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영양튜브 삽입(경관영양법)
2. 위관영양
1). 비위관 삽입 방법
2). 비위관을 통한 위관영양
3.경장영양
1). 경장영양의 적용과 금기환자
※경관급식을 통한 경장 영양의 장점
2). 경관급식의 공급경로
3). 경관영양의 주입방법
2. 위관영양
1). 비위관 삽입 방법
2). 비위관을 통한 위관영양
3.경장영양
1). 경장영양의 적용과 금기환자
※경관급식을 통한 경장 영양의 장점
2). 경관급식의 공급경로
3). 경관영양의 주입방법
본문내용
보다 경관급식을 통한 경장 영양이 우선적으로 고려되야 한다.
2). 경관급식의 공급경로
3). 경관영양의 주입방법
①볼루스 주입법(Bolus feeding)
적절한 주입 용기(예: 주사기)를 사용하여 하루에 여러 차례에 걸쳐 영양액을 주입하는 방법이다. (예, 1500kcal/1500cc 공급시: 250cc/1-5분간×1일 6회)
이는 짧은 시간동안 과량의 영양액이 주입되는 공급 방법이다.
주입속도가 빨라 흡인과 위장관 부적응의 가능성이 큰 방법으로 중환자나 경관급식의 부적응을 보이는 환자에게는 적합치 않다. 비교적 경관급식에 적응을 잘하고 위장관 기능이 정상이며 자유로운 보행이 가능한 환자 또는 회복기의 환자에게 적용될 수 있다. 주입이 용이하고 시간소요가 적으며 피딩백(feeding bag)이나 피딩펌프(feeding pump)등이 필요치 않아 비용이 적게 드는 장점이 있다.
②지속주입(Continuous feeding)
지속주입은 중력을 이용하거나 주입펌프를 이용하여 20-24시간에 걸쳐 천천히 영양액을 주입하는 방법이다.
(예, 1500kcal/1500cc 공급 시: 75cc/1hr×20시간) 처음 경관급식 시작 시, 볼루스 주입이나 간헐적 주입에 적응하지 못하는 환자의 경우, 영양불량이 심하거나 중환자의 경우, 볼루스 주입으로는 혈당 조절이 안 되는 당뇨 환자의 경우 적용되는 방법이다.
지속주입의 장점은 흡인의 위험과 위잔여물을 최소화하고 구토, 설사등 위장관 부적응이 가장 적은 것이다.
그러나 장시간 영양액 주입에 따라 환자 활동의 제약이 따르고 주입 펌프나 피딩백 등 관련된 기기의 비용 부담이 따른다는 단점이 있다.
③간헐적 주입(Intermittent feeding)
간헐적 주입은 볼루스 공급에 비해서는 속도가 느리지만 지속주입에 비해서는 속도가 빠른 주입 방법으로 볼루스 주입과 지속주입의 중간에 해당하는 공급 방법이다. 중력을 이용하여 1일 3-5회로 나누어 1회 2-3시간 동안 주입하게 된다. (예, 1500kcal/1500cc 300cc/2hr×1일 5회) 즉, 하루 중 8시간이나 18시간 동안 중력이나 펌프를 이용하여 일정량의 영양액을 공급한다. 지속주입에 비해 주입속도가 빨라 흡인과 위장관 부적응의 발생 가능성이 다소 높으나 보다 경제적이고 환자의 행동이 보다 자유로워 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④주기적 주입(Cyclic feeding)
밤시간 동안 8-16시간에 걸쳐 펌프를 사용하여 다소 빠른 속도로 지속 주입하는 방법이다.
이 주입 방법은 낮시간 동안 환자가 경관급식으로부터 자유롭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낮시간에 경관급식을 장기간 동안 공급받을 수 없는 환자나, 경관급식에서 구강섭취로 이행하는 전환급식(transitional feeding) 시기의 환자에게 낮시간 동안 구강섭취가 증가되도록 하는데 도움이 된다.
비교적 단시간에 요구량 만큼의 영양소를 공급하기 위해 다소 빠르게 주입되야 하므로 영양액을 농축시켜 제공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고 위장관 부적응의 가능성이 다소 높다.
2). 경관급식의 공급경로
3). 경관영양의 주입방법
①볼루스 주입법(Bolus feeding)
적절한 주입 용기(예: 주사기)를 사용하여 하루에 여러 차례에 걸쳐 영양액을 주입하는 방법이다. (예, 1500kcal/1500cc 공급시: 250cc/1-5분간×1일 6회)
이는 짧은 시간동안 과량의 영양액이 주입되는 공급 방법이다.
주입속도가 빨라 흡인과 위장관 부적응의 가능성이 큰 방법으로 중환자나 경관급식의 부적응을 보이는 환자에게는 적합치 않다. 비교적 경관급식에 적응을 잘하고 위장관 기능이 정상이며 자유로운 보행이 가능한 환자 또는 회복기의 환자에게 적용될 수 있다. 주입이 용이하고 시간소요가 적으며 피딩백(feeding bag)이나 피딩펌프(feeding pump)등이 필요치 않아 비용이 적게 드는 장점이 있다.
②지속주입(Continuous feeding)
지속주입은 중력을 이용하거나 주입펌프를 이용하여 20-24시간에 걸쳐 천천히 영양액을 주입하는 방법이다.
(예, 1500kcal/1500cc 공급 시: 75cc/1hr×20시간) 처음 경관급식 시작 시, 볼루스 주입이나 간헐적 주입에 적응하지 못하는 환자의 경우, 영양불량이 심하거나 중환자의 경우, 볼루스 주입으로는 혈당 조절이 안 되는 당뇨 환자의 경우 적용되는 방법이다.
지속주입의 장점은 흡인의 위험과 위잔여물을 최소화하고 구토, 설사등 위장관 부적응이 가장 적은 것이다.
그러나 장시간 영양액 주입에 따라 환자 활동의 제약이 따르고 주입 펌프나 피딩백 등 관련된 기기의 비용 부담이 따른다는 단점이 있다.
③간헐적 주입(Intermittent feeding)
간헐적 주입은 볼루스 공급에 비해서는 속도가 느리지만 지속주입에 비해서는 속도가 빠른 주입 방법으로 볼루스 주입과 지속주입의 중간에 해당하는 공급 방법이다. 중력을 이용하여 1일 3-5회로 나누어 1회 2-3시간 동안 주입하게 된다. (예, 1500kcal/1500cc 300cc/2hr×1일 5회) 즉, 하루 중 8시간이나 18시간 동안 중력이나 펌프를 이용하여 일정량의 영양액을 공급한다. 지속주입에 비해 주입속도가 빨라 흡인과 위장관 부적응의 발생 가능성이 다소 높으나 보다 경제적이고 환자의 행동이 보다 자유로워 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④주기적 주입(Cyclic feeding)
밤시간 동안 8-16시간에 걸쳐 펌프를 사용하여 다소 빠른 속도로 지속 주입하는 방법이다.
이 주입 방법은 낮시간 동안 환자가 경관급식으로부터 자유롭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낮시간에 경관급식을 장기간 동안 공급받을 수 없는 환자나, 경관급식에서 구강섭취로 이행하는 전환급식(transitional feeding) 시기의 환자에게 낮시간 동안 구강섭취가 증가되도록 하는데 도움이 된다.
비교적 단시간에 요구량 만큼의 영양소를 공급하기 위해 다소 빠르게 주입되야 하므로 영양액을 농축시켜 제공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고 위장관 부적응의 가능성이 다소 높다.
추천자료
화상 그리고 영양
[간호학]기본간호요약1
영양튜브삽입 및 위관영양과 경장영양
전남대학교 8A 사전학습 {수술 전후 간호, 수술환자의 pre op. medication 약물의 종류와 사...
[영양지원] 경장영양지원(경구보충, 경관급식, 경관영양액, 경관영양, 경관급식 투여방법, 경...
PEG(Percutaneous Endoscopic Gastrostomy; 경피적 내시경하 위루술)
성인간호학 공통형(2020) 경장영양 합병증 및 혈액투석과 복막투석의 비교 등 주관식형 과제물
성인간호학실습 - 폐렴 A+
2024년 1학기 성인간호학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영양지원방법의 유형 비교, 당뇨병)
급성췌장염 문헌고찰(급성췌장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