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초기불교의 의의 및 목적
2. 대승불교의 의의 및 목적
2. 대승불교의 의의 및 목적
본문내용
이를테면 자아란 몸, 느낌, 마음, 현상으로 구별하고, 그들을 다시 몇 개의 과정으로 나누어서 하나씩 관찰하는 방식이다. 이때 현상학적인 접근이란 ‘현재’에 기점을 둔 관찰방식으로 어떤 선입견을 가지지 않는 객관적인 관찰을 의미한다. 따라서 위빠사나는 대승불교에서 강조하는 심층적이고, 근원적인 불성이나 법계연기를 염두에 두지 않는다. 이런 부분은 간화선에서 다룬다. 마음의 본래적인 청정성이나 아뢰야식의 종자설을 전제하지 않지 않는다. 이런 차이점은 심리학과 비교하면 프로이트의 심층심리학과 게슈탈트의 현상학적인 접근방식과 비교하는 것과 유사하다.
초기불교에서는 여러 가지 교설을 말하고 있다. 이를테면 오온이나 12연기, 등등 이런 교설은 모두 자아의 부재를 증명하는 교설이다. 위빠사나는 자아의 부재를 체험하는 수행론이라고 부를 수가 있다. 하지만 대승 위빠사나와 간화선은 단순하게 자아의 부재를 체험하는 것을 목표로 하지 않고, 불성, 여래장과 같은 우리의 ‘본성을 드러내는데’ 목표를 둔다. 보통 이것을 성기(性起)라고 한다. 세계와 자아란 결과적으로 불성의 작용이고, 성품의 일어남으로 해석된다. 이런 점은 결정적으로 초기불교와 대승불교의 차이점이다.
초기불교에서는 여러 가지 교설을 말하고 있다. 이를테면 오온이나 12연기, 등등 이런 교설은 모두 자아의 부재를 증명하는 교설이다. 위빠사나는 자아의 부재를 체험하는 수행론이라고 부를 수가 있다. 하지만 대승 위빠사나와 간화선은 단순하게 자아의 부재를 체험하는 것을 목표로 하지 않고, 불성, 여래장과 같은 우리의 ‘본성을 드러내는데’ 목표를 둔다. 보통 이것을 성기(性起)라고 한다. 세계와 자아란 결과적으로 불성의 작용이고, 성품의 일어남으로 해석된다. 이런 점은 결정적으로 초기불교와 대승불교의 차이점이다.
추천자료
도교[道敎] 유교[儒敎] 불교[佛敎, Buddhism]
태국의 불교
신라의 아미타사상
[동양사] 경주 남산 불적 (불교유적) 종류 및 소고
'신라초' '동천'등에서 볼 수 있는 것으로, 샤머니즘, 유교, 노장사상 등에서 불교로 이어지...
<신라초> , <동천> 등에서 볼 수 있는 것으로 , 샤머니즘 , 유교 , 노장사상 등에서 불교로 ...
대승사상에 대하여
한국불교조각의 흐름을 읽고
신라시대의 효는 어떻게 불교와 유교사이에서 공존했을까
[실재론]불교의 실재론, 실재론적 의미론, 실재론적 뉴스-사실이론, 실재론과 교육, 실재론과...
전법륜에 대하여
전통 불교사상의 자연관과 생태적 함의에 대해 설명
성리학(주자학)의 형성, 성리학(주자학)의 이기이원론, 성리학(주자학)의 태극설, 성리학(주...
[선][禪][선(禪)의 의미][선(禪)의 기원][선(禪)의 갈래][선(禪)의 본질][선(禪)의 깨달음]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