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 카라얀의 음악사회학적 업적
Ⅰ. 클래식 음악을 산업화
ⅰ) 레코드 산업에서 기록을 남긴 카라얀
ⅱ) 잘츠부르크 음악제를 발전시킨 카라얀
ⅲ) CD 포맷 형식을 제안한 카라얀
ⅳ) 영상 매체에 관심을 보인 카라얀
ⅴ) 콘서트홀의 설계에 영향을 끼친 카라얀
Ⅱ. 클래식 음악을 대중화
ⅰ) '미디어'를 적극적으로 활용한 카라얀
ⅱ) 음악적으로 대중의 취향에 다가간
카라얀
ⅲ) '이미지 메이킹' 을 통해 자신의 인기를 클래식에 대한 관심으로 바꾼 카라얀
ⅳ) 클래식 음악을 다양한 콘텐츠를 통해 상업화한 카라얀
Ⅲ. 카라얀과 비견될 만한 인물들
ⅰ) 백남준과 카라얀
ⅱ) 엔니오 모리꼬네와 카라얀
ⅲ) 앤디 워홀과 카라얀
ⅳ) 이루마와 카라얀
ⅴ) 칸노 요코와 카라얀
3. 결론
2. 본론 : 카라얀의 음악사회학적 업적
Ⅰ. 클래식 음악을 산업화
ⅰ) 레코드 산업에서 기록을 남긴 카라얀
ⅱ) 잘츠부르크 음악제를 발전시킨 카라얀
ⅲ) CD 포맷 형식을 제안한 카라얀
ⅳ) 영상 매체에 관심을 보인 카라얀
ⅴ) 콘서트홀의 설계에 영향을 끼친 카라얀
Ⅱ. 클래식 음악을 대중화
ⅰ) '미디어'를 적극적으로 활용한 카라얀
ⅱ) 음악적으로 대중의 취향에 다가간
카라얀
ⅲ) '이미지 메이킹' 을 통해 자신의 인기를 클래식에 대한 관심으로 바꾼 카라얀
ⅳ) 클래식 음악을 다양한 콘텐츠를 통해 상업화한 카라얀
Ⅲ. 카라얀과 비견될 만한 인물들
ⅰ) 백남준과 카라얀
ⅱ) 엔니오 모리꼬네와 카라얀
ⅲ) 앤디 워홀과 카라얀
ⅳ) 이루마와 카라얀
ⅴ) 칸노 요코와 카라얀
3. 결론
본문내용
들의 시간상의 문제와 이론적 깊이의 한계로 이는 나중에 기회가 되면 논의해 보고자 한다. 우리는 지금까지의 논의를 바탕으로 카라얀의 업적을 다시 한번 짚어보며 이 논의를 마무리하고자 한다.
지금까지 카라얀의 업적으로 볼 때 카라얀의 인생은 그 자체로 클래식 음반 산업의 역사이며, 이는 클래식 음악의 ‘산업혁명’이라 부를 만하다. 카라얀은 음악을 예술의 범위를 넘어서 일종의 산업으로 만드는 데 기여하였다.
먼저 그는 다양한 클래식 음악을 새로운 미디어 저장 매체를 통해 기록하는데 주저하지 않았다. LP가 등장하고 CD가 처음 등장했을 때, 그는 그의 뛰어난 연주를 대중들이 쉽게 들을 수 있도록 만들었다. 그가 나치당에 가입했었던 경력으로 오케스트라의 지휘가 금지되었을 때 그는 바로크 시대부터 시작하여 여러 가지 레파토리를 연구했다고, 레코딩 기술을 이용해 그것을 대중들에게 전달했다. 그는 레코딩 기술을 통해서 음악을 자유롭게 변형해서 대중이 듣기 좋은 음악을 만들기 위해 노력했던 것이다. 명지휘자의 명연주를 깨끗한 음질로 들을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이는 대중들에게 큰 어필을 할 수 있었다. 과거에는 클래식이 공연 위주였으나, 카라얀은 음반을 통해서 음악을 대량생산했으며 음악을 음질의 손실없이 기록하여 대중들이 듣기 쉽도록 만들었다. 공연 장소에서의 잡음이나 장소의 제약 또는 티켓 가격 때문에 들을 수 없었던 음악들을 레코드를 통해 대중들이 들을 수 있게 된 것이다. 수요자의 기호에 맞춘 대량생산은 산업이 되기 위한 필수적인 요소이다. 카라얀은 결과적으로 이를 실행해서 음악을 일종의 산업으로 만들었다고 할 수 있다.
두 번째로 그는 음악을 공연장에서 듣고 끝내는 것이 아니라 잘츠부르크 페스티벌같은 축제를 통해 음악을 사람들이 소비하는 하나의 컨텐츠로 만들었다. 이런 음악의 산업화를 통해 그는 막대한 부를 쌓음과 동시에 사회에서 자신의 위상을 높일 수 있었다. 또한, 잘츠부르크 음악제 이후 많은 음악제들이 상설축제화 되고, 조직화되어 하나의 문화를 조성하도록 하는데 전례를 만든 음악사회학적 업적을 남겼다.
또한 그는 음악을 전달하는데 영상매체가 앞으로의 차세대 매체가 될 것임을 확신하고, 음악을 영상화하는데 몰두하여 여러 영상물들을 남겼다. 이는 요즈음 뮤직비디오가 효과적인 음악 홍보수단이 되고 있다는 인식을 앞서 한 것으로, 뮤직비디오의 전례가 되는 음악사회학적인 업적인 것이다. 이러한 그의 업적들은 음악의 산업화라는 틀에서 볼 때, 우리들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며, 지금까지의 논의에서 알 수 있듯이 큰 의의가 있다.
또한 카라얀은 클래식음악을 접하기 어려운 '상류층의 음악' 에서 많은 이들이 향유하도록 대중화한 인물이기도 하다. 카라얀은 총 900여 장의 음반을 내었는데, 클래식 음악으로만 이렇게 많은 종류의 음반을 냈다는 것은 기록할 만한 일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이 음반들은 총 1억 1500만장이 팔렸는데, 이는 대중들에게 클래식 음악이 보급화되었음을 수치적으로 보여주기도 하는 것이다. 카라얀 이후 많은 이들은 집에서 클래식 음악을 간편하게 '소유'하여 들을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수많은 레퍼토리, 특히 대중들에게 친숙한 레퍼토리들을 음반화하여 사람들이 어떠한 클래식음악이라도 연주회장에 갈 필요 없이 선택하여 들을 수 있게 되었다. 이렇게 편리를 제공한 것은 그의 상업적 전략 때문이기도 하지만, 음악에 대한 애착이 있었기에 가능한 것이다. 많은 이들과 클래식 음악을 듣는 기쁨을 나누고자 하는 그의 바램이 이러한 방대한 양의 음반을 제작하게 한 것이다. 결과적으로 그는 차세대 저장 기술이 나올 때마다 음반을 제작해, 많은 양의 음반을 통해 클래식 음악을 대중화시켰다. 또한 영상물을 이용해 음악을 영상화하여 많은 이들에게 클래식을 친숙하게 느끼게끔 만들었다. '카라얀'이라는 인물이 그토록 널리 알려지게 된 것은 그가 클래식이라는 고급 음악의 첨탑 위에 올라앉아 권위적인 모습을 보이고, 대중들과 거리를 두어서가 아니라 이렇게 대중들에게 먼저 다가갔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다고 해서 그가 매너리즘에 빠져 음악적인 노력들을 게을리 하고 대중화와 돈벌이에만 몰두한 것은 아니다. 그는 항상 자신의 지휘 실력을 연마하였고, 대중들에게 최상의 음악을 들을 수 있도록 끊임없이 노력한 인물이기도 하다.
카라얀의 위와 같은 산업화 및 대중화에 대한 업적은 오늘날, 자본주의인 현대사회에서 큰 의미가 있다. 이제 오늘날의 사회는 실력을 갖춘 인물이라 할지언정 자신을 대중들에게 먼저 소개하고 자신의 능력을 팔지 않고서는 생존할 수 없다. 카라얀과 같이 예술성과 대중성을 동시에 갖추고, 즉 클래식이라는 좁은 세계에만 갇혀 있지 않고, 예술성을 바탕으로 대중화에도 노력한 인물들이 현대 사회에 적합한 인물임을 깨닫게 된다. 때로는 그의 상업화 전략 역시 대중화에 기여한 측면이 있으며 이는 자본주의 사회의 흐름에도 부합하는 것으로 보인다. 물론 그러한 전략 아래에는 탄탄한 실력이 전제되어야 하겠지만 말이다.
또한 카라얀의 음악 사회학적 업적들은 오늘날 음악계에 큰 시사점을 안겨줄 수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가요계는 불황 아닌 불황을 맞고 있다. 디지털 음악 저장방식에 뒤늦게 합류한 가요계가 부작용을 겪으면서 불황을 맞았지만, 한편으로 많은 신인 뮤지션들은 손쉽게 자신의 노래를 대중들에게 전달할 수 있게 되면서 과거였다면 사장되었을 음악들이 주목받을 수 있게 되었다. 카라얀과 같이 이러한 새로운 매체를 혁신의 기회로 삼는다면, 실력 있는 새로운 뮤지션들이 성공할 수 있는 가능성도 높아질 수 있다. 기존의 뮤지션들이 갖고 있지 못한 참신한 노래와 실력을 바탕으로 새로운 방식을 적극 이용하여 대중화에 성공한다면 말이다.
비단 음악계뿐만 아니라, 선구자이자 리더로서의 카라얀의 업적들은 문화계를 비롯하여 각 층 각 계에 앞으로도 큰 영향력을 행사할 것이라 믿는다. 특히 '실력'과 '대중성' 을 동시에 갖추었다는 업적이 성공을 하기 위한 조건이라는 점이 각계 인물들에게 시사하는 점은 매우 클 것이다. 이러한 시사점을 마지막으로 이제 카라얀의 음악사회학적 업적에 대한 논의를 마치고자 한다.
지금까지 카라얀의 업적으로 볼 때 카라얀의 인생은 그 자체로 클래식 음반 산업의 역사이며, 이는 클래식 음악의 ‘산업혁명’이라 부를 만하다. 카라얀은 음악을 예술의 범위를 넘어서 일종의 산업으로 만드는 데 기여하였다.
먼저 그는 다양한 클래식 음악을 새로운 미디어 저장 매체를 통해 기록하는데 주저하지 않았다. LP가 등장하고 CD가 처음 등장했을 때, 그는 그의 뛰어난 연주를 대중들이 쉽게 들을 수 있도록 만들었다. 그가 나치당에 가입했었던 경력으로 오케스트라의 지휘가 금지되었을 때 그는 바로크 시대부터 시작하여 여러 가지 레파토리를 연구했다고, 레코딩 기술을 이용해 그것을 대중들에게 전달했다. 그는 레코딩 기술을 통해서 음악을 자유롭게 변형해서 대중이 듣기 좋은 음악을 만들기 위해 노력했던 것이다. 명지휘자의 명연주를 깨끗한 음질로 들을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이는 대중들에게 큰 어필을 할 수 있었다. 과거에는 클래식이 공연 위주였으나, 카라얀은 음반을 통해서 음악을 대량생산했으며 음악을 음질의 손실없이 기록하여 대중들이 듣기 쉽도록 만들었다. 공연 장소에서의 잡음이나 장소의 제약 또는 티켓 가격 때문에 들을 수 없었던 음악들을 레코드를 통해 대중들이 들을 수 있게 된 것이다. 수요자의 기호에 맞춘 대량생산은 산업이 되기 위한 필수적인 요소이다. 카라얀은 결과적으로 이를 실행해서 음악을 일종의 산업으로 만들었다고 할 수 있다.
두 번째로 그는 음악을 공연장에서 듣고 끝내는 것이 아니라 잘츠부르크 페스티벌같은 축제를 통해 음악을 사람들이 소비하는 하나의 컨텐츠로 만들었다. 이런 음악의 산업화를 통해 그는 막대한 부를 쌓음과 동시에 사회에서 자신의 위상을 높일 수 있었다. 또한, 잘츠부르크 음악제 이후 많은 음악제들이 상설축제화 되고, 조직화되어 하나의 문화를 조성하도록 하는데 전례를 만든 음악사회학적 업적을 남겼다.
또한 그는 음악을 전달하는데 영상매체가 앞으로의 차세대 매체가 될 것임을 확신하고, 음악을 영상화하는데 몰두하여 여러 영상물들을 남겼다. 이는 요즈음 뮤직비디오가 효과적인 음악 홍보수단이 되고 있다는 인식을 앞서 한 것으로, 뮤직비디오의 전례가 되는 음악사회학적인 업적인 것이다. 이러한 그의 업적들은 음악의 산업화라는 틀에서 볼 때, 우리들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며, 지금까지의 논의에서 알 수 있듯이 큰 의의가 있다.
또한 카라얀은 클래식음악을 접하기 어려운 '상류층의 음악' 에서 많은 이들이 향유하도록 대중화한 인물이기도 하다. 카라얀은 총 900여 장의 음반을 내었는데, 클래식 음악으로만 이렇게 많은 종류의 음반을 냈다는 것은 기록할 만한 일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이 음반들은 총 1억 1500만장이 팔렸는데, 이는 대중들에게 클래식 음악이 보급화되었음을 수치적으로 보여주기도 하는 것이다. 카라얀 이후 많은 이들은 집에서 클래식 음악을 간편하게 '소유'하여 들을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수많은 레퍼토리, 특히 대중들에게 친숙한 레퍼토리들을 음반화하여 사람들이 어떠한 클래식음악이라도 연주회장에 갈 필요 없이 선택하여 들을 수 있게 되었다. 이렇게 편리를 제공한 것은 그의 상업적 전략 때문이기도 하지만, 음악에 대한 애착이 있었기에 가능한 것이다. 많은 이들과 클래식 음악을 듣는 기쁨을 나누고자 하는 그의 바램이 이러한 방대한 양의 음반을 제작하게 한 것이다. 결과적으로 그는 차세대 저장 기술이 나올 때마다 음반을 제작해, 많은 양의 음반을 통해 클래식 음악을 대중화시켰다. 또한 영상물을 이용해 음악을 영상화하여 많은 이들에게 클래식을 친숙하게 느끼게끔 만들었다. '카라얀'이라는 인물이 그토록 널리 알려지게 된 것은 그가 클래식이라는 고급 음악의 첨탑 위에 올라앉아 권위적인 모습을 보이고, 대중들과 거리를 두어서가 아니라 이렇게 대중들에게 먼저 다가갔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다고 해서 그가 매너리즘에 빠져 음악적인 노력들을 게을리 하고 대중화와 돈벌이에만 몰두한 것은 아니다. 그는 항상 자신의 지휘 실력을 연마하였고, 대중들에게 최상의 음악을 들을 수 있도록 끊임없이 노력한 인물이기도 하다.
카라얀의 위와 같은 산업화 및 대중화에 대한 업적은 오늘날, 자본주의인 현대사회에서 큰 의미가 있다. 이제 오늘날의 사회는 실력을 갖춘 인물이라 할지언정 자신을 대중들에게 먼저 소개하고 자신의 능력을 팔지 않고서는 생존할 수 없다. 카라얀과 같이 예술성과 대중성을 동시에 갖추고, 즉 클래식이라는 좁은 세계에만 갇혀 있지 않고, 예술성을 바탕으로 대중화에도 노력한 인물들이 현대 사회에 적합한 인물임을 깨닫게 된다. 때로는 그의 상업화 전략 역시 대중화에 기여한 측면이 있으며 이는 자본주의 사회의 흐름에도 부합하는 것으로 보인다. 물론 그러한 전략 아래에는 탄탄한 실력이 전제되어야 하겠지만 말이다.
또한 카라얀의 음악 사회학적 업적들은 오늘날 음악계에 큰 시사점을 안겨줄 수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가요계는 불황 아닌 불황을 맞고 있다. 디지털 음악 저장방식에 뒤늦게 합류한 가요계가 부작용을 겪으면서 불황을 맞았지만, 한편으로 많은 신인 뮤지션들은 손쉽게 자신의 노래를 대중들에게 전달할 수 있게 되면서 과거였다면 사장되었을 음악들이 주목받을 수 있게 되었다. 카라얀과 같이 이러한 새로운 매체를 혁신의 기회로 삼는다면, 실력 있는 새로운 뮤지션들이 성공할 수 있는 가능성도 높아질 수 있다. 기존의 뮤지션들이 갖고 있지 못한 참신한 노래와 실력을 바탕으로 새로운 방식을 적극 이용하여 대중화에 성공한다면 말이다.
비단 음악계뿐만 아니라, 선구자이자 리더로서의 카라얀의 업적들은 문화계를 비롯하여 각 층 각 계에 앞으로도 큰 영향력을 행사할 것이라 믿는다. 특히 '실력'과 '대중성' 을 동시에 갖추었다는 업적이 성공을 하기 위한 조건이라는 점이 각계 인물들에게 시사하는 점은 매우 클 것이다. 이러한 시사점을 마지막으로 이제 카라얀의 음악사회학적 업적에 대한 논의를 마치고자 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