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신부전 케이스스터디 (case study)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만성신부전 케이스스터디 (case study)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Ⅱ. 문헌고찰
A. chronic renal failure
B. kidney biopsy
C. diabetes mellitus

Ⅲ. CASE STUDY
A. 건강사정
B. 진단검사
1)Hematology
2)ABGA
3)UA
4)영상의학 판독 보고서
5)림프구아형검사
C. 약물
D. 치료경과 및 계획
E. 간호과정(SOAPIE)
1) 침습적 시술과 관련된 감염위험성
2) 수면장애와 관련된 비효과적인 대응
3) 자가간호와 관련된 비효율적 대처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호흡
(회)
혈압
(mmHg)
10:00
36.7
62
17
110/60
13:00
36.8
71
19
110/70
10/21
체온
(℃)
맥박
(회)
호흡
(회)
혈압
(mmHg)
10:00
37.1
63
21
120/70
13:00
36.9
68
17
110/70
10/22
체온
(℃)
맥박
(회)
호흡
(회)
혈압
(mmHg)
10:00
37.1
76
22
130/70
13:00
37.3
74
18
120/60
3. CBC검사를 통하여 감염징후를 감시하였다.
항목
10/19
정상범위
임상적의의
CBC
WBC
5.68
3.91-10.33
감염, 백혈병, 조직괴사
RBC
3.58
3.75-5.48
-
CRP
5.2
0-0.5
염증, 종양, 감염괴사, 임신중 독증, 매독, 폐렴, 류머티스성 관절염
4. 양쪽 팔 발적부위에 3시간 마다 박트로신 연고를 발라주고 거즈를 대어주었다.
5. 수분섭취를 촉진시켰다.
6. 상처부위 접촉을 자제하고 감염예방교육을 실시하였다.
간호평가
스스로 연고를 바르고 거즈를 감을 수 있다.
간호진단
수면장애와 관련된 비효과적인 대응
간호사정
주관적자료
“나는 약을 안먹으면 잠을 못자”
“병실이 너무 시끄러워, 안쪽에 있는 방으로 옮겨줘”
·밤에 잠을 자는 모습이 보였지만 대상자는 계속 잠에서 깨 제대로 수면을 취할수 없었다고 함.
객관적자료
·Remeron, Loravan, Seroquel 등 항우울제, 항불안제, 항정신병 약을 복용함
·새벽에 잠에서 깨 평균 2회이상 화장실에 감
간호목표
단기목표
7일 이내에 적절한 수면을 취하였다고 말한다.
장기목표
약물에 대한 의존을 줄이고 자는동안 잠에서 깨지 않는다.
간호계획
1. 처방된 약물의 적절한 시간과 양을 지켜 복용한다.
2. 낮동안 적절한 양의 활동을 유지한다.
3. 자기 전 수면준비를 갖춰 밤동안 잠에서 깨지 않도록 한다.
4. 병실 소음을 줄이고 안정을 취할 수 있도록 유지한다.
5. 순번이 다가 온 경우 병실이동을 권고한다.
6. I/O check를 하고 저녁이후 normal saline의 주입량을 감소시킨다.
이론적 근거
1. 약물의 부적절한 복용은 약물에 대한 의존을 증가시키고 약에 대한 내성과 용량증가를 유발한다.
2. 낮동안 적절한 활동을 유지함으로 인해 취침 시 쉽게 잠들 수 있다.
3. 잠자기 전 화장실에 다녀오고 수면준비를 갖춰 필요에 의해 잠에서 깨는 일을 없앤다.
4. 병실의 소음을 감소시키고 원할 시 커텐을 사용하고 조명을 조절하여 안정을 취할 수 있도록 한다.
5. 병실이동이 가능한 경우 병실위치를 변경한다.
6. 밤동안 배뇨활동으로 인하여 잠에서 깨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간호중재
1. 처방된 약물의 적절한 시간과 양을 지켜 복용하였다.
2. 낮동안 적절한 양의 산책과 활동을 하였다.
3. 자기 전 화장실을 다녀오고 창문과 병실 문을 닫고 온도와 조명을 조절하는 등의 취침준비를 하였다.
4. 병실 소음을 줄이고 안정을 취할 수 있도록 유지하였다.
5. 병실이동을 신청하여 대기중이다.
6. I/O check를 하고 저녁이후 normal saline의 주입량을 감소시켰다.
day
evening
night
0.9% N/S 1000ml
800
경구
700
400
300
5% DW 500ml/BAG
200
합계
2400
self voiding
day
evening
night
650
400
1000
합계
2050
간호평가
“어젯밤에는 그래도 평소보다 좀 덜깬것 같아”
간호진단
자가간호와 관련된 비효율적 대처
간호사정
주관적자료
“혈당 원래 그정도로 나와”
객관적자료
·BST 공복시 183 으로 평균 200내외에서 유지됨
·당뇨식이 제공하지만 과일이나 다른 음식들을 수시로 챙겨먹는 것을 관찰함
간호목표
단기목표
7일 이내로 처방된 적절한 식습관을 지킨다.
7일 이내로 당뇨예방법에 대해 3개이상 말할 수 있다.
장기목표
BST 수치가 정상범위 내외로 유지된다.
간호계획
1. 아침, 점심, 저녁으로 병원에서 당뇨식이를 제공한다.
2. 당이 많이 들은 음식과 과일들에 대해서 교육한다.
3. 5시간 간격으로 BST를 측정하여 수치를 사정한다.
4. 피부간호에 대해 교육한다.
5. 혈당의 정상수치를 교육하고 평균보다 수치가 높다는 것을 인지시킨다.
이론적 근거
1. 당뇨식이를 제공해 영양분과 칼로리를 조정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2. 과일은 무조건 몸에 좋다는 편견을 없애고 당이 많은 과일들에 대해 인지하도록 한다.
3. 5시간 간격으로 BST를 측정해 수치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즉각적인 care를 할 수 있도록 한다.
4. 당뇨환자의 손과 발 등 말초부위 관리를 스스로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5. 혈당의 정상수치를 인지시키고 수치가 높음에 대한 위험성에 대해 인식시키기 위함이다.
간호중재
1. 연식 당뇨식이 1500kcal 아침, 점심, 저녁으로 병원에서 제공하였으며 병원밥 이외의 식사는 삼가도록 교육하였다.
2. 당이 많이 들은 음식과 과일들에 대해서 교육하였고 먹은 음식이나 과일의 개수, 양을 기록하도록 하였다.
3. 5시간 간격으로 BST를 측정하여 수치를 사정하였다.
BST(mg/dL)
10/21
10/22
AM06:00
165
177
AM11:00
226
240
PM04:00
206
111
PM09:00
183
274
4. 당뇨환자의 손과 발간호를 교육하고 피부를 깨끗이 씻고 습하지 않고 건조하게 유지하며 로션 등으로 피부를 보호하도록 교육하였다.
5. 8시간 이상 금식 후 100mg/dL 미만, 식사시간과 관계없이 200mg/dL 미만, 식후 2시간 혈당이 140mg/dL미만이 되어야 정상수치임을 인지시키고 BST측정 직후 수치를 환자에게 알려주었다.
간호평가
손과 발을 자주 씻고 습하지 않게 잘 닦아주었다.
BST 측정 후 수치에 관심을 가지고 수치가 몇인지 궁금해하며 물었다.
*성인간호학 (수문사)
*네이버건강, 네이버약물검색
*대한의학학회
*드러그인포(www.druginfo.co.kr)
*킴스온라인( www.kimsonline.co.kr )
*NANDA 간호진단
*국가건강정보포털(http://health.mw.go.kr/Main.do)
*보건복지부
  • 가격3,0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16.03.10
  • 저작시기2014.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9598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