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속놀이][민속놀이 정의][민속놀이 중요성][가마놀이][깨끔질 싸움(닭싸움)][고누(고니)][윷놀이][비석치기]민속놀이의 정의, 민속놀이의 중요성, 가마놀이, 깨끔질 싸움(닭싸움), 고누(고니), 윷놀이, 비석치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민속놀이][민속놀이 정의][민속놀이 중요성][가마놀이][깨끔질 싸움(닭싸움)][고누(고니)][윷놀이][비석치기]민속놀이의 정의, 민속놀이의 중요성, 가마놀이, 깨끔질 싸움(닭싸움), 고누(고니), 윷놀이, 비석치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민속놀이의 정의

Ⅲ. 민속놀이의 중요성

Ⅳ. 가마놀이

Ⅴ. 깨끔질 싸움(닭싸움)

Ⅵ. 고누(고니)
1. 곤질 고누
2. 물래고누
3. 샘고누(우물고누)
4. 6밭고누
5. 호박고누

Ⅶ. 윷놀이

Ⅷ. 비석치기

참고문헌

본문내용

있으며 상대편의 말을 잡으면 한번 더 놀 수 있다. 윷이나 모가 나와도 한번 더 윷을 던지는 자격이 있다. 말은 두 동, 석 동, 넉 동으로 동무하여 함께 갈 수 있다. 어느 한편에서 먼저 말 네 개가 말밭을 돌아 시발점이자 최종점인 <맥이다>를 빠져나오면 이기는 것이다.
Ⅷ. 비석치기
우리나라 곳곳의 마을에 장승 백이 또는 비석거리 라는 지명이 있다. 주로 농민들이 모여 살고 있는 마을의 장승이 서 있는 곳을 장승백이라 한다. 장승백이는 마을 사람들의 공동의 문제, 즉 부락에나 기타 여러 가지 일들을 의논하였던 곳이다. 다시 말하면 사사로운 개인적인 문제가 아닌 마을 공동의 문제를 민중들이 모여 토의하고 결정하던 곳이 바로 장승백이이다. 이에 비해 비석거리란 말뜻 그대로 비가 서있는 거리다. 비석거리는 장승백이와 달리 벼슬아치 등의 권력층이나 부유층이 모여 살고 있는 마을 가까운 거리를 말한다. 그들은 자기들의 조상 또는 자기들의 업적을 자화자찬하고 기리기 위해서 각종 기념물을 세웠는데, 이것중의 하나가 사람들이 많이 지나다니는 곳에 세워놓은 이른바 송덕비라는 것이다. 송덕비란 바로 봉건적 관료체제의 전형적 소산물로 다수 민중의 뜻에 의한 것이 아니고 몇몇 관료층의 각기 자랑 및 자기과시에 불과한 것이다. 따라서 민중의 눈에는 송덕비란 것이 곱게 보일 까닭이 없고 민중의 고혈위에 세워진 기념물들은 그것을 세운 사람들에게는 뜻이 있을지 몰라도 봉건적 지배 질서에 묶여왔던 대 다수 사람들에게는 아무 뜻도 없는 하나의 잘 다듬어진 돌덩이 또는 달갑지 않은 수탈과 권력의 상징으로 보였을 것이다. 어린이나 어른 할 것 없이 송덕비 앞을 지나갈 때 불끈 울화가 치솟으면 아니꼬운 비석에 대고 욕설을 퍼붓거나 아니면, 한두 번쯤 발길질로 비석을 차면서 평소 쌓여왔던 울분을 잠시나마 폭발시켰을 것이다. 비석치기란 바로 위와 같은 뜻에서 유래된 것으로 이것이 점차 놀이화되어 오늘에 보는 바와 같이 어린이 놀이로 자리 잡게 된 것으로 생각된다.
참고문헌
김구, 건전한 여가활동을 위한 민속놀이의 역할, 1996
김성곤, 초등학교에서의 민속놀이 지도 실태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2
김종만, 아이들 민속놀이 백 가지, 우리교육, 1993
오장현 외 2명, 민속놀이 지도자료, 대광문화사, 1987
이은봉, 놀이와 축제, 서울 : 주류, 1982
조선의 민속전통 편찬위원회, 민속놀이와 명절 상, 대산출판사, 2000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9.02.25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032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