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간호학] 폐렴 케이스 스터디 (pneumonia case study)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동간호학] 폐렴 케이스 스터디 (pneumonia case study)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대상자를 선택한 이유
(2) 사례연구의 필요성

Ⅱ. 본론
(1) 대상자의 일반적 사항 및 문제소개
(2) 간호력
(3) 진단검사
4) 대상자에게 투여된 약물
(5) 간호과정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처럼 빌리루빈 결합에 장애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는 신생아(이 약은 혈청알부민과 결합된 빌리루빈을 떼어낼 수 있기 때문이다.)
5) 칼슘 함유 용액 또는 약물을 투여 받고 있는 신생아 (세프트리악손-칼슘염 침전 발생의 위험이 있다.)
해열,진통,솔염제
Dicknol(디크놀)
prn
류마티양 관절염, 골관절염(퇴행성 관절질환), 강직성 척추염
외상후 . 수술후 염증 및 동통, 급성통풍, 신 및 간산통에 작용한다.
이 약을 포함한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는 중대한 심혈관계 혈전 반응, 심근경색증 및 뇌졸중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는 치명적일 수 있다
기관지확장제
ventolin(벤톨린)
qid
중증의 급성천식(천식지속상태의 치료), 통상요법으로 효과가 없는 만성기관지 경련의 처치
두통,어지러움,인후자극,신경과민,기침,기관지염이 나타날 수 있다.
기관지확장제
pulmican
qid
기관지천식(특히 스테로이드 요법의 다른 치료가 불충분하거나 적절치 않은 경우)
인후통, 구강 및 설염, 구갈, 기침, 구강 칸디다염, 쉰목소리등이 있다.
NSAIDs
picopen(피코펜시럽(이부프로펜)
prn
어린이 급성 상기도염의 발열에 사용한다.
가씀스림,오한,호흡곤란,발진,혈압감소,위염,췌장염등이 있다.
(5) 간호과정
이론적 자료
[객관적 자료]
.기침 많고 폐잡음 들림
말할 때 그르렁거리는 소리 들림
3/18일 RR=34회
객담과 코 막힘으로 인해 코맹맹이소리 내며 호흡음이
거칠었음.
입으로 숨을 쉬는 것이 관찰됨.
[주관적 자료]
“아기가 기침을 한번에 몰아서 하고 가래가 많아요”
간호진단
점액과잉과 관련된 비효율적인 호흡양상
목표
<장기목표>
대상자는 입원기간 동안 호흡음이 정상적으로 들리도록한다.
<단기목표>
.대상자는 1주 이내에 분비물(콧물,가래) 배출을 통해 코로 호흡할 수 있도록 한다.
간호계획
필요시 거담제를 투여한다
하루 1L이상의 수분섭취를 권장한다.
부모에게 back percassion을 교육한다
대상자의 호흡양상과 호흡수, 호흡의 질을 사정한다.
간호중재
대상자의 호흡수를 모니터하였다.
하루 1L이상 수분섭취를 권장하였다.
필요시 거담제를 투여하였다.
부모에게 타진법을 교육하였다.
평가
<장기목표>
대상자는 입원기간 동안 호흡음이 정상적으로 들리도록 한다.
→ 달성. 대상자는 11/20 호흡음이 정상으로 들렸다.
<단기목표>
.대상자는 1주 이내에 분비물(콧물,가래) 배출을 통해 코로 호흡할 수 있도록 한다.
→ 부분 달성. 대상자는 콧물,가래 줄어든 상태로 퇴원함.
#1. 점액과잉과 관련된 비효율적인 호흡양상
#1. 낙상 고위험군과 관련된 낙상위험성
이론적 자료
[객관적 자료]
침대 난간이 내려져있다.
낙상 고 위험군 환자 이다.
낙상경험이 있다.
[주관적 자료]
“전에 입원했을 때 침대에서 쿵 한적이 있어요”
간호진단
낙상 고위험군과 관련된 낙상위험성
목표
낙상의 위험으로부터 환아를 보호한다.
대상자는 입원기간동안 낙상을 하지 않는다.
간호계획
낙상 위험 사정도구를 사용하여 낙상 위험평가를 실시한다.
보호자가 항상 상주하도록 교육한다.
폴대를 밀면서 뛰어다니거나 장난을 치지 않도록 교육한다.
‘낙상주의’팻말을 부착한다.
side rail을 항상 올려 놓는다.
병원 바닥에 미끄러운 물이나 액체를 흘리지 않도록 한다.
유모차,휠체어 이용 시 어린이가 반드시 앉도록 하여 안전벨트를 착용한다.
간호중재
보호자에게 항상 상주하도록 교육하였다.
아이에게 폴대를 밀면서 뛰어다니지 않도록 교육하였다.
side rail을 항상 올려놓았는지 확인하였다.
휠체어 이용시 안전벨트를 착용하게 하였다.
낙상주의 팻말을 부착하였다.
평가
보호자가 항상 같이 있는 것을 확인하고, side rail이 항상 올려져있었다.
→목표 달성.대상자는 입원 기간동안 낙상하지 않았다.
※Morse낙상위험사정도구(1997)
구분
척도
점수
1.과거낙상경험
있음
25
25
없음
0
2.이차진단
있음
25
0
없음
0
3.보행보조
가구를 잡고 보행함
30
0
목발/지팡이/보행기 사용함
15
보조기 사용하지 않음/침상안정
/휠체어/간호사가 도와줌
0
4.정맥수액요법/헤파린락
있음
20
20
없음
0
5.걸음걸이/이동
장애가 있음
20
0
허약함
10
정상/침상안정/부동
0
6.의식/정신상태
자신의 기능수준을 과대평가하거나 잊어버림
15
15
자신의 기능수준에 대해 잘 알고 있음
0
총점
60
* 총점 0-24점: 낙상 위험성이 거의 없음(No risk)
25-45점: 낙상 위험성이 낮음(Low risk)
46-125점: 낙상 위험성이 높음(High risk)
(단, 기준점은 의료기관, 시설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적용할 수 있음)
Ⅲ. 결론
두 번째 나가는 아동병동이어서 처음보다는 긴장하지는 않았지만 아동들은 말을 하지 못하거나 의사소통이 가능하지 못한 아이들이 많기 때문에 걱정을 많이 했었다.
아이들이 간호사 유니폼만 봐도 주사를 놓는줄 알고 울고 귀엽고 친해지고 싶어서 다가가면 또 울고 항상 울어 당황스러웠지만 하루 이틀 조금 시간이 지나다보니 울지도 않고 방긋방긋 웃고 친해졌다.
아동병동에서 가장 주의해야 할 점은 낙상예방인데 폴대를 타고 다니거나 침대위에서 뛰어 놀거나 복도에서 뛰어 다니는 애들이 많았다. 주의를 줘도 말을 듣지 않아 어떻게 할줄 몰랐는데 아이들이랑 친해지면서 말하다 보니 조금 나아졌다.
아동병동에서의 아동들의 바이탈은 처음 재봤는데 , 아기들의 심박동 소리가 너무 빨리 뛰어서 약간 당황하였고, 시간도 많이 걸렸지만 계속 하다보니 손에 익었다.
의학용어나 약에 대해서 어느 정도는 알고 있다고 생각하였는데 인수인계를 듣다보면 내가 아직까지도 많이 부족하고 배워야 될 점이 많구나 라는 걸 다시 깨닫게 되었다.
Ⅳ. 참고문헌
김영혜 외 아동간호학 총론,각론(2010) ,현문사
성미혜 외 간호과정의 이론과 적용(2008), 수문사
드러그인포.http://www.druginfo.co.kr/
킴스온라인.http://www.kimsonline.co.kr/
일권역응급의료센터내원환자의 낙상위험정도,부산대학교 대학원,백영지
네이버 건강사전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4.02.26
  • 저작시기201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3892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