병, 일반적으로 진료의 결과가 치명적이 아닌 질병군, 기타 종 합전문요양기관에서 진료를 받지 아니하여도 되는 질병군
1) 실시 배경과 과정
① 수득증대 및 의료보장 확대
② 수련병원 인정제도 → 대한병원협회로 이관
③ 의료보험 시행 : 의료기관 증서 - 의료계 자율적 관리 필요
④ 병원표준화 심사 시행 : 대표적인 질 관리 활동
- 미국 : 1918년 - 미국 외과학회 주관
- 한국 : 1981년 - 대한 병원협회 주관
⑤ 의료기관 서비스 평가
2) 정의
병원신임평가사업 : 병원의 진료윤리, 건물 및 기능의 안전도, 의사업무의 조직화, 진료수준, 시설장 비 및 경영관리 면에서 일정한 기준을 설정하여 모든 병원이 여기에 도달할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함으로써 병원의 수준을 향상 발전시켜 환자에게 최선의 진료 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국민의 신뢰와 존경을 받는 병원상을 정립하고자 하는 병 원계의 자율적인 질 관리 활동
3) 목적
① 적정진료보장
② 최신 진료수준의 수용성 증대
③ 병원 경영관리의 효율성 제고
④ 회원병원 권익향상을 위한 정보체계 확립
4) 병원신임심사 대상병원
시 도지사로부터 의료기관개설허가를 받은 병원으로서 24시간 환자진료가 가능하고 진료에 필요한 시설장비와 병상을 갖추어야 하며 1년 이상 환자진료실적이 있는 병원을 대상으로 한다.
5) 병원신임심사 신청
수련병원과 신규대상 병원은 매년 3월 31일까지 신임심사요강을 2부 작성하여 1부는 병원에 보관하고 1부는 의료기관개실허가증 사본 1부 등 관련 자료와 함께 대한병원협회에 신청하여야 한다.
6) 병원신임심사 방법
① 현지심사 : 신임심사반이 심사대상병원을 현지 방문하여 신임심사를 실시하는 것으로 신임심사위원 은 신임심사요강 내용을 현지 확인하여 심사평가기준에 의거 심사한다.
② 서류심사 : 신임심사를 5년 이상 받은 병원 중 신임심사성적이 80% 이상인 병원은 3년간, 70% 이상 인 병원은 2년간 병원신임을 인정하고, 각각 2년, 1년간 서류심사를 실시한다.
7) 심사요강의 부서 구성
전 병원을 6개편 52개 부문으로 나누어 심사요강을 만들어 평가하고 있다.
(2) 의료기관 평가제도
의료기관 서비스 평가제도는 1994년 보건사회부장관의 자문기구로 운영되었던 의료보장개혁위원회에서 제시된 개혁방안의 일환.
1) 의료기관평가제도 도입 배경
① 보건의료서비스 향상 도모
② 보건의료서비스 질적 수준 보장
③ 의료에 대한 국민의 관심 증대 및 사후 관리의 필요성
2) 목적 : 의료기관이 제공하는 의료서비스 수준의 평가는 통해 의료서비스 수준의 향상을 도모하고 의 료기관 의용 상의 불편을 개선함으로서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국민들이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
3) 평가기준의 구성
의료기관평가의 평가 문항
① 환자의 권리와 편의 관련 문항(A문항) : 41개(27.3%)
② 환자의 권리와 편의/시설, 인력수준 복합문항(A,C) : 1개(0.6%)
③ 업무 수행 및 성과 관련 문항(B문항) : 86개(57.3%)
④ 시설 인력 수준 문항(C문항) : 22개(14.7%)
평가부문별 구성
① 진료 및 운영체계 : 54개(36.0%)
② 부서별 업무 성과 문항 : 96개(64.0%)
(3) 종합전문요양기관 또는 전문요양기관의 관리 및 평가
1) 목적
① 인정 및 취소절차, 질병군에 해당하는 질병의 종류, 진료권역내 소요병상 충족도를 판별하기 위한 기준 및 그 평가 등에 관한 사항을 정하여 종합전문요양기관 또는 전문요양기관의 관리 및 평가에 적정을 기하기 위함이다.
② 계속 인정여부에 대해 평가를 실시함으로써 종합전문요양기관 또는 전문요양기관 인정 시 갖는 경제 적 이점 및 지명도제고 등에 따른 의료기관의 무분별한 대형화 초래를 방지하고 인정된 종합전문요 양기관 또는 전문요양기관의 실제 기능 수행여부 및 사후 관리를 통해 종합전문요양기관 또는 전문 요양기관으로서의 적정진료형태를 유도하는 한편 진료권 내의 전반적인 의료기술수준의 향상과 의료 보험 진료전달체계를 확립하기 위함이다.
2) 평가방법
① 시설, 장비 및 인력에 대한 평가
② 질병 또는 환자의 구성 상태 평가
3) 종합전문요양기관의 인정 기간중 환자의 구성상태 기준
① 전문진료 질병군 : 희귀성 질병, 합병증 발생의 가능성이 높은 질병, 치료명률이 높은 질병, 진단을 위한 연구가 필요한 질병
② 일반진료 질병군 : 모든 요양기관에서 진료가 가능하거나 진료를 하여도 되는 질병군
③ 단순진료 질병군 : 진료가 간단한 질병, 일반적으로 진료의 결과가 치명적이 아닌 질병군, 기타 종 합전문요양기관에서 진료를 받지 아니하여도 되는 질병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