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사도바울의 제1차 전도여행
Ⅲ. 사도바울의 제2차 전도여행
1. 빌립보 전도
2. 데살로니가와 베뢰아 전도
3. 아덴과 고린도 전도
4. 에베소 전도와 2차 전도여행의 마감
Ⅳ. 사도바울의 제3차 전도여행
참고문헌
Ⅱ. 사도바울의 제1차 전도여행
Ⅲ. 사도바울의 제2차 전도여행
1. 빌립보 전도
2. 데살로니가와 베뢰아 전도
3. 아덴과 고린도 전도
4. 에베소 전도와 2차 전도여행의 마감
Ⅳ. 사도바울의 제3차 전도여행
참고문헌
본문내용
갈라디아와 브루기아 땅을 다니며 모든 제자들을 굳게 하다가(행18:23), 에베소로 가서 전도하였는데(행19:1-41), 이곳 에베소에서 바울은 고린도 교회에 보내는 두개의 서신을 썼다(A.D.55-58). 데메드리오의 사건으로 에베소를 떠나 바울은 마게도냐와 아가야를 다니며 복음을 전하였다(행20:1-5). 바로 이때에 이 지방에 있는 고린도를 출발하기 직전에 로마서를 써 보내었다(A.D.57/58). 무교절 후에 바울은 빌립보에서 배를 타고 드로아로 가서 이레 동안 머물며 강론을 하였다(행20:6-12). 이 후 앗소에서 배를 타고 미둘레네, 기오, 사모를 거쳐 밀레도에 도착하였다(행20:13-16). 이곳에서 바울은 에베소 교회의 장로들을 불러 작별을 하고(행20:17-38), 행선하여 제자들의 반대에도 뿌리치고 예루살렘으로 향하는 여행을 떠났다(행21:1-17). 둘레마이에서 형제들에게 안부를 묻고 하루를 묵은 후 가이사랴에 이르러 빌립의 집에서 아가보라 하는 선지자로부터 예루살렘에 가지 말 것을 듣지만 계속 예루살렘으로 올라갔다. 예루살렘에 도착을 하여 형제들로부터 환영을 받았다(행21:17). 그러나 바울은 자신이 이방에 흩어진 유대인들에게 할례를 행하지 말라고 했다는 소문 때문에 유대인 신자들을 무마하기 위하여 정결예식을 행하였다. 그러나 아시아로부터 온 유대인들이 바울이 이방인 드로비오를 성전 안뜰로 데리고 들어왔다는 말로 군중을 충동하여 바울은 심하게 폭행을 당하였다(행21:28-29). 이 때 로마군 천부장의 도움을 받아 빠져 나왔다. 그러나 바울의 고발당한 이유를 확실하게 알기 위하여 천부장은 바울을 산헤드린 공회 앞에 데려갔다. 그러나 그곳에서도 바울을 죽이고자 하였지만 실패로 돌아가고 말았다(행22:30).
참고문헌
귄터 보른캄 편, 허혁 역(1987), 바울, 그의 생애와 사상,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김재현, 그리스도의 몸으로써의 교회 : 바울 서신을 중심으로, 한세대학교 신학원
조명옥(1992), 바울의 사도권이 고린도교회 선교사역에 끼친 영향, 아세아연합신학연구원, 석사 학위
조인창(2004), 목회자로서의 사도 바울에 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영신학대학원
E, P, Sanders, 이영립(2001), 바울, 시공사
Wm, M, Ramsay, 박우석 역(1994), 사도바울, 생명의 말씀사
V,P, 퍼니쉬 편, 김용옥 역(1982), 바울의 신학과 윤리, 대한기독교 출판사
참고문헌
귄터 보른캄 편, 허혁 역(1987), 바울, 그의 생애와 사상,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김재현, 그리스도의 몸으로써의 교회 : 바울 서신을 중심으로, 한세대학교 신학원
조명옥(1992), 바울의 사도권이 고린도교회 선교사역에 끼친 영향, 아세아연합신학연구원, 석사 학위
조인창(2004), 목회자로서의 사도 바울에 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영신학대학원
E, P, Sanders, 이영립(2001), 바울, 시공사
Wm, M, Ramsay, 박우석 역(1994), 사도바울, 생명의 말씀사
V,P, 퍼니쉬 편, 김용옥 역(1982), 바울의 신학과 윤리, 대한기독교 출판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