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문헌고찰
1. 원인
2. 병태생리
3. 증상
4. 합병증
5. 진단
6. 치료
7. 예방
간호사정
1. 건강사정
1) 일반정보
2) 입원동기
3) 과거병력
4) 최근투약
5) 가족병력
6) 알레르기
7) 신체사정
8) 의식 및 정서 상태
9) 습관
2. Admission Note
3. 진단검사
4. 투약
간호과정
문헌고찰
문헌고찰
1. 원인
2. 병태생리
3. 증상
4. 합병증
5. 진단
6. 치료
7. 예방
간호사정
1. 건강사정
1) 일반정보
2) 입원동기
3) 과거병력
4) 최근투약
5) 가족병력
6) 알레르기
7) 신체사정
8) 의식 및 정서 상태
9) 습관
2. Admission Note
3. 진단검사
4. 투약
간호과정
문헌고찰
본문내용
따라서 사용횟수를 정한다
금기
클로로헥시딘에 과민한 환자
부작용
드물게 피부염, 접촉과민, 광과민이 일어날 수 있다. 클로르헥시딘에 대한 아나필락반응이 보고된 바가 있으나 드물다
Prepenem 500mg
분류
주로 그람 양성, 음성균에 작용하는 것
효능
1. 유효균종: 포도구균쇽, 연쇄구균속, 대장균, 발테로이드쇽, 펩토구균쇽 2. 적응증: 기관지염, 기관지 확장증(감염시), 폐염, 농흉, 관절염, 전안구염
용법
보통 500mg을 생리식염액 100ml에 잘 진탕하여 용해한다. 단, 주사용 증류수는 용액이 등장이 아니므로 사용해서는 안된다. 전산염과는 배합금기이므로 젖산염을 함유한 용액으로 용해하지 않는다
금기
1. 본제에 과민증의 기왕력자
부작용
1. 쇽: 드물게 쇽 증상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관찰을 충분히 하고 불쾌감, 구내이상감, 천명, 어지러움, 번역, 이명, 발한 등의 증상이 있는 경우 투여 중지 2. 혈액: 백혈구 감소, 때때로 무과림구증, 호산구증가, 호염기구증가, 림프구증가 등 3. 과민증: 때때로 발진, 두드러기, 홍조, 홍반, 가려움, 발열 등 4. 소화기계: 드물게 발열, 복통, 설사, 구역, 구토, 식욕부진 5. 호흡기계: 드물게 발열, 기침, 호흡곤란 등 6. 균교대증: 드물게 구내염, 칸디다증
간호과정
간호진단
**상처부위와 관련된 감염의 위험성
**부적절한 혈당조절과 관련된 지식부족
**당뇨에 대한 지식부족과 관련된 비효율적 개인 대처
**질병과 관련된 변비
간 호 진 단
# 1. 간호진단명 : 상처부위와 관련된 감염의 위험성
▶ 과학적 근거 : 위험한 물질에 오염되었거나 접촉한 물질을 사용하기에는 잠재적으로 불안정한 상태
▶ 주관적 자료(S.D) : \"발에 상처가 있는데 이거 덧나면 어떻하겠노?\"
▶ 객관적 자료(O.D) : WBC가 4.54(3/7), 4.47(3/13)로 측정되었다.
간 호 계 획
간호진단명
상처부위와 관련된 감염의 위험성
목 표
상처부위에 감염의 징후가 보이지 않을 것이다.
단기목표 : 감염의 위험성이 감소한다.
장기목표 : 감염의 징후가 보이지 않는다.
계 획 및 수 행
1. 환자와 접촉하기 전, 후에 손을 씻는다.
2. 감염을 예고하는 고체온과 빈맥의 관찰을 위해 V/S을 측정한다.
3. 상처 치유를 위해 적절하게 균형잡힌 식이를 섭취하도록 격려한다.
4. 발을 적절한 씻기와 말리기, 윤활제 바르기를 권장한다.
5. 매일 발에 발적이나 물집, 갈라진 틈, 피부경결, 궤양 등이 있는지 관찰한다.
6. 신발 안에 거친 면이나 이물질이 있는지 살핀다.
7. 맨발로 걷는 것이나 발에 가열된 깔개를 사용하는 것, 앞이 트인 신발을 신는 것, 피부경결을 깎아내는 것 등은 피하도록 한다.
8. 발톱은 양끝을 둥글게 하지 말고 직선으로 다듬어야 한다.
간 호 평 가
감염의 징후인 고체온과 빈맥이 나타나지 않았다.
간 호 진 단
# 2. 간호진단명 : 부절절한 혈당조절과 관련된 지식부족
▶ 과학적 근거 : 혈액 속의 당량이 병적으로 증가되어 있는 상태
▶ 주관적 자료(S.D) : “난 뭐 먹은 것도 없는데 혈당이 높은 지 모르겠다.”
\"어차피 재봤자 높게 나오는데 뭘 또 귀찮게 재냐?\"
▶ 객관적 자료(O.D) : 혈당이 지속적으로 정상치보다 높게 측정된다.
간 호 계 획
간호진단명
부적절한 혈당조절과 관련된 지식부족
목 표
혈당 수치가 안정되어 정상적인 활동 양상을 보일 것이다.
단기목표 : 1주일 안에 혈당이 정상수준으로 측정된다.
장기목표 : 한 달 안에 자가 혈당조절을 하여 지속적으로 정상수준의 혈당으로 유지된다.
계 획 및 수 행
1. v/s을 측정한다.
2. 매일 혈당을 측정한다.
3. (팜플렛을 이용하여)질병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4. 식이요법, 운동요법의 중요성에 대해 교육한다.
5. (팜플렛을 이용하여)당뇨 합병증에 대해 설명한다.
6. 식후 걷는 운동을 권장한다.
7. (팜플렛을 이용하여)저혈당 증상에 대해서도 설명한다.
(공복감, 떨림, 오한, 식은땀, 가슴떨림, 불안감)
간 호 평 가
대상자가 이해하고 실행은 하고 있으나 지켜지지 않음.
간 호 진 단
# 3. 간호진단명 : 질병과 관련된 변비
▶ 과학적 근거 : 대장을 포함하는 자율신경증과 관련이 있는 대장 무긴장증이나 확장
▶ 주관적 자료(S.D) : \"변은 뭐 누고 싶을 때 누는건데, 변을 봐도 시원하지 않다.\"
\"물은 먹고 싶을 때 마시는데 얼마나 먹어야 좋노?\"
\"배가 더부룩하다\"
▶ 객관적 자료(O.D) : 아랫배가 딱딱함.
간 호 계 획
간호진단명
질병과 관련된 변비
목 표
대상자는 정상적인 배변양상을 보일 것이다.
단기목표 : 2~3일 내에 배변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장기목표 : 2주일 내에 변비에 대한 호소를 하지 않을 것이다.
계 획 및 수 행
1. 변비의 증상과 징후를 사정한다.
2. 정상적인 배변양상의 개인 차이를 설명한다.
3. 날마다 자신의 배변양상을 기록하도록 한다.
4. 변의를 느낄 때마다 참지 말고 배변하도록 격려한다.
5. 배변시 무리한 힘을 주면 치질, 치열, 부정맥 등을 일으킬 위험이 있다는 것을 설명한다.
6. 많은 양의 물(약 1.5~2L)을 마시도록 교육한다.
7. 활동 양을 증가시킨다.
8. 고섬유성 식이섭취를 증가하도록 교육하고, 필요하다면 처방된 당뇨 식이에 고섬유소성 식이를 첨가하도록 돕기 위해 식이 상담을 받도록 한다.
9. 금기가 아니라면 배변을 위해 변기 위에 high Fowler체위를 취하도록 격려한다.
10. 규칙적인 시간에 배변을 하도록 하고, 가급적이면 식사 1시간 내에 대변을 보도록 격려한다.
11. 복부를 촉진한다.
간 호 평 가
규칙적이지는 않지만 배변 후 불편감을 호소하지 않으셨다.
문헌고찰
ㆍ성인간호학 下ㆍ2(2005), 전시자외, 현문사
ㆍ최신임상간호메뉴얼(1999), 유혜영외, 현문사
ㆍ기본간호학(2000), 홍근표외, 수문사
ㆍ간호진단과 계획(2006), 김분한외, 서울대학교출판부
ㆍ표준화된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분류(2003), 최순희외, 정문각
ㆍhttp://www.diabetes.or.kr/ 대한당뇨병학회
www.kimsonline.co.kr
금기
클로로헥시딘에 과민한 환자
부작용
드물게 피부염, 접촉과민, 광과민이 일어날 수 있다. 클로르헥시딘에 대한 아나필락반응이 보고된 바가 있으나 드물다
Prepenem 500mg
분류
주로 그람 양성, 음성균에 작용하는 것
효능
1. 유효균종: 포도구균쇽, 연쇄구균속, 대장균, 발테로이드쇽, 펩토구균쇽 2. 적응증: 기관지염, 기관지 확장증(감염시), 폐염, 농흉, 관절염, 전안구염
용법
보통 500mg을 생리식염액 100ml에 잘 진탕하여 용해한다. 단, 주사용 증류수는 용액이 등장이 아니므로 사용해서는 안된다. 전산염과는 배합금기이므로 젖산염을 함유한 용액으로 용해하지 않는다
금기
1. 본제에 과민증의 기왕력자
부작용
1. 쇽: 드물게 쇽 증상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관찰을 충분히 하고 불쾌감, 구내이상감, 천명, 어지러움, 번역, 이명, 발한 등의 증상이 있는 경우 투여 중지 2. 혈액: 백혈구 감소, 때때로 무과림구증, 호산구증가, 호염기구증가, 림프구증가 등 3. 과민증: 때때로 발진, 두드러기, 홍조, 홍반, 가려움, 발열 등 4. 소화기계: 드물게 발열, 복통, 설사, 구역, 구토, 식욕부진 5. 호흡기계: 드물게 발열, 기침, 호흡곤란 등 6. 균교대증: 드물게 구내염, 칸디다증
간호과정
간호진단
**상처부위와 관련된 감염의 위험성
**부적절한 혈당조절과 관련된 지식부족
**당뇨에 대한 지식부족과 관련된 비효율적 개인 대처
**질병과 관련된 변비
간 호 진 단
# 1. 간호진단명 : 상처부위와 관련된 감염의 위험성
▶ 과학적 근거 : 위험한 물질에 오염되었거나 접촉한 물질을 사용하기에는 잠재적으로 불안정한 상태
▶ 주관적 자료(S.D) : \"발에 상처가 있는데 이거 덧나면 어떻하겠노?\"
▶ 객관적 자료(O.D) : WBC가 4.54(3/7), 4.47(3/13)로 측정되었다.
간 호 계 획
간호진단명
상처부위와 관련된 감염의 위험성
목 표
상처부위에 감염의 징후가 보이지 않을 것이다.
단기목표 : 감염의 위험성이 감소한다.
장기목표 : 감염의 징후가 보이지 않는다.
계 획 및 수 행
1. 환자와 접촉하기 전, 후에 손을 씻는다.
2. 감염을 예고하는 고체온과 빈맥의 관찰을 위해 V/S을 측정한다.
3. 상처 치유를 위해 적절하게 균형잡힌 식이를 섭취하도록 격려한다.
4. 발을 적절한 씻기와 말리기, 윤활제 바르기를 권장한다.
5. 매일 발에 발적이나 물집, 갈라진 틈, 피부경결, 궤양 등이 있는지 관찰한다.
6. 신발 안에 거친 면이나 이물질이 있는지 살핀다.
7. 맨발로 걷는 것이나 발에 가열된 깔개를 사용하는 것, 앞이 트인 신발을 신는 것, 피부경결을 깎아내는 것 등은 피하도록 한다.
8. 발톱은 양끝을 둥글게 하지 말고 직선으로 다듬어야 한다.
간 호 평 가
감염의 징후인 고체온과 빈맥이 나타나지 않았다.
간 호 진 단
# 2. 간호진단명 : 부절절한 혈당조절과 관련된 지식부족
▶ 과학적 근거 : 혈액 속의 당량이 병적으로 증가되어 있는 상태
▶ 주관적 자료(S.D) : “난 뭐 먹은 것도 없는데 혈당이 높은 지 모르겠다.”
\"어차피 재봤자 높게 나오는데 뭘 또 귀찮게 재냐?\"
▶ 객관적 자료(O.D) : 혈당이 지속적으로 정상치보다 높게 측정된다.
간 호 계 획
간호진단명
부적절한 혈당조절과 관련된 지식부족
목 표
혈당 수치가 안정되어 정상적인 활동 양상을 보일 것이다.
단기목표 : 1주일 안에 혈당이 정상수준으로 측정된다.
장기목표 : 한 달 안에 자가 혈당조절을 하여 지속적으로 정상수준의 혈당으로 유지된다.
계 획 및 수 행
1. v/s을 측정한다.
2. 매일 혈당을 측정한다.
3. (팜플렛을 이용하여)질병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4. 식이요법, 운동요법의 중요성에 대해 교육한다.
5. (팜플렛을 이용하여)당뇨 합병증에 대해 설명한다.
6. 식후 걷는 운동을 권장한다.
7. (팜플렛을 이용하여)저혈당 증상에 대해서도 설명한다.
(공복감, 떨림, 오한, 식은땀, 가슴떨림, 불안감)
간 호 평 가
대상자가 이해하고 실행은 하고 있으나 지켜지지 않음.
간 호 진 단
# 3. 간호진단명 : 질병과 관련된 변비
▶ 과학적 근거 : 대장을 포함하는 자율신경증과 관련이 있는 대장 무긴장증이나 확장
▶ 주관적 자료(S.D) : \"변은 뭐 누고 싶을 때 누는건데, 변을 봐도 시원하지 않다.\"
\"물은 먹고 싶을 때 마시는데 얼마나 먹어야 좋노?\"
\"배가 더부룩하다\"
▶ 객관적 자료(O.D) : 아랫배가 딱딱함.
간 호 계 획
간호진단명
질병과 관련된 변비
목 표
대상자는 정상적인 배변양상을 보일 것이다.
단기목표 : 2~3일 내에 배변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장기목표 : 2주일 내에 변비에 대한 호소를 하지 않을 것이다.
계 획 및 수 행
1. 변비의 증상과 징후를 사정한다.
2. 정상적인 배변양상의 개인 차이를 설명한다.
3. 날마다 자신의 배변양상을 기록하도록 한다.
4. 변의를 느낄 때마다 참지 말고 배변하도록 격려한다.
5. 배변시 무리한 힘을 주면 치질, 치열, 부정맥 등을 일으킬 위험이 있다는 것을 설명한다.
6. 많은 양의 물(약 1.5~2L)을 마시도록 교육한다.
7. 활동 양을 증가시킨다.
8. 고섬유성 식이섭취를 증가하도록 교육하고, 필요하다면 처방된 당뇨 식이에 고섬유소성 식이를 첨가하도록 돕기 위해 식이 상담을 받도록 한다.
9. 금기가 아니라면 배변을 위해 변기 위에 high Fowler체위를 취하도록 격려한다.
10. 규칙적인 시간에 배변을 하도록 하고, 가급적이면 식사 1시간 내에 대변을 보도록 격려한다.
11. 복부를 촉진한다.
간 호 평 가
규칙적이지는 않지만 배변 후 불편감을 호소하지 않으셨다.
문헌고찰
ㆍ성인간호학 下ㆍ2(2005), 전시자외, 현문사
ㆍ최신임상간호메뉴얼(1999), 유혜영외, 현문사
ㆍ기본간호학(2000), 홍근표외, 수문사
ㆍ간호진단과 계획(2006), 김분한외, 서울대학교출판부
ㆍ표준화된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분류(2003), 최순희외, 정문각
ㆍhttp://www.diabetes.or.kr/ 대한당뇨병학회
www.kimsonline.co.kr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