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목 차 ◈
지반 조사에서의 시추방법과 그 종류.
1. 지반조사의 목적과 방법.
1) 개요.
2) 지반조사 단계.
3) 종류 및 방법.
① 지하 탐사법
② Sounding 시험.
③ Boring (시추).
④ Sampling.
⑤ 토질시험.
⑥ 지내력 시험.
⑦ 기타시험.
2. 시추조사의 종류와 방법.
1) 개요.
2) 시추조사의 목적.
3) 시추의 종류.
① 경사도에 따른 분류.
② 굴착방법에 따른 분류.
4) 시추장비 부품.
5) 시추작업.
6) 시료채취를 위한 장비.
① 흙시료 채취기.
② 자연시료 채취기.
③ 암석시료 채취기.
7). 시추결과의 정리(시추 주상도).
-참고 문헌 및 자료 출처-
지반 조사에서의 시추방법과 그 종류.
1. 지반조사의 목적과 방법.
1) 개요.
2) 지반조사 단계.
3) 종류 및 방법.
① 지하 탐사법
② Sounding 시험.
③ Boring (시추).
④ Sampling.
⑤ 토질시험.
⑥ 지내력 시험.
⑦ 기타시험.
2. 시추조사의 종류와 방법.
1) 개요.
2) 시추조사의 목적.
3) 시추의 종류.
① 경사도에 따른 분류.
② 굴착방법에 따른 분류.
4) 시추장비 부품.
5) 시추작업.
6) 시료채취를 위한 장비.
① 흙시료 채취기.
② 자연시료 채취기.
③ 암석시료 채취기.
7). 시추결과의 정리(시추 주상도).
-참고 문헌 및 자료 출처-
본문내용
트 또는 메탈크라운(Metal Bit or Metal Crown) 및 다이아몬드 비트로 분류되고, 일반적으로 연약토사에는 칼날형비트(Blade Bit)의 일종인 물고기 꼬리형비트(Fishatall Bit)를 연암에는 메탈크라운을, 경암에는 다이아몬드 비트를 사용한다.
⑤ 메탈비트의 메탈은 텅스텐 카바이드합금으로 표면을 처리하거나 초경합금메탈을 심으며, 다이아몬드비트는 공업용 다이아몬드 입자를 표면에 심은 표면형 비트와 다이아몬드분말 및 금속분말을 혼합하여 소결한 혼합형 비트로 구분된다.
- 비트 사진 -
⑥ 국내의 케이싱 및 비트의 규격은 다음 표와 같다.
구 분
비트규격 (mm)
케이싱 규격 (mm)
코아직경 (mm)
비 고
내경
외경
내경
외경
EX
21.5
37.7
41.3
46.0
20.2
AX
30.0
48.0
50.8
57.2
28.6
BX
42.0
59.9
65.1
73.0
41.3
NX
54.7
75.7
81.0
83.9
54.0
HX
68.3
98.4
104.8
114.3
67.5
5) 시추작업.
시추작업은 지반구성물질을 원지반에서 분리하는 작업, 이를 회수하는 작업, 시추공이 무너지지 않도록 보호하는 작업으로 나뉘어진다.
① 분리작업: 시추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먼저 지층을 작은 조각을 분리하여야 한다.
- 느슨한 모래층, 연약점토층, 유기질토층: 순환수 이용
- 중간정도 조밀한 지층: 회전유압식 시추나 오거 이용
- 자갈층; 회전유압식 시추, 호박돌인 경우에 따라 발파 병행
- 기반암층: 회전유압식이나 회전충격식 시추
② 회수작업: 원지반에서 분리된 지반구성물질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지표로 배출한다.
- 점성토는 순환수를 사용하지 않고 오거로 회수하는데, 지하수위 상부에서는 연속날개
형 오거, 지하수위 하부에서는 중공관형 오거를 사용한다.
- 순환수는 공바닥에 닿아 있는 비트를 통해서 공내로 분사되는데, 시추공의 상태에 따
라 적절한 순환수(맑은 물, 이수 또는 압축공기)를 선택하여 사용한다.
③ 시추공 보호작업: 지하수위 상부에 분포하는 경질토 지층이나 중공관형 오거로 굴진한 지역에서는 별도로 시추공 보호작업을 할 필요가 없지만, 지하수위 상부에 분포하는 모래층, 자갈층 또는 지하수위 하부에 분포하는 대부분 토층에서는 케이싱이나 이수로서 시추공을 보호한다. 기반암이 심하게 파쇄되엇을 경우는 그라우팅한 후 재굴진하여 시추공 붕괴를 막는다.
6) 시료채취를 위한 장비.
시료채취 장비는 굴착장비에 비하여 규모는 작지만 시추는 지하 지질상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작업이므로 시료채취 장비는 시추의 성패를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시료채취 장비는 채취 대상에 따라 흙시료 채취기(soil sampler)와 자연시료 채취기 그리고 암석시료 채취기(core sampler)로 구분된다.
① 흙시료 채취기.
- 흙시료 채취기는 자연상태에서 흐트러진 상태의 시료채취를 목적으로 하는 교란시료 채취(disturbed sampling)와 자연상태대로 채취하는 자연시료 채취(undisturbed sampling)로 분류된다. 교란시료의 채취는 일반적으로 표준관입시험시 SPT sampler로부터 얻는 방법이 가장 많이 사용되며 이외에도 split tube sampler, split spoon sampler, plug sampler 등을 사용한다. 흙시료 채취기로는 thin-wall tube sampler, piston sampler, foil sampler, double tube core barrel soil sampler, pitcher sampler 등이 있다. 하나의 얇은 관을 채취 대상 지층에 단순히 밀어넣어 시료를 채취하는 thin-wall tube sampler는 장비가 단순하기 때문에 많이 이용되고 있으나 얇은 관의 끝부분이 손상을 잘 받고
시료와 튜브사이의 마찰력으로 서로가 교란될 가능성이 크며 채취된 시료가 도중에 유실되는 단점이 있다.
이와같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piston sampler나 foil sampler를 이용할 수 있다.
② 자연시료 채취기.
- 자연시료의 채취는 공학적으로 중요한 현장계수를 얻기 위하여 실시하지만 자연시료의 채취는 매우 어려운 작업이며 현장여건과 장비운영에 따라 성과의 차이가 생긴다.
③ 암석시료 채취기.
- 대상 토양이 비교적 단단한 경우에는 단단한 외부관 속에 내장된 얇은 내부관을 이용하는 이중관식 흙 시료채취기가 유리하며 토양이 더욱 단단하면 코아바렐식 흙시료 채취기가 사용된다. 암석시료 채취기는 코아바렐의 형태를 띠고 있으며 코아바렐의 형태에 따라 싱글코아바렐과 더블코아바렐로 구분한다.
7). 시추결과의 정리(시추 주상도).
시추결과는 시추과정에서 얻어진 각종 정보와 채취시료의 관찰결과를 정리한 시추 주상도로 표시하며 시추 주상도는 일반현황 부분과 세부조사 부분으로 구성된다. 일반현황 부분에는 지질정보 이외의 시추공에 관련된 각종 정보가 포함되며 일반적으로 시추공의 이름, 위치, 지하수위를 기록하며 이외에도 시추작업시간, 조사자, 발주자, 시추장비, 시추의 유형 등이 포함된다. 한편, 세부조사 부분에는 가능한 모든 정보가 간결하게 기재되어야 하는데, 흙 시료의 경우 입도, 입자의 모양, 색, 굳기, 다짐 정도, 함유물, 냄새, N값 등을 기록하며, 암석시료의 경우 암석의 종류, 강도, 풍화정도, 절리간격, 방향, 함유물, 코아회수율, RQD, 구성광물, 시간에 따른 변화특성 등을 기록한다.
- 시추 주상도의 예 -
-참고 문헌 및 자료 출처-
토목.건설 시공학, 성안당, 성태희 지음.
http://blog.naver.com/mirinaebae?Redirect=Log&logNo=5498584
http://blog.naver.com/ds3kgu/120047488944
http://blog.naver.com/leavin/30036730615
http://blog.naver.com/mirinaebae/5498584
http://cafe.naver.com/krm7/1319
http://cafe.naver.com/krm7/1320
⑤ 메탈비트의 메탈은 텅스텐 카바이드합금으로 표면을 처리하거나 초경합금메탈을 심으며, 다이아몬드비트는 공업용 다이아몬드 입자를 표면에 심은 표면형 비트와 다이아몬드분말 및 금속분말을 혼합하여 소결한 혼합형 비트로 구분된다.
- 비트 사진 -
⑥ 국내의 케이싱 및 비트의 규격은 다음 표와 같다.
구 분
비트규격 (mm)
케이싱 규격 (mm)
코아직경 (mm)
비 고
내경
외경
내경
외경
EX
21.5
37.7
41.3
46.0
20.2
AX
30.0
48.0
50.8
57.2
28.6
BX
42.0
59.9
65.1
73.0
41.3
NX
54.7
75.7
81.0
83.9
54.0
HX
68.3
98.4
104.8
114.3
67.5
5) 시추작업.
시추작업은 지반구성물질을 원지반에서 분리하는 작업, 이를 회수하는 작업, 시추공이 무너지지 않도록 보호하는 작업으로 나뉘어진다.
① 분리작업: 시추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먼저 지층을 작은 조각을 분리하여야 한다.
- 느슨한 모래층, 연약점토층, 유기질토층: 순환수 이용
- 중간정도 조밀한 지층: 회전유압식 시추나 오거 이용
- 자갈층; 회전유압식 시추, 호박돌인 경우에 따라 발파 병행
- 기반암층: 회전유압식이나 회전충격식 시추
② 회수작업: 원지반에서 분리된 지반구성물질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지표로 배출한다.
- 점성토는 순환수를 사용하지 않고 오거로 회수하는데, 지하수위 상부에서는 연속날개
형 오거, 지하수위 하부에서는 중공관형 오거를 사용한다.
- 순환수는 공바닥에 닿아 있는 비트를 통해서 공내로 분사되는데, 시추공의 상태에 따
라 적절한 순환수(맑은 물, 이수 또는 압축공기)를 선택하여 사용한다.
③ 시추공 보호작업: 지하수위 상부에 분포하는 경질토 지층이나 중공관형 오거로 굴진한 지역에서는 별도로 시추공 보호작업을 할 필요가 없지만, 지하수위 상부에 분포하는 모래층, 자갈층 또는 지하수위 하부에 분포하는 대부분 토층에서는 케이싱이나 이수로서 시추공을 보호한다. 기반암이 심하게 파쇄되엇을 경우는 그라우팅한 후 재굴진하여 시추공 붕괴를 막는다.
6) 시료채취를 위한 장비.
시료채취 장비는 굴착장비에 비하여 규모는 작지만 시추는 지하 지질상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작업이므로 시료채취 장비는 시추의 성패를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시료채취 장비는 채취 대상에 따라 흙시료 채취기(soil sampler)와 자연시료 채취기 그리고 암석시료 채취기(core sampler)로 구분된다.
① 흙시료 채취기.
- 흙시료 채취기는 자연상태에서 흐트러진 상태의 시료채취를 목적으로 하는 교란시료 채취(disturbed sampling)와 자연상태대로 채취하는 자연시료 채취(undisturbed sampling)로 분류된다. 교란시료의 채취는 일반적으로 표준관입시험시 SPT sampler로부터 얻는 방법이 가장 많이 사용되며 이외에도 split tube sampler, split spoon sampler, plug sampler 등을 사용한다. 흙시료 채취기로는 thin-wall tube sampler, piston sampler, foil sampler, double tube core barrel soil sampler, pitcher sampler 등이 있다. 하나의 얇은 관을 채취 대상 지층에 단순히 밀어넣어 시료를 채취하는 thin-wall tube sampler는 장비가 단순하기 때문에 많이 이용되고 있으나 얇은 관의 끝부분이 손상을 잘 받고
시료와 튜브사이의 마찰력으로 서로가 교란될 가능성이 크며 채취된 시료가 도중에 유실되는 단점이 있다.
이와같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piston sampler나 foil sampler를 이용할 수 있다.
② 자연시료 채취기.
- 자연시료의 채취는 공학적으로 중요한 현장계수를 얻기 위하여 실시하지만 자연시료의 채취는 매우 어려운 작업이며 현장여건과 장비운영에 따라 성과의 차이가 생긴다.
③ 암석시료 채취기.
- 대상 토양이 비교적 단단한 경우에는 단단한 외부관 속에 내장된 얇은 내부관을 이용하는 이중관식 흙 시료채취기가 유리하며 토양이 더욱 단단하면 코아바렐식 흙시료 채취기가 사용된다. 암석시료 채취기는 코아바렐의 형태를 띠고 있으며 코아바렐의 형태에 따라 싱글코아바렐과 더블코아바렐로 구분한다.
7). 시추결과의 정리(시추 주상도).
시추결과는 시추과정에서 얻어진 각종 정보와 채취시료의 관찰결과를 정리한 시추 주상도로 표시하며 시추 주상도는 일반현황 부분과 세부조사 부분으로 구성된다. 일반현황 부분에는 지질정보 이외의 시추공에 관련된 각종 정보가 포함되며 일반적으로 시추공의 이름, 위치, 지하수위를 기록하며 이외에도 시추작업시간, 조사자, 발주자, 시추장비, 시추의 유형 등이 포함된다. 한편, 세부조사 부분에는 가능한 모든 정보가 간결하게 기재되어야 하는데, 흙 시료의 경우 입도, 입자의 모양, 색, 굳기, 다짐 정도, 함유물, 냄새, N값 등을 기록하며, 암석시료의 경우 암석의 종류, 강도, 풍화정도, 절리간격, 방향, 함유물, 코아회수율, RQD, 구성광물, 시간에 따른 변화특성 등을 기록한다.
- 시추 주상도의 예 -
-참고 문헌 및 자료 출처-
토목.건설 시공학, 성안당, 성태희 지음.
http://blog.naver.com/mirinaebae?Redirect=Log&logNo=5498584
http://blog.naver.com/ds3kgu/120047488944
http://blog.naver.com/leavin/30036730615
http://blog.naver.com/mirinaebae/5498584
http://cafe.naver.com/krm7/1319
http://cafe.naver.com/krm7/1320
추천자료
중국식 사회주의 이론분석 - 인물들을 중심으로
산사태 발생의 예지 및 복구 방안
미래 성장 동력 방문기
친환경 주거단지 “광장동 파크타운”
차세대 인프라 - 스마트하이웨이, 초장대교량, 수자원시스템, 해저터널, 지능형 국토정보 등-...
유아교육기관의 환경구성
토질시험 비중시험(KS F2308) A+자료 (논문형식)
슬러지 처리 공정
환경재료- 자연 재해에 있어 피해를 최소화 하는 재료기술
[HW_08]_하수관거 준설판단기준 및 준설방안
[유지관리][유지][관리][상하수도 유지관리][건축물 유지관리][기업 유지관리][소방시설 유지...
한옥을 활용한 환대산업
우체국 청사설계
5단계 CM PROCESS 및 실무적용 발표용.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