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백제시대]백제(백제시대)의 신화, 백제(백제시대)의 왕위계승, 백제(백제시대)의 복식, 백제(백제시대)의 고분, 백제(백제시대)의 건축, 백제(백제시대) 불상의 형식, 백제(백제시대)의 대외활동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백제][백제시대]백제(백제시대)의 신화, 백제(백제시대)의 왕위계승, 백제(백제시대)의 복식, 백제(백제시대)의 고분, 백제(백제시대)의 건축, 백제(백제시대) 불상의 형식, 백제(백제시대)의 대외활동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백제(백제시대)의 신화

Ⅱ. 백제(백제시대)의 왕위계승

Ⅲ. 백제(백제시대)의 복식
1. 관모
1) 문헌에 보이는 백제의 관모
2) 실제 출토유물에 보여지는 백제의 관모
2. 복식
3. 상의(포)
4. 하의
1) 고
2) 상
5. 수식(발양)

Ⅳ. 백제(백제시대)의 고분
1. 송산리 고분
1) 무령왕릉(Prt)
2) 무녕왕릉 진묘수(石獸)
2. 능산리 고분

Ⅴ. 백제(백제시대)의 건축

Ⅵ. 백제(백제시대) 불상의 형식
1. 존상의 형식
2. 배치구도 형식
1) 독존식
2) 이불병존식
3) 삼존식
4) 사방불식
5) 군상식
3. 재료에 따른 형식
1) 마애불상
2) 석불상
3) 금동불상
4) 소불상

Ⅶ. 백제(백제시대)의 대외활동

참고문헌

본문내용

는 황룡사의 단계적 조성과 함께 강력한 왕권의 확립을 나타낸 문화 의식의 표현이라 하겠다. 미륵사에는 중앙에 목탑을 세우고 좌우에 석탑을 두는 동시에 3금당을 둠으로써 국왕과 귀족 양자간의 균형을 나타내 주었다.
특히 무왕은 아막산성 패전을 왕권강화의 기회로 삼아 미륵사를 창건하였으며, 고구려와의 전쟁을 승리로 이끌면서 자신의 세력 확보에 일단 성공할 수 있었다. 동시에 왕흥사를 창건하여 귀족세력을 상징하는 호엄사에 대항하기도 하였다. 백제의 건축은 귀족과 왕전의 힘에 따라 그 방향의 궤를 달리 하였고 다분히 정치적인 힘의 상징으로 건축이 축조되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귀족과 왕의 정치적 권위에 맞는 화려함이 뒤따랐음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Ⅵ. 백제(백제시대) 불상의 형식
1. 존상의 형식
백제의 불상조각은 불상, 보살상, 나한상, 신장상, 기타 등으로 나눌 수 있는데 현재 불상과 보살상은 확인되지만 라한과 신장상 등은 확인되지 않고 있다.
2. 배치구도 형식
1) 독존식
독존형식의 불상은 불상 단독만으로 보완되는 형식인데 익산 연동리 석불상은 이 형식이 확실 하지만 다른 불상의 경우는 가령 보원사금동불입상 등은 이동이 가능한 상이므로 확연히 알 수 없다.
2) 이불병존식
백제불상에서는 발견된 예가없고 다만 두 불상이 나란히 서있는 정읍불입상만 발견되었다. 이 경우 일불이 없어졌을 가능성도 있었으므로 이불병입상이라고 단정할 수만 없다.
3) 삼존식
고대 불상에 가장 많이 등장하는 형식인데 본존불상과 좌우협시보살이 배치되는 삼존식이 일반식이며, 삼불을 배치하는 삼불형식도 있고, 불상좌우에 보살과 나한 또는 나한2구가 배치되는 경우도 있으며, 태안마애불의 경우 2불 1보살이 배치되는 특이한 예도 있다.
4) 사방불식
돌기둥이나 사각형 물체의 각면에 불상을 새겨 방위불을 상징하는 불상형식을 사방불형식이라 한다. 백제의 사방불은 근래에 발견된 예산석주사방불의 예가 있는데 현재까지 알려진 예로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불상이며 우리나라 사방불의 시원이 되는 불상이라 할 수 있다.
5) 군상식
삼존형식의 나한, 신장, 재가신장 등 다양한 협시들을 배치하여 파노라마식으로 배치하는 형식이다. 부여 정림사에서 출토된 망불상은 불, 보살, 제자상, 공양자상 등이 일종의 군도식 배치를 하고있다.
3. 재료에 따른 형식
1) 마애불상
마애불은 바위면에다가 돋을새김이나 선 새김 등의 기법으로 조각하기 때문에 손쉽게 조성할수 있어서 구석기시대 내지 신석기시대부터 발달한 것이다. 백제 마애불은 예산사방불, 태안마애불, 서산마애불 등 삼점밖에 알려져 있지 않지만 백제불상의 대표작일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불상의 대표작이다. 또한 이들은 중국과 인도의 불교문화와의 교류관계를 단적으로 알려주는 귀중한 예로써 중요시되고 있다.
2) 석불상
마애불상보다 기법적으로 더 발달했다고 생각되는 입체적인 조각이 바로 석불상이다. 환조로서 입체적으로 조형했기 때문에 보다 완벽한 아름다움을 나타내고 있어서 많은 사람들의 사랑을 받아왔다. 특히 종교적인 예배대상으로서는 가장 적합하기 때문에 본존으로 조형했는데 불교에서는 더욱 애용되었다. 붉은 사암제의 마투라불상, 검고 윤기나는 고귀한 간다라석불, 생명감을 느끼게하는 굽타석불 등은 아름다운 백대리석과 사암으로 이루어진 중국의 석불상에 이은 견고한 석질과 아름다운 색깔로 이루어진 화강암제의 우리나라 석불상은 세계제일의 석불상으로 평가될 수 있다. 백제의 석불은 납석제와 화강암제가 두루 있는편인데 모두 백제특유의 아름다움을 보여주고 있다.
3) 금동불상
백제불상에는 실제로 금동상 밖에 없다. 작은 소상은 상당수 금동상으로 조성한 것 같다. 현재까지 발견된 백제불상은 금동불이 압도적으로 많은 셈인데 20여점이 넘고있다. 앞으로도 더 많은 금동불상이 발견되리라 생각되지만 어쨌든 가장 중요한 재료별 불상이 바로 금동불상인 셈이다.
4) 소불상
흙을 빚어 만든 불상을 소불상이라 한다. 주로 진흙을 사용하는 것이 보편적이지만 진흙이외에도 석회가 많이나는 지역에는 석회를 사용하기도 하는데 이 경우도 소불상이라 부른다. 백제에서도 일찍부터 소불상을 조성했을 것이지만 현재 완전한 것은 정림사 소조작품들 밖에 남아있지 않아서 그 전모를 파악할 수 없다.
Ⅶ. 백제(백제시대)의 대외활동
한반도의 황해 연안은 한 대 이래로 한족(漢族)의 동방에 대한 주요 침공로였으며, 동시에 고대 상업으로서 문물의 교류에 중요한 통로였다. 한편, 낙랑과 대방은 그 전진 기지로서의 역할을 다하였다. 그런데 진(晋)이 몰락하고 해로에 익숙하지 못한 호족이 북중국을 점령함에 따라 전통적인 해상루트와 상업로는 중국 세력과 거리가 멀어졌다. 그리하여 지리적으로 유리한 백제는 해외 진출의 길을 닦아 나갔다. 그것은 백제가 대방군을 점유하고, 또 고구려의 압력으로 남하하는 낙랑 지방의 상업 세력도 포섭함으로써 더욱 촉진되어 갔다. 그리하여 요서 지방으로 진출, 요서군(遼西郡)을 설치하고, 그 뒤 남북조로 분열되었을 때에는 산둥 반도 지역(晋平 )으로 진출하게 되었다. 그리고 일본 지역으로의 진출을 보면, 일본 지역에는 삼한 시대부터 가야, 백제, 고구려계인 등이 진출하여 건설한 국가들이 생겨나 그들 국가는 일찍부터 백제의 고대 상업 세력에 의존하고 있었다. 이로써 백제는 수군을 증각시켜 한반도에서의 영토 확장보다는 중국과 일본 규수 지역으로 진출, 상업 세력 발전에 치중하는 활발한 대외 활동을 전개하였다.
참고문헌
- 강우방(1995), 한국 불교조각의 흐름, 대원사
- 김두진(1998), 백제 건국신화의 형성과 그 전승, 설화문학연구(하), 황패강선생고희기념논총 Ⅱ, 단국대출판부
- 노명호(1983), 백제 건국신화의 원형과 성립배경, 백제연구 20집, 충남대 백제문화연구소
- 문명대(1991), 백제불상의 형식과 내용, 백제의 조각과 미술, 공주대학교박물관
- 이기동(1981), 백제 왕실교대론에 대하여, 백제연구 12집, 충남대 백제연구소
- 이기백(1959), 백제왕위계승고, 역사학보 11호, 역사학회
- 지병규(1995), 백제 시조신화의 고찰, 사재동 편 한국서사문학사의 연구, 중앙문화사
  • 가격5,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9.03.14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290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