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정의
종류
관찰기록법
관찰자 훈련
관찰자간 신뢰도
연구의 장단점
연구 시 주의점
종류
관찰기록법
관찰자 훈련
관찰자간 신뢰도
연구의 장단점
연구 시 주의점
본문내용
를 여러 측면에서비교 분석해 봄으로 써 모나거나 왜곡된 관찰자를 가려서 재훈련시키거나 제외시킴으로써 가능하다. 즉, 최선 책은 관찰자가 문제점을 충분히 인식해서 가능한 한 피 관찰자들을 참견하거나 그들의 눈 에 띄지 않도록 한다.
③ 평정오차
- 관용오차: 관찰자들이 피험자들간의 명백한 개인차가 있을지라도 대부분의 피험자들에 게 동일한 평정 점수를 부여함으로써 생기는 오차.
- 집중경향오차: 관찰자가 피관찰자의 관찰측정점수를 척도의 중간점수에 치 우쳐 부여함 으로써 대부분의 피험자 평정점수가 평균점수에 몰리는 경향.
- 후광효과 오차: 관찰자가 어느 피험자에 대한 첫인상을 깊게 받음으로써, 그 피험자 의 거의 모든 행동특성에 대하여 처음 받은 인상 때문에 평정척도에 영향을 주는 경향.
④오염문제
편협성은 관찰자의 성향에 기인한 결과인 반면, 오염은 탐구하고자 하는 분야의 지식이 다 른 측면에서 기록된 자료에 대한 지각과 관련되어 영향 받아 변하는 문제이다.
관찰자의 기대도 강력한 오염원(사전-사후 관찰 형태로 전개될 때 결과를 더욱 왜곡시킨 다.)
※관찰자의 편협성, 평정오차 및 오염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한 사항.
가능한 객관적인 관찰.
연구가설, 설계 및 기대 등 연구정보를 관찰자에게 가능한 한 최소한으로 제공.
피험자의 배경이나 신상, 가정환경, 지능 등을 관찰자에게 알리지 않는다.
기록 오차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관찰형이나 관찰표를 구안하라.
관찰자를 연수 시킬 때 편협성을 철저히 검토하여 제거하라.
연구의 장단점
① 관찰연구의 장점
1) 질문지나 표준화 검사에서 측정할 수 없는 개인의 내면적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ex) 교직적성 시험지 면접을 통하여 학생들의 가치관을 물으면서 태도를 관찰
⇒ 교직적성검사에서 알아낼 수 없는 개인특성을 많이 파악할 수 있다.
2) 자기보고서에 의해 얻을 수 있는 자료보다 더 객관적인 자료를 얻을 수 있다.
ex) 교실에서 유아들간의 상호작용을 분석하기 위하여 비디오로 촬영한 내용을 관찰
⇒ 보다 자세하고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다.
② 관찰연구의 단점
1) 관찰기록은 관찰내용에 대한 관찰자의 견해가 반영되므로 관찰자의 편견이 개입 될 소지가 있다.
⇒ 이와같은 관찰자의 주관성은 관찰자 훈련과 관찰자내 신뢰도 및 관찰자간 신뢰도를 통하여 통제할 수 있다.
2) 관찰자에 의하여 관찰상황이 변화된다.
⇒ 참여관찰을 할 경우 연구대상의 행동이 부자연스러워지거나 연구목적에 부합하는 가식적인 행위를 하는 경우가 많다.
3)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 관찰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는 과정은 간단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많은 시간이 소 요되는 작업이다.
연구 시 주의점
① 관찰절차를 체계적으로 자세하게 설정해야 한다.
⇒ 무엇을 어떻게 관찰하고 기록하며 어떻게 사용하는지가 명료해야 한다.
② 관찰자 훈련을 실시해야 한다.
⇒ 각 관찰자마다 일관된 관찰을 시행할 뿐만 아니라 관찰자 간의 관찰결과가 일치하도록 관찰자들을 훈련시켜야 한다.
③ 관찰자간 신뢰도를 검증해야 한다.
⇒ 관찰자 훈련으로 관찰자간 신뢰도를 보장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관찰자 훈련이 철 저하였다고 하더라도 관찰결과를 연구에 적용하려면 관찰자간 신뢰도를 확인해야 한다.
④ 관찰 상황에 대한 고려가 있어야 한다.
⇒ 어떤 상황에서 그와 같은 결과가 나타났는지를 분석하면 관찰결과에 보다 많은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⑤ 관찰행동에 대한 표집의 대표성이 있어야 한다.
⇒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행동 중에서 나타나는 행위가 연구를 위하여 표집 되어야 연구결 과를 일반화시킬 수 있다.
⑥ 관찰결과의 해석이다.
⇒ 관찰결과를 객관적 입장에서 해석해야 한다.
③ 평정오차
- 관용오차: 관찰자들이 피험자들간의 명백한 개인차가 있을지라도 대부분의 피험자들에 게 동일한 평정 점수를 부여함으로써 생기는 오차.
- 집중경향오차: 관찰자가 피관찰자의 관찰측정점수를 척도의 중간점수에 치 우쳐 부여함 으로써 대부분의 피험자 평정점수가 평균점수에 몰리는 경향.
- 후광효과 오차: 관찰자가 어느 피험자에 대한 첫인상을 깊게 받음으로써, 그 피험자 의 거의 모든 행동특성에 대하여 처음 받은 인상 때문에 평정척도에 영향을 주는 경향.
④오염문제
편협성은 관찰자의 성향에 기인한 결과인 반면, 오염은 탐구하고자 하는 분야의 지식이 다 른 측면에서 기록된 자료에 대한 지각과 관련되어 영향 받아 변하는 문제이다.
관찰자의 기대도 강력한 오염원(사전-사후 관찰 형태로 전개될 때 결과를 더욱 왜곡시킨 다.)
※관찰자의 편협성, 평정오차 및 오염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한 사항.
가능한 객관적인 관찰.
연구가설, 설계 및 기대 등 연구정보를 관찰자에게 가능한 한 최소한으로 제공.
피험자의 배경이나 신상, 가정환경, 지능 등을 관찰자에게 알리지 않는다.
기록 오차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관찰형이나 관찰표를 구안하라.
관찰자를 연수 시킬 때 편협성을 철저히 검토하여 제거하라.
연구의 장단점
① 관찰연구의 장점
1) 질문지나 표준화 검사에서 측정할 수 없는 개인의 내면적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ex) 교직적성 시험지 면접을 통하여 학생들의 가치관을 물으면서 태도를 관찰
⇒ 교직적성검사에서 알아낼 수 없는 개인특성을 많이 파악할 수 있다.
2) 자기보고서에 의해 얻을 수 있는 자료보다 더 객관적인 자료를 얻을 수 있다.
ex) 교실에서 유아들간의 상호작용을 분석하기 위하여 비디오로 촬영한 내용을 관찰
⇒ 보다 자세하고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다.
② 관찰연구의 단점
1) 관찰기록은 관찰내용에 대한 관찰자의 견해가 반영되므로 관찰자의 편견이 개입 될 소지가 있다.
⇒ 이와같은 관찰자의 주관성은 관찰자 훈련과 관찰자내 신뢰도 및 관찰자간 신뢰도를 통하여 통제할 수 있다.
2) 관찰자에 의하여 관찰상황이 변화된다.
⇒ 참여관찰을 할 경우 연구대상의 행동이 부자연스러워지거나 연구목적에 부합하는 가식적인 행위를 하는 경우가 많다.
3)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 관찰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는 과정은 간단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많은 시간이 소 요되는 작업이다.
연구 시 주의점
① 관찰절차를 체계적으로 자세하게 설정해야 한다.
⇒ 무엇을 어떻게 관찰하고 기록하며 어떻게 사용하는지가 명료해야 한다.
② 관찰자 훈련을 실시해야 한다.
⇒ 각 관찰자마다 일관된 관찰을 시행할 뿐만 아니라 관찰자 간의 관찰결과가 일치하도록 관찰자들을 훈련시켜야 한다.
③ 관찰자간 신뢰도를 검증해야 한다.
⇒ 관찰자 훈련으로 관찰자간 신뢰도를 보장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관찰자 훈련이 철 저하였다고 하더라도 관찰결과를 연구에 적용하려면 관찰자간 신뢰도를 확인해야 한다.
④ 관찰 상황에 대한 고려가 있어야 한다.
⇒ 어떤 상황에서 그와 같은 결과가 나타났는지를 분석하면 관찰결과에 보다 많은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⑤ 관찰행동에 대한 표집의 대표성이 있어야 한다.
⇒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행동 중에서 나타나는 행위가 연구를 위하여 표집 되어야 연구결 과를 일반화시킬 수 있다.
⑥ 관찰결과의 해석이다.
⇒ 관찰결과를 객관적 입장에서 해석해야 한다.
추천자료
유아연구 및 평가
질적연구에 관한 종합적 보고서
단일 사례 연구 설계
수업관찰과 수업분석 목적, 수업관찰과 수업분석 특징, 수업관찰과 수업분석 주안점, 수업관...
관찰학습(관찰수업)의 의미, 관찰학습(관찰수업)의 성격, 관찰학습(관찰수업)의 전개와 모형,...
수업관찰과 수업분석의 정의, 기본전제, 수업관찰과 수업분석의 유형, 수업관찰과 수업분석의...
수업관찰과 수업분석의 가치, 수업관찰과 수업분석의 목적과 전제, 수업관찰과 수업분석의 주...
수업관찰과 수업분석의 기본방향, 수업관찰과 수업분석의 중요성, 수업관찰과 수업분석의 절...
유아교육평가 - 표집의 개념과 의의를 양적연구와 질적연구의 입장에서 설명하고 입장에 적합...
식사시 산만한 행동 (행동수정 이론적 배경, 사례연구 - 행동수정사례, 아동행동수정, 문제행...
[아동 행동수정 사례] 손가락을 빠는 행동 (행동수정사례, 아동행동수정, 문제행동, 아동행동...
욕하는 아이 (행동수정의 이론적 배경, 행동수정사례, 아동행동수정, 문제행동, 아동행동연구...
돌아다니면서 밥먹는 행동_행동수정사례, 아동행동수정, 문제행동, 아동행동연구, 아동행동지...
말을 듣지않는 행동(말안듣는아동, 행동수정사례, 아동행동수정, 문제행동, 아동행동연구, 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