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칼 바르트 사상의 발전단계
Ⅲ. 칼 바르트의 교회론
Ⅳ. 칼 바르트의 투쟁
Ⅴ. 칼 바르트의 하나님의 나라
1. 로마서 주석 제1판(1919)
2. 로마서 주석 제2판(1921)
3. 교의학 시대(1932-1968)
Ⅵ. 결론
참고문헌
Ⅱ. 칼 바르트 사상의 발전단계
Ⅲ. 칼 바르트의 교회론
Ⅳ. 칼 바르트의 투쟁
Ⅴ. 칼 바르트의 하나님의 나라
1. 로마서 주석 제1판(1919)
2. 로마서 주석 제2판(1921)
3. 교의학 시대(1932-1968)
Ⅵ.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론(Teleologie), 진정한 종국을 향한 그 출발을 온갖 기교와 능변을 부려서 간과했는지 사람들은 알고 있다... 그 종말론적 전환 자체가... 반동으로서는 너무 강했다. 즉 독단적이고 전제적이었다.)에서 분명히 드러난다.
교회는 하나님 나라의 선행적 형태, 비유, 반영, 복사로서 완성될 하나님의 나라를 지시하고 이의 도래를 위해 기도하기 때문에, 교회는 하나님 나라의 혁명인 화해의 인식으로부터 유래했기 때문에, 사회의 부정적 요소들에 대한 비판적 역할과 더 나은 사회질서의 수립을 위한 건설적인 역할을 통하여 사회변혁을 위한 적합성을 실증할 수 있다. 교회는 이론적·실천적으로 더 나은 화해된 질서를 향해 진군하는 전위대, 선구자로서 자신을 입증할 수 있고 또 입증해야 한다. 그렇지만 바르트에 의하면 교회만이 하나님의 나라를 위해 적합성을 갖는 것은 아니다. 비록 주관적으로 인식하고 있지는 못하더라도, 세속적인 휴매니티, 우주의 빛들과 진리들도 하나님의 말씀을 매개하며, 사회민주주의는 인간적·정치적 세속성의 진정한 말씀으로, 예수 그리스도의 예언의 반사로 입증된다. 왜냐하면 사회민주주의는 그리스도교의 신앙고백의 정치적 차원과 내용적인 공통성을 갖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바르트에게서 하나님 나라의 혁명에의 인간참여는 특히 사회민주주의 안에서의 영속적 체제변혁, 영속적 개혁정치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Ⅵ. 결론
바르트는 예수의 가르침에 따라 일평생 하나님의 나라를 증거하려고 힘썼고, 예수의 실천에 따라 하나님의 나라 신학을 실천영역에 옮겨 놓고 스스로 실천해 보려고 애썼음을 알 수 있다. 그는 사망 직전에도 그의 친구 투르나이젠과의 마지막 통화에서도 ... 하나님이 통치하신다!는 말을 남겼다고 한다. 그렇지만 바르트는 자신을 결코 절대화하지 않았다. 그는 항상 복음을 새로이 가리키는 손, 예수 그리스도를 가리키는 세례요한의 손 이상이 되길 원하지 않았다. 그러므로 그는 그가 하나님과 이웃의 영광을 위하여 자기 나름대로 노력한 것을 나중의 사람들이 훨씬 더 잘해 주길 바랬다. 만약 그가 더 오래 살았다고 한다면, 하나님의 나라 신학을 어떻게 더 수정·심화할 수 있었을는지는 모르지만, 분명히 그는 다른 내용으로 이를 채우려고 애썼을 것이다. 그러므로 바르트의 하나님의 나라 이해는 마지막 해답이 아니라 새로운 질문이 되어야 할 것이다. 오늘 우리 시대에서 하나님의 나라 신학은 무엇이고, 하나님 나라의 일은 무엇인가? 바르트는 그의 대답을 통해서 보다는 오히려 이런 질문을 통하여 훨씬 더 가까이 우리에게 다가올 것이다.
참고문헌
◇ 김명용, 칼 바르트의 로마서 강해, 교회와 신학 제 20호, 장신대, 1988
◇ 대한기독교서회, 1990
◇ 데이비드 L. 뮬러, 이형기 역, 칼바르트의 신학사상, 양서각, 1988
◇ 이신건, 칼 바르트의 교회론, 성광문화사, 1989
◇ 윤성범, 칼 바르트, 대한기독교서회, 1968
◇ 코닐리어스 밴틸, 이상근 역, 칼 바르트, 성광문화사, 1980
◇ Otto Weber, 김광식 역, 칼 바르트의 교회 교의학
교회는 하나님 나라의 선행적 형태, 비유, 반영, 복사로서 완성될 하나님의 나라를 지시하고 이의 도래를 위해 기도하기 때문에, 교회는 하나님 나라의 혁명인 화해의 인식으로부터 유래했기 때문에, 사회의 부정적 요소들에 대한 비판적 역할과 더 나은 사회질서의 수립을 위한 건설적인 역할을 통하여 사회변혁을 위한 적합성을 실증할 수 있다. 교회는 이론적·실천적으로 더 나은 화해된 질서를 향해 진군하는 전위대, 선구자로서 자신을 입증할 수 있고 또 입증해야 한다. 그렇지만 바르트에 의하면 교회만이 하나님의 나라를 위해 적합성을 갖는 것은 아니다. 비록 주관적으로 인식하고 있지는 못하더라도, 세속적인 휴매니티, 우주의 빛들과 진리들도 하나님의 말씀을 매개하며, 사회민주주의는 인간적·정치적 세속성의 진정한 말씀으로, 예수 그리스도의 예언의 반사로 입증된다. 왜냐하면 사회민주주의는 그리스도교의 신앙고백의 정치적 차원과 내용적인 공통성을 갖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바르트에게서 하나님 나라의 혁명에의 인간참여는 특히 사회민주주의 안에서의 영속적 체제변혁, 영속적 개혁정치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Ⅵ. 결론
바르트는 예수의 가르침에 따라 일평생 하나님의 나라를 증거하려고 힘썼고, 예수의 실천에 따라 하나님의 나라 신학을 실천영역에 옮겨 놓고 스스로 실천해 보려고 애썼음을 알 수 있다. 그는 사망 직전에도 그의 친구 투르나이젠과의 마지막 통화에서도 ... 하나님이 통치하신다!는 말을 남겼다고 한다. 그렇지만 바르트는 자신을 결코 절대화하지 않았다. 그는 항상 복음을 새로이 가리키는 손, 예수 그리스도를 가리키는 세례요한의 손 이상이 되길 원하지 않았다. 그러므로 그는 그가 하나님과 이웃의 영광을 위하여 자기 나름대로 노력한 것을 나중의 사람들이 훨씬 더 잘해 주길 바랬다. 만약 그가 더 오래 살았다고 한다면, 하나님의 나라 신학을 어떻게 더 수정·심화할 수 있었을는지는 모르지만, 분명히 그는 다른 내용으로 이를 채우려고 애썼을 것이다. 그러므로 바르트의 하나님의 나라 이해는 마지막 해답이 아니라 새로운 질문이 되어야 할 것이다. 오늘 우리 시대에서 하나님의 나라 신학은 무엇이고, 하나님 나라의 일은 무엇인가? 바르트는 그의 대답을 통해서 보다는 오히려 이런 질문을 통하여 훨씬 더 가까이 우리에게 다가올 것이다.
참고문헌
◇ 김명용, 칼 바르트의 로마서 강해, 교회와 신학 제 20호, 장신대, 1988
◇ 대한기독교서회, 1990
◇ 데이비드 L. 뮬러, 이형기 역, 칼바르트의 신학사상, 양서각, 1988
◇ 이신건, 칼 바르트의 교회론, 성광문화사, 1989
◇ 윤성범, 칼 바르트, 대한기독교서회, 1968
◇ 코닐리어스 밴틸, 이상근 역, 칼 바르트, 성광문화사, 1980
◇ Otto Weber, 김광식 역, 칼 바르트의 교회 교의학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