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수형도
계층성
구성소
관할
선행
교차분지제약
구성소 판별법
성분통어
주어-동사일치
대용어
재귀대명사
대명사
계층성
구성소
관할
선행
교차분지제약
구성소 판별법
성분통어
주어-동사일치
대용어
재귀대명사
대명사
본문내용
doesn’t surprise anyone else. what surprises you절은 단수 취급한다.
what we ask is/ are teachers with good ways and the will to apply them. 의 경우 what절을 고려하면 is , be동사의 보어의 경우는 teachers가 복수이므로 are 가 가능하다.
대용어는 자신 홀로는 지시할 수 없으나 선행사에 의지하여 지시할 수 있는 대명사나 재귀대명사와 같은 것을 말한다. 선행사는 대명사나 재귀대명사 같은 대용어들이 지시하는(referring) 표현을 말한다.
재귀대명사 = himself, herself, myself와 같이 대명사에 -self가 붙여진 어휘들을 말한다.
첫째, 재귀대명사는 동일절 내에 자신과 일치하는 선행사가 있어야한다. 없는 경우, 비문을 이룬다.
“ l love himself.” 의 경우 남자를 나타내는 선행사가 문장에 존재하지 않으므로 비문이 되며 himself 대신 myself로 변경되는 경우 “l”가 선행사가 되므로 정문이 된다.
둘째, 재귀대명사의 선행사가 동일절에서 재귀대명사를 선행해야한다.
“I think that [myself is s mart”] 의 경우 선행사가 동일절내에 존재하지 않아서 비문이다.
“Myself love I” 인 경우 재귀대명사가 동일절내에서도 선행사 I를 앞서서 비문이 된다.
이 두 조건을 어겼음에도 불구하고 문법적으로 정문인 예외적인 경우도 있다
“She wants [herself to win]” win의 주어는 herself이지만 to부정사의 경우 동일한 시제절을 뜻하며 정문이 된다. 즉 시제절은 시제가 있는 wants로 확장하여 문장 전체에서 herself가 she를 선행사로 갖게 되기 때문이다.
“[A letter of myself] pleased I” myself가 선행사“I”보다 선행하지만 심리동사(놀라게 하다, 기쁘게 하다, 화나게 하다 등)은 구조적 특성에 의해 정문이 된다.
즉 주어 NP1을 목적어NP2(I)보다 구조적으로 하위에 둠으로써, I가 NP3의 myself를 성분통어 할 수 있도록 설정하여 재귀대명사는 선행사에 성분통어 받으며 정문이 될 수 있다.
또한 선행사가 재귀대명사를 앞선다고 해서 모두 정문을 이루는 것은 아니다.
“Jenny’s sister encourages herself”의 경우 선행사 Jenny가 herself를 선행하여 비문이 되지만 선행사 Jenny’s sister는 herself를 선행함으로써 정문이 된다. 이것은 선행사가 재귀대명사를 성분통어 해야 정문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수형도에서 Jenny = NP2의 첫 분지절점이 NP1 그러나 herself는 NP1에 관할되어 있지 않으므로 성분통어 할 수 없으므로 선행사가 될 수 없다. Jenny’s sister는 NP1에 해당되고 NP1의 첫 분지절점은 S에 해당되며 S는 herself를 관할하므로 NP1은 herself를 성분통어 한다고 할 수 있다. 즉 재귀대명사의 선행사는 선행하되 꼭 성분통어 해야만 바른 재귀대명사의 선행사라 할 수 있다.
대명사는 명사구를 대신하는 he, she, it, they등 같은 어휘를 말한다.
대명사와 선행사
첫째, 문장 내에 선행사가 없더라도 문법적이다.
Marry meets her(Marry≠her) 이 때 Marry는 her과 일치해서는 안 되며, 만약 같은 경우 herself 라는 재귀대명사를 써야한다. 동일 시제절에서 her이 Marry를 가르킬 수 없다.
둘째, 선행사가 동일한 시제절에 있으면 비문을 이룬다.
Marry believes that [Jenny must like her.] 대명사 her이 Jenny를 가르키는 경우 비문이 되며, 동일시제절을 넘어서 Marry를 지칭할 수는 있으나 동일 시제절 안에 있으면 비문을 이룬다.
즉 Marry encourages her to win.(her ≠ marry) 대명사는 동일 시제절 안에 있는 선행사를 가리킬 수 없다. Marry가 그녀 자신을 승리하기 위해 격려한다고 했을 때는 her이 아니라 herself를 써야 정문이 된다.
대명사와 선행사의 성분통어조건
Her mother likes Marry.
The secret about Jenny has upset her.
두 예문에서 보듯이 동일시제절에 있다하더라도 선행사가 대명사를 성분통어하지 못하면 정문을 이룬다. 대명사는 동일한 시제절에서 자신을 성분통어 하는 선행사를 가질 수 없다.
그러나 Marry misses her mother. 의 경우 동일 시제절안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명사 her=marry이 될 수 있는 이유는 대명사 her이 NP안에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동일시제절이 아니더라도 대명사가 선행사를 선행하는 동시에 성분통어하면 비문을 이룬다.
He recognized that Jenny broke up with John. (he≠John)
NP=He의 최초분지절점 S에 John이 관할되어 성분통어 되면서 NP가 선행까지 하므로 비문이 된다. (두 절점간은 관할이거나 선행관계 둘 중 하나이지 둘 다 가질 수 없다.)
What he has done is now clear to John.(he=John)
what he has done은 S’에 속하여 최초분지절점이 NP이고 NP는 John을 성분통어하지 못한다. He가 John을 선행하되 성분통어하지 못하여 정문이 된다.
She did her homework before Marry went to bed. (she≠marry)
NP=She의 최초분지절점인 S가 marry가 속한 S’를 성분통어하고 선행까지 하므로 비문을 이룬다.
Before she went to bed, Mary did her homework.(she=marry )
She가 속한 S의 최초분지절점 S’는 Marry를 성분통어하지 못하지만 선행은 하므로 정문을 이룬다.
결론적으로 대명사의 선행사 요건은 선행사 자신이 성분통어하는 대명사와 동일한 절에 올 수 없으며, 다른 절이라 하더라도 대명사가 선행사를 선행하면서 성분통어해서는 안된다.
what we ask is/ are teachers with good ways and the will to apply them. 의 경우 what절을 고려하면 is , be동사의 보어의 경우는 teachers가 복수이므로 are 가 가능하다.
대용어는 자신 홀로는 지시할 수 없으나 선행사에 의지하여 지시할 수 있는 대명사나 재귀대명사와 같은 것을 말한다. 선행사는 대명사나 재귀대명사 같은 대용어들이 지시하는(referring) 표현을 말한다.
재귀대명사 = himself, herself, myself와 같이 대명사에 -self가 붙여진 어휘들을 말한다.
첫째, 재귀대명사는 동일절 내에 자신과 일치하는 선행사가 있어야한다. 없는 경우, 비문을 이룬다.
“ l love himself.” 의 경우 남자를 나타내는 선행사가 문장에 존재하지 않으므로 비문이 되며 himself 대신 myself로 변경되는 경우 “l”가 선행사가 되므로 정문이 된다.
둘째, 재귀대명사의 선행사가 동일절에서 재귀대명사를 선행해야한다.
“I think that [myself is s mart”] 의 경우 선행사가 동일절내에 존재하지 않아서 비문이다.
“Myself love I” 인 경우 재귀대명사가 동일절내에서도 선행사 I를 앞서서 비문이 된다.
이 두 조건을 어겼음에도 불구하고 문법적으로 정문인 예외적인 경우도 있다
“She wants [herself to win]” win의 주어는 herself이지만 to부정사의 경우 동일한 시제절을 뜻하며 정문이 된다. 즉 시제절은 시제가 있는 wants로 확장하여 문장 전체에서 herself가 she를 선행사로 갖게 되기 때문이다.
“[A letter of myself] pleased I” myself가 선행사“I”보다 선행하지만 심리동사(놀라게 하다, 기쁘게 하다, 화나게 하다 등)은 구조적 특성에 의해 정문이 된다.
즉 주어 NP1을 목적어NP2(I)보다 구조적으로 하위에 둠으로써, I가 NP3의 myself를 성분통어 할 수 있도록 설정하여 재귀대명사는 선행사에 성분통어 받으며 정문이 될 수 있다.
또한 선행사가 재귀대명사를 앞선다고 해서 모두 정문을 이루는 것은 아니다.
“Jenny’s sister encourages herself”의 경우 선행사 Jenny가 herself를 선행하여 비문이 되지만 선행사 Jenny’s sister는 herself를 선행함으로써 정문이 된다. 이것은 선행사가 재귀대명사를 성분통어 해야 정문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수형도에서 Jenny = NP2의 첫 분지절점이 NP1 그러나 herself는 NP1에 관할되어 있지 않으므로 성분통어 할 수 없으므로 선행사가 될 수 없다. Jenny’s sister는 NP1에 해당되고 NP1의 첫 분지절점은 S에 해당되며 S는 herself를 관할하므로 NP1은 herself를 성분통어 한다고 할 수 있다. 즉 재귀대명사의 선행사는 선행하되 꼭 성분통어 해야만 바른 재귀대명사의 선행사라 할 수 있다.
대명사는 명사구를 대신하는 he, she, it, they등 같은 어휘를 말한다.
대명사와 선행사
첫째, 문장 내에 선행사가 없더라도 문법적이다.
Marry meets her(Marry≠her) 이 때 Marry는 her과 일치해서는 안 되며, 만약 같은 경우 herself 라는 재귀대명사를 써야한다. 동일 시제절에서 her이 Marry를 가르킬 수 없다.
둘째, 선행사가 동일한 시제절에 있으면 비문을 이룬다.
Marry believes that [Jenny must like her.] 대명사 her이 Jenny를 가르키는 경우 비문이 되며, 동일시제절을 넘어서 Marry를 지칭할 수는 있으나 동일 시제절 안에 있으면 비문을 이룬다.
즉 Marry encourages her to win.(her ≠ marry) 대명사는 동일 시제절 안에 있는 선행사를 가리킬 수 없다. Marry가 그녀 자신을 승리하기 위해 격려한다고 했을 때는 her이 아니라 herself를 써야 정문이 된다.
대명사와 선행사의 성분통어조건
Her mother likes Marry.
The secret about Jenny has upset her.
두 예문에서 보듯이 동일시제절에 있다하더라도 선행사가 대명사를 성분통어하지 못하면 정문을 이룬다. 대명사는 동일한 시제절에서 자신을 성분통어 하는 선행사를 가질 수 없다.
그러나 Marry misses her mother. 의 경우 동일 시제절안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명사 her=marry이 될 수 있는 이유는 대명사 her이 NP안에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동일시제절이 아니더라도 대명사가 선행사를 선행하는 동시에 성분통어하면 비문을 이룬다.
He recognized that Jenny broke up with John. (he≠John)
NP=He의 최초분지절점 S에 John이 관할되어 성분통어 되면서 NP가 선행까지 하므로 비문이 된다. (두 절점간은 관할이거나 선행관계 둘 중 하나이지 둘 다 가질 수 없다.)
What he has done is now clear to John.(he=John)
what he has done은 S’에 속하여 최초분지절점이 NP이고 NP는 John을 성분통어하지 못한다. He가 John을 선행하되 성분통어하지 못하여 정문이 된다.
She did her homework before Marry went to bed. (she≠marry)
NP=She의 최초분지절점인 S가 marry가 속한 S’를 성분통어하고 선행까지 하므로 비문을 이룬다.
Before she went to bed, Mary did her homework.(she=marry )
She가 속한 S의 최초분지절점 S’는 Marry를 성분통어하지 못하지만 선행은 하므로 정문을 이룬다.
결론적으로 대명사의 선행사 요건은 선행사 자신이 성분통어하는 대명사와 동일한 절에 올 수 없으며, 다른 절이라 하더라도 대명사가 선행사를 선행하면서 성분통어해서는 안된다.
추천자료
영어번역(TRANSLATION)
초등영어교육 중간고사 대비 완벽 서브노트
현대 프랑스어의 특징 및 올바른 용법과 규범 - 프랑스어 자음의 일반적 특성, 생활 속의 프...
일본어와 한국어의 비교대조
열린교육 정의, 열린교육 성격, 영어과(영어교육) 열린교육 의미, 영어과(영어교육) 열린교육...
일기예보 교수학습자료(수업자료), 분수연산 교수학습자료(수업자료), 영문해석 교수학습자료...
영어학습지도안(중등1,고등1)
유의미 학습
도서 요약 - 한국의 이공계는 글쓰기가 두렵다
한국어 ) 다음은 한국 영화 집으로 를 보고 한국어 1급 학생이 쓴 글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